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고기의 역사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개고기의 역사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개고기의 역사
2.우리는 개고기를 먹는다!!
3.우리나라 개고기의 식용 역사
1)삼국시대와 고려
2)조선 시대
3)북한
4)현재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으면서 왜 우리가 개고기 먹는 것을 두고 난리를 부리냐고 항변만 할 일이 아니다. 문화상대론이 특정 문제에만 적용되는 오늘날의 한국은 너무나 비겁하다. 우리 사회 내에는 아직도 자문화 중심주의에 빠져 있는 것이 수없이 많다. 괜히 개장국을 두고 민족 정신 운운할 일은 아니지 않을까?
Ⅲ. 결론
우리는 여전히 개고기를 먹을 것이고, 북한이나 연변에서도 여전히 ‘단고기’를 먹을 것이다 오수의 신포 집에도 사람이 들끓어 대목 장사를 할 것이다. 사람은 ‘사람답게’, 개는 ‘개답게’ 키워야 하지 않을까. 언제 개들이 스스로 미용을 원했던가. 어느새 우리나라 개들도 매니큐어 칠을 당하고 목욕과 미용 ‘확대’로 비 동물적인 수모를 받기 시작했다. 우리에게 인권이 절대적이듯 개답게 살 수 있는 견권이 필요할 것만 같다.
우리가 오히려 해야 할 일은 개의 전문적 사육과 위생적인 개고기 식품가공이 아닐까.
사료를 주어서 비 육소를 키우듯 비 육견을 양산하다 보니 단백질의 불균형이 생겨 개 본래의 영양학적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생태계 보호도 할겸, 평소에 ‘자연식’을 한 건강한 개 사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 문헌>
1.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례 신문사, 주강현 지음.
2.음식 속 숨은 문화 읽기 <한국인의 밥상 차리기 문화 2>, (주)신원 문화사, 이규태 지음.
3.음식문화의 수수께끼, 한길사, Marvin Harris 지음, 서진영 옮김.
4.음식 전쟁 문화전쟁, 주영하 지음, 사계절.
5. 한국인과 개고기, 도서출판 효일, 안용근 지음.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서 참고했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3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