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논하기 어렵다. 한국 철학은 일본 철학을 매개로 하여 서구 철학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일본 철학사 논의는 상당히 제한된 채 서양 철학 발전을 기반으로 한국 현대 철학사를 논의한 점이 아쉬웠다. 또한, 함석헌과 같은 익숙한 분도 있었지만, 김원주, 신남철 등 상당수는 모르는 분들이었다. 낯선 분들에 대한 시각은 이해하기 쉽지 않았다.
추천자료
현대 철학의 포스트 모던 성격
한국사상과 법철학의 과제
한국철학 연구의 방향
한국철학 에세이를 읽고
서양철학이 현대에 미친 영향 -플라톤-
한국철학사 기말고사 대비 써머리
[교육철학] 현대 교육철학에 대한 고찰
철학사 - 서양의 철학역사와 한국의 철학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교육학] 교육의 철학적 기초 01 -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교육학] 교육의 철학적 기초 02 -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현대 교육철학의 탐구주제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재건주의 교육 - 재건주의 교육이념, 재건주의 교육철학, 재건주...
교육철학의 기초, 현대교육 철학의 쟁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