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고기란?
2. 개고기의 효능과 효과
3. 개고기에 관한 일반 상식
4. 개고기를 이용한 요리
5. 조사후기
◇참고문헌◇
2. 개고기의 효능과 효과
3. 개고기에 관한 일반 상식
4. 개고기를 이용한 요리
5. 조사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고 저렇게 까지 해야하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자기가 좋으면 먹고 아니면 피하고 먹지 않으면 될 것이 아닌가. 우리 아버지의 표현을 빌리자면 좋은 음식 앞에 놔두고 싸움박질 하고 있는 꼴이었다. 나 같은 경우에는 평소 개고기를 즐겨먹는 편은 아니지만 개고기를 아주 먹지 않는 것은 아니고 일단 개고기를 먹는 것에 동의한다. 그 이유는 첫째는 개고기가 맛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개고기를 영양식품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외의 또 다른 에피소드가 있었다면 개고기를 먹는 한국인들을 무척이나 무시하고 배척하고 증오하는 외국인들 중에 프랑스인들이 가장 유명한데, 조선시대에 우리나라를 방문했던 프랑스 선교사였던 달렐이라는 사람은 조선에서 제일 맛있는 고기는 바로 개고기라고 말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을 조사결과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개고기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조사를 마치고 보니 평소 내가 알고있던 개고기와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는 개고기에 대해서 상당히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이었다.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것들로 몇 가지 예를 들어본다면 보통 삼복더위에 보양식이나 보신탕하면 사철탕(혹은 보신탕)과 같은 개고기만 있음을 알고있었지만 조사 결과 개고기뿐만 아니라 삼계탕, 용봉탕, 염소탕, 장어백숙, 도랑탕, 미역초무침, 메밀수제비, 죽순, 부추, 자라탕 등도 삼복더위에 먹는 좋은 여름철 보양식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신탕이라고 해서 특별히 남자들의 정력에 유달리 좋은 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보신탕이 곧 비아그라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다만 보신탕은 보신탕 자체로서 매우 영양가치가 있는 고단백 식품이며 상생을 이용한 건강식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인 여름에 단백질을 보충해주고 보신(보신이라는 말이 꼭 정력증강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다. 보신의 원래 의미는 바로 신장을 보 한다는 것이었다.)해주기에 딱 좋은 음식이라는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개고기음식의 종류라고는 개소주나 보신탕, 사철탕 등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 외에도 개고기떡이나 개고기죽 그리고 개고기엿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집은 아버지께서 보신탕을 잘 만들어 주시는 편인데 항상 아버지께로부터 보신탕의 효과나 마늘은 상극이 되고, 들깨는 상생이 된다는 것 정도는 익히 들어서 알고있었지만 조사해보니까 기타 전문적이고 자세한 내용들을 알게되었고 무엇보다도 개고기에 대한 사회적 논쟁에 대해서는 이번 조사를 통해서 관심을 갖게 된 것 같다. 이제 개고기에 대해서만큼은 내가 아버지께 설명해 드려도 될 것 같다.
◇참고문헌◇
-http://www.yescall.com/sanglim/ 상림식당 홈페이지
-http://www.gegogi.co.kr/ 개고기 음식문화 (개고기에 대해 가장 많고 좋은 정보가 있었다)
-http://goginet.co.kr/ 육류정보상식
-http://rosetwo.pe.kr/dog/ 개에 관한 이야기
-http://www.ogine.co.kr/ 옥이네 가마솥 사철탕 홈페이지
-지금까지 개고기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조사를 마치고 보니 평소 내가 알고있던 개고기와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는 개고기에 대해서 상당히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이었다.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것들로 몇 가지 예를 들어본다면 보통 삼복더위에 보양식이나 보신탕하면 사철탕(혹은 보신탕)과 같은 개고기만 있음을 알고있었지만 조사 결과 개고기뿐만 아니라 삼계탕, 용봉탕, 염소탕, 장어백숙, 도랑탕, 미역초무침, 메밀수제비, 죽순, 부추, 자라탕 등도 삼복더위에 먹는 좋은 여름철 보양식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신탕이라고 해서 특별히 남자들의 정력에 유달리 좋은 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보신탕이 곧 비아그라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다만 보신탕은 보신탕 자체로서 매우 영양가치가 있는 고단백 식품이며 상생을 이용한 건강식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인 여름에 단백질을 보충해주고 보신(보신이라는 말이 꼭 정력증강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다. 보신의 원래 의미는 바로 신장을 보 한다는 것이었다.)해주기에 딱 좋은 음식이라는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개고기음식의 종류라고는 개소주나 보신탕, 사철탕 등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 외에도 개고기떡이나 개고기죽 그리고 개고기엿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집은 아버지께서 보신탕을 잘 만들어 주시는 편인데 항상 아버지께로부터 보신탕의 효과나 마늘은 상극이 되고, 들깨는 상생이 된다는 것 정도는 익히 들어서 알고있었지만 조사해보니까 기타 전문적이고 자세한 내용들을 알게되었고 무엇보다도 개고기에 대한 사회적 논쟁에 대해서는 이번 조사를 통해서 관심을 갖게 된 것 같다. 이제 개고기에 대해서만큼은 내가 아버지께 설명해 드려도 될 것 같다.
◇참고문헌◇
-http://www.yescall.com/sanglim/ 상림식당 홈페이지
-http://www.gegogi.co.kr/ 개고기 음식문화 (개고기에 대해 가장 많고 좋은 정보가 있었다)
-http://goginet.co.kr/ 육류정보상식
-http://rosetwo.pe.kr/dog/ 개에 관한 이야기
-http://www.ogine.co.kr/ 옥이네 가마솥 사철탕 홈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