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청 교제 시기 조선의 대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청 교제 시기 조선의 대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6~17C 동북아시아 정세 개관
(1)임진왜란 이후
(2)사르후 전투
2. 조선 내부의 상황
(1)임진왜란 이후
(2)사르후 전투 이후
3. 조선의 대응
(1)후금과의 국서 교환
(2)요동 난민과 청병 칙서
Ⅲ. 결론

본문내용

에 서게 되었고,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왕인 광해군과 비변사로 대표되는 대신들의 의견이 충돌을 하였다. 광해군은 쇠퇴하는 명보다 떠오르는 청 쪽에 더 관심을 가졌으나, 대신들은 여전히 숭명의리론을 앞장 세워서 광해군의 의견에 적극 반대하였다.
1608년 광해군 즉위 이후, 실리적인 외교 노선을 추구하는 광해군과 의리론을 강조하는 대신들 사이의 대립은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인해 왕위에서 내려갈 때까지 계속 되었다.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왕위를 잃은 뒤, 인조는 숭명배금의 정책을 펼치는 등 비변사의 신료들과 같은 입장에 서서 나라를 운영하였다. 그러나 결국 명은 망하고 후금이 청으로 국호를 바꿔 중원을 지배하게 되었다. 광해군의 실리외교는 옳았던 선택일 수 있었던 것이다. 비록 결과만 놓고 보자면 광해군의 의견은 좌절된 셈이지만, 전란 이후 여전히 숭명의리론을 강조하는 대신들 사이에서 조선이라는 나라의 안녕을 생각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명기, 2000, 명·청 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역사와 현실 No.37, 한국 역사 연구회
계승범, 2007, 광해군대 말엽(1621~1622) 외교노선 논쟁의 실제와 그 성격, 歷史學報 Vol.193, 歷史學會
오종록, 2001, 광해군 시대의 교훈(오늘에 살아 있는 역사4), 내일을 여는 역사 Vol.5, 내일을 여는 역사
한명기, 2010, 원명교체, 명청교체와 한반도, 세계정치 Vol.30, 서울대학교 국제 문제 연구소
유지원, 2000, 사르후와 누르하치, 명청사연구 Vol.13, 명청사학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3.07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