목차
1. 속담의 정의
2. 속담의 현황
1) 속담은 얼마나 될까?
2) 자주 사용되는 속담은?
3. 속담의 내용 분석
1) 속담 속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의식
2) 동물에 대한 속담
3) 다른 문화권 속담과 비교
참고문헌
2. 속담의 현황
1) 속담은 얼마나 될까?
2) 자주 사용되는 속담은?
3. 속담의 내용 분석
1) 속담 속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의식
2) 동물에 대한 속담
3) 다른 문화권 속담과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민다.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하려던 df이 실패로 돌아가서 희망이 없을 때를 가리키는 말이다.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나쁜 일을 해놓고 그 일이 드러나지 않게 어떤 수단을 써서 남을 속일 때 쓰는 말이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남존여비 사상이 나타난다.
촌닭- 세련되지 못한 사람을 일컫는다.
(7) 호랑이-호랑이는 권력의 상징이다. 토템이즘
하룻강아지 범(호랑이) 무서운 줄 모른다.
호랑이 담배 피울 때 이야기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한다.
호랑이한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산에 가야 범(호랑이)을 잡지
호랑이는 산중의 왕이다.- 범은 산 짐승의 왕이라는 뜻이다.
호랑이 없는 골에 토기가 왕 노릇한다.-호랑이 없는 곳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
범 같은 장수-호랑이는 용맹해서 호랑이처럼 용맹한 장수를 뜻한다.
범도 개한테 물릴 때가 있다.
이빨 빠지고 발톱 없는 호랑이 - 권력과 세력을 잃은 사람을 뜻한다.-제 아무리 강한 사람도 약한 사람에게 당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산 호랑이 눈썹-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을 얻으려 하는 것을 말한다.
(8) 소
우리 조상들은 소를 이용해 농사를 지었다. 즉 우리나라는 농경사회임을 알 수 있는 속담들이다. 소 귀에 경 읽기- 가르쳐주어도 알아듣지 못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큰일이 생긴 후에야 예방해야할 일을 한다는 뜻이다.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되지 못한 것이 엇나가는 한다는 뜻입니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더뎌도 황소걸음
구렁이(뱀) 담 넘어가듯 한다.-말이 느리어 답답하다는 뜻이다.(쥐는 먹을 것이 많아 지붕에 살고 구렁이는 쥐가 많은 초가집 지붕에 살았다.)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 - 사람도 의지할 데가 있어야 발판을
쇠뿔도 단김에 빼랬다.- 무슨 일이든지 기회가 있을 때 바로 해치워야 한다는 말이다.
쇠 털 뽑아 제 구멍에 박는다-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다는 말이다.
외상이면 소도 잡아 먹는다.
(9) 개구리
우물 안 개구리- 넓은 세계를 보지 못하고 자기들만의 세계에 갇혀있다는 뜻이다.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출세나 졸부가 된 사람이 옛 생각을 못한다는 뜻이다
개구리는 개구리이다- 시샘하는 올챙이에 멈추지 말고 개구리가 되라
개구리 소리도 들을 탓- 시끄럽게 우는 개구리 소리도 듣기에 따라 좋게도 들리고 나쁘게도 들린다.
개구리가 울면 비 온다.
(10) 미물
작은 미물에 관한 속담을 통해서 약자에 대한 강자의 횡포(갑질)문화를 풍자한 속담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다.- 작은 것을 잡으려다 큰 것을 태운다는 뜻이다.
벼룩의 간을 내먹는다.-너무 작아 빼먹을게 없는 사람한테 빼먹는다는 뜻이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아무리 힘없는 사람이라도 밟으면 대항한다는 뜻이다.
새발의 피- 새의 발에 피이므로 아주 작은 소량을 뜻한다.
(11) 물고기
큰 물고기는 깊은 물에 있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에 물고기가 없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강한사람들 싸움에 약한 사람들만 피해본다는 뜻이다.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12) 그 밖의 동물속담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다 한 마리도 못 잡는다.- 두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하려다 둘 다 못 한다는 뜻
뱁새가 황새 따라가면 다리가 찢어진다.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한다.- 분수를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3) 다른 문화권 속담과 비교
(1) 영미 문화권 속담과 유사 하거나 같은 속담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Barking dogs seldom bite.’(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지칭적 의미: 말 많은 사람 치고 무서운 사람 없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문화적 의미: 양 문화권에서 사람을 보는 시각이 같음을 알 수 있다.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Cats hide their claws.’ 지칭적 의미: 재주 있는 사람은 그 능력을 깊이 감추고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문화적 의미: 사람의 품행에 관한
‘토끼 두 마리를 잡으려다 한 마리도 못 잡는다.’
‘He that hunts two hares at once will catch neither.’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고 하려면 한 마리도 못 잡는다.) 지칭적 의미: 한꺼번에 두 가지를 욕심내면 어느 한 가지도 이루지 못한다.문화적 의미: 양 문화권 속담에서 토끼를 보호의 대상으로 보거나 또는 그 가치를 존중하는 모습은 찾아 볼 수 없다.
(2) 한중 속담 비교
中之。/ 그림의 떡. (그림의 떡)
拿著蛋王石頭上。/ 계란으로 바위치기이다. (계란을 들어 바위를 치다.)
人是鐵飯是鋼一頓不吃餓得慌。/ 금상산도 식후경이다. (사람이 쇠라면 밥은 강철이며 한 끼라도 먹지 않으면 허기가 견딜 수 없다.)
便宜沒好貨。/ 싼 게 비지떡. (싼 물건치고 좋은 것 없다.)
不費吹灰之力。/ 누워서 떡 먹기. (먼지를 불어서 없애 버릴 힘도 필요 없다.)
聽拉拉叫還不種莊稼。/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땅강아지 소리를 듣는다고 곡식을 안 심겠는가.)
天上掉。/ 굴러들어 온 호박 (하늘에서 떨어진 구운 빵.)
饑食糟糠如蜜,飽了食蜜也不。/ 비지에 부른 배가 약과도 싫다 한다. (배고플 때 먹는 술지게미는 꿀 같지만 배부를 때 먹는 꿀은 달지 않다.)
像霜打的茄子。/ 파김치가 되었다. (서리 맞은 가지.)
烙卷大蔥。/ 보리밥에는 고추장이 제격이라. (전병에다 대파 말아 먹는 격.)
麥子地理吃。/ 우물에 가서 숭늉을 찾는다. (보리밭에서 찐빵을 찾는다.)
喝水打飽。/ 김칫국 마시고 수염 쓴다
참고문헌
임성민(2013),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말에 관한 속담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옥정(2006), 교과서의 속담 분석과 그 지도 방안,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수경(2007), 속담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하려던 df이 실패로 돌아가서 희망이 없을 때를 가리키는 말이다.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나쁜 일을 해놓고 그 일이 드러나지 않게 어떤 수단을 써서 남을 속일 때 쓰는 말이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남존여비 사상이 나타난다.
촌닭- 세련되지 못한 사람을 일컫는다.
(7) 호랑이-호랑이는 권력의 상징이다. 토템이즘
하룻강아지 범(호랑이) 무서운 줄 모른다.
호랑이 담배 피울 때 이야기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한다.
호랑이한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산에 가야 범(호랑이)을 잡지
호랑이는 산중의 왕이다.- 범은 산 짐승의 왕이라는 뜻이다.
호랑이 없는 골에 토기가 왕 노릇한다.-호랑이 없는 곳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
범 같은 장수-호랑이는 용맹해서 호랑이처럼 용맹한 장수를 뜻한다.
범도 개한테 물릴 때가 있다.
이빨 빠지고 발톱 없는 호랑이 - 권력과 세력을 잃은 사람을 뜻한다.-제 아무리 강한 사람도 약한 사람에게 당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산 호랑이 눈썹-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을 얻으려 하는 것을 말한다.
(8) 소
우리 조상들은 소를 이용해 농사를 지었다. 즉 우리나라는 농경사회임을 알 수 있는 속담들이다. 소 귀에 경 읽기- 가르쳐주어도 알아듣지 못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큰일이 생긴 후에야 예방해야할 일을 한다는 뜻이다.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난다.-되지 못한 것이 엇나가는 한다는 뜻입니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더뎌도 황소걸음
구렁이(뱀) 담 넘어가듯 한다.-말이 느리어 답답하다는 뜻이다.(쥐는 먹을 것이 많아 지붕에 살고 구렁이는 쥐가 많은 초가집 지붕에 살았다.)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 - 사람도 의지할 데가 있어야 발판을
쇠뿔도 단김에 빼랬다.- 무슨 일이든지 기회가 있을 때 바로 해치워야 한다는 말이다.
쇠 털 뽑아 제 구멍에 박는다-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다는 말이다.
외상이면 소도 잡아 먹는다.
(9) 개구리
우물 안 개구리- 넓은 세계를 보지 못하고 자기들만의 세계에 갇혀있다는 뜻이다.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출세나 졸부가 된 사람이 옛 생각을 못한다는 뜻이다
개구리는 개구리이다- 시샘하는 올챙이에 멈추지 말고 개구리가 되라
개구리 소리도 들을 탓- 시끄럽게 우는 개구리 소리도 듣기에 따라 좋게도 들리고 나쁘게도 들린다.
개구리가 울면 비 온다.
(10) 미물
작은 미물에 관한 속담을 통해서 약자에 대한 강자의 횡포(갑질)문화를 풍자한 속담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다.- 작은 것을 잡으려다 큰 것을 태운다는 뜻이다.
벼룩의 간을 내먹는다.-너무 작아 빼먹을게 없는 사람한테 빼먹는다는 뜻이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아무리 힘없는 사람이라도 밟으면 대항한다는 뜻이다.
새발의 피- 새의 발에 피이므로 아주 작은 소량을 뜻한다.
(11) 물고기
큰 물고기는 깊은 물에 있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에 물고기가 없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강한사람들 싸움에 약한 사람들만 피해본다는 뜻이다.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12) 그 밖의 동물속담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다 한 마리도 못 잡는다.- 두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하려다 둘 다 못 한다는 뜻
뱁새가 황새 따라가면 다리가 찢어진다.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한다.- 분수를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3) 다른 문화권 속담과 비교
(1) 영미 문화권 속담과 유사 하거나 같은 속담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Barking dogs seldom bite.’(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지칭적 의미: 말 많은 사람 치고 무서운 사람 없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문화적 의미: 양 문화권에서 사람을 보는 시각이 같음을 알 수 있다.
‘고양이가 발톱을 감춘다.’
‘Cats hide their claws.’ 지칭적 의미: 재주 있는 사람은 그 능력을 깊이 감추고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문화적 의미: 사람의 품행에 관한
‘토끼 두 마리를 잡으려다 한 마리도 못 잡는다.’
‘He that hunts two hares at once will catch neither.’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고 하려면 한 마리도 못 잡는다.) 지칭적 의미: 한꺼번에 두 가지를 욕심내면 어느 한 가지도 이루지 못한다.문화적 의미: 양 문화권 속담에서 토끼를 보호의 대상으로 보거나 또는 그 가치를 존중하는 모습은 찾아 볼 수 없다.
(2) 한중 속담 비교
中之。/ 그림의 떡. (그림의 떡)
拿著蛋王石頭上。/ 계란으로 바위치기이다. (계란을 들어 바위를 치다.)
人是鐵飯是鋼一頓不吃餓得慌。/ 금상산도 식후경이다. (사람이 쇠라면 밥은 강철이며 한 끼라도 먹지 않으면 허기가 견딜 수 없다.)
便宜沒好貨。/ 싼 게 비지떡. (싼 물건치고 좋은 것 없다.)
不費吹灰之力。/ 누워서 떡 먹기. (먼지를 불어서 없애 버릴 힘도 필요 없다.)
聽拉拉叫還不種莊稼。/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땅강아지 소리를 듣는다고 곡식을 안 심겠는가.)
天上掉。/ 굴러들어 온 호박 (하늘에서 떨어진 구운 빵.)
饑食糟糠如蜜,飽了食蜜也不。/ 비지에 부른 배가 약과도 싫다 한다. (배고플 때 먹는 술지게미는 꿀 같지만 배부를 때 먹는 꿀은 달지 않다.)
像霜打的茄子。/ 파김치가 되었다. (서리 맞은 가지.)
烙卷大蔥。/ 보리밥에는 고추장이 제격이라. (전병에다 대파 말아 먹는 격.)
麥子地理吃。/ 우물에 가서 숭늉을 찾는다. (보리밭에서 찐빵을 찾는다.)
喝水打飽。/ 김칫국 마시고 수염 쓴다
참고문헌
임성민(2013),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말에 관한 속담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옥정(2006), 교과서의 속담 분석과 그 지도 방안,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수경(2007), 속담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추천자료
2011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한국어어휘교육
2012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Canale과 Swain 의사소통능력)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론 Canale과 Swain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Q.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 출산과 관련한 우리 전통 문화의 특징 - 태몽(태몽의 개념, 태몽의 ...
[한국어교육] 쇼핑 호스트 방송언어의 언어 표현적 특징 - 언어사용의 음운론적 특징, 사용...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 한국인의 한(恨)의 정서와 지배적인 사상 - 한국인의 정서와 한(恨)...
[한국어교육] 설득의 백화점 ‘홈쇼핑’ - TV홈쇼핑 채널 현황, TV홈쇼핑의 수사적 설득절략, ...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 전래동화에 나타난 과거 여성들의 모습(전래동화에서 나타나는 전통...
배론 과제 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지도안
[한국어표현교육론]2급에 해당하는 어휘문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설정하여 말하기 연습문제와 ...
한국어표현교육론)학습자 자신이 생각하는 말하기에 대한 정의를 기술하고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교육개론)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기존 이론이나 교재에서의 자모의 제시 순서를 정리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