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육류소비][개고기][닭고기]육류의 소비 변화 고찰과 개고기에 대한 사고방식, 개고기에 대한 각 나라별 인식, 개고기에 대한 편견, 몽고의 개고기와 닭고기 식용 사례 및 향후 육류의 수요 전망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류][육류소비][개고기][닭고기]육류의 소비 변화 고찰과 개고기에 대한 사고방식, 개고기에 대한 각 나라별 인식, 개고기에 대한 편견, 몽고의 개고기와 닭고기 식용 사례 및 향후 육류의 수요 전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육류의 소비 변화

Ⅲ. 개고기에 대한 사고방식

Ⅳ. 개고기에 대한 각 나라별 인식

Ⅴ. 개고기에 대한 편견
1. 바뀌는 식습관
2. 위생 문제
3. 개고기 속에 감춰진 또 다른 헤게모니
4. 한의학적, 식품영양학적 관점
5. 콜레스트롤

Ⅵ. 몽고의 개고기와 닭고기 식용 사례

Ⅶ. 향후 육류의 수요 전망
1. 중장기 수요 전망
2. 생산 및 판매전략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입시에 비해 증가할 것이며, 응답소비자의 40% 이상이 구입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 생산 및 판매전략
쇠고기 생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국내산 한우고기 가격대비 수입육 가격이 60% 이하로 하락하지 않도록 가격차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국내산 사육기반 유지와 생산비 절감대책이 필요하다. 한우고기는 맛있고 안전한 우리 고기라는 측면에서, 육우고기는 값싸고 안전한 우리 고기라는 측면에서 수입 쇠고기와 차별화 된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냉장육 선호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냉장육 유통체계를 구축하고 냉장 유통량을 확대해야 한다. 맛을 결정하는 품질특성 중에서 근내지방이 가격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근내지방도를 높이기 위한 사육기술을 개발하며 사육기간이 24개월(거세우: 27개월) 이상이 되도록 한다. 거세우는 육질이 우수하므로 거세우 사육두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돼지고기 구입시 소비자들은 육색을 가장 중요한 품질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유통·판매과정에서 신선도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맛을 결정하는 품질특성 중에서는 지방분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고 가장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느끼고 있으므로, 지방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육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다수 소비자들은 건강상의 이유로 닭고기를 구입하고 있으므로, 소비 확대를 위해서 영양을 부각시켜 홍보할 필요가 있다. 닭고기 구입시 중요한 품질특성은 위생상태·육색으로 육류 중 신선도 측면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위생상태는 가장 불만스럽게 평가하고 있는 측면이므로 포장 등 판매형태를 개선해야 한다.
Ⅷ. 결론
우리 민족은 본디 유목계이었으므로 육식을 즐겨왔다. 중국 동북지방의 송화강 유역에 자리잡았던 우리의 고대국가 부여는 목축을 주로 한 국가로, 부족장의 이름을 마가(馬加)·우가(牛加)·저가(猪加)·구가(狗加) 등 가축 이름으로 부를 정도였고, 맥적(貊炙)이라 불리는 고기요리는 중국에까지 이름을 떨쳤다. 고구려는 고분벽화에 사냥하는 모습을 담을 정도로 수렵을 즐겼으며 백제는 고기나 생선을 저며서 날로 먹기도 하였다. 이러한 식생활은 목축생활에서 농경생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점차 쇠퇴되었다. 농경생활은 땅을 파서 씨앗을 뿌리고, 수확을 하는 전 과정이 한 장소에 정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목축생활과 같이 대규모의 가축을 기룰 수는 없게 된다. 한 장소에 오래 머물면 가축이 먹을 풀이 모자라게 되니 대규모의 가축은 기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기르는 가축의 수가 줄어들면 자연 이들을 먹는 기회도 줄어들게 됨은 자명한 일이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숭불사조(崇佛思潮)로 육식의 기회는 더욱 줄어들게 된다. 고려의 임금들은 불교에 귀의하여 일상적으로 궁궐에서 불교의식을 행하였다. 불교의 교리는 생명을 귀히 여겨 함부로 동물을 죽이는 것을 막고 있는데, 통치자가 불교에 귀의하였으니 자연 살생을 금하는 교시를 내리게 된다. 따라서 일반 백성들은 쉽게 고기를 먹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쇠퇴된 식육문화는 몽고의 침입으로 획기적인 발달을 하게 된다. 몽고족은 전통적인 유목민족으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에서 유목생활을 하다가 13세기 초엽에 이르러 동아시아 정국에 파란을 일으키게 된다. 즉 13세기 초두에 테무진(鐵木眞)이라는 영웅이 나와 주변의 부족을 정복하고 마침내 고려 희종 2년(1206)에 황제의 지위에 올라 주변국에 대한 정복사업을 전개하고 고려도 그 파란에 휩쓸리게 된 것이다. 고려는 약 30년간 수차례에 걸친 몽고의 침입에 대항하여 전쟁을 치렀으나 고종 46년(1259) 결국 그들에게 항복을 하게 되었고, 충렬왕이 원 세조의 딸인 제국대장 공주와 결혼한 이래 이른바 그들의 부마국이 되어 공민왕에 이르기까지 7명의 공주를 왕실에 받아들이게 된다. 이렇게 수많은 몽고인이 고려에 와서 거주하거나 내왕함에 따라 육식을 즐기는 저들의 생활 방식이 궁중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널리 퍼지게 되어 고려는 육식을 기피하는 식문화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고기요리를 즐기게 되었고,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박시사 : 해외여행과 개고기, 서울:백산출판사, 1997
임종식 : 개고기를 먹든 말든 임종식 로뎀나무, 2002
안용근 :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12권 제4호, 1999
오봉국 외, 한국계육산업발전사, 2002
주강현 : 개고기와 문화제국주의 : 이른바 문명과 야만에 관하여, 서울: 중앙M&B, 2002

키워드

육류,   개고기,   닭고기,   식용,   몽고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