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난청의 분류
2. 난청의 사정
3. 난청의 예방과 의사소통
4. 치료와 간호
5. 수술 유형
6. 귀 수술 환자 간호
2. 난청의 사정
3. 난청의 예방과 의사소통
4. 치료와 간호
5. 수술 유형
6. 귀 수술 환자 간호
본문내용
완전히 상피로 덮음
· 수술 후 귀속에 이식편을 지지하기 위하여 심지를 박게 되고 이는 7~14일 후에 제거
· 심지는 의사가 제거하고 일주일 정도 계속 항생제를 투여 해야 함
▣ 보존적 유양돌기 절제술
· 단순 유양돌기 절제술과 근치 유양돌기절제술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수술
· 청력도 유지하며 중이내 병변도 제거하는 것이 목적
· 고막이 조금 손상되고 이소골 파괴가 없거나 극히 적고 청력 장애가 심하지 않을 때 시행
▣ 절제 후 간호
· 젖은 드레싱을 통한 오염 예방
· 간호사는 수술 후 드레싱을 교환하여서는 안 되며 의사가 매일 또는 격일로 실시
· 드레싱에 출혈이 보이거나 합병증 증상( 경부 경직, 드레싱이 조이는 느낌, 안면신경 마비, 구토, 어지러움증, 두통, 방향감각 상실)이 나타나면 기록하고 의사에게 보고
· 합병증으로 안면신경 손상, 뇌막염, 뇌농양, 측드동 혈전, 만성 화농성 중이염, 출혈, 상처 감염 이 올수 있음
3) 고막성형술
· 청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시행
· 내이와 청신경상태가 정상이어야 함(이때 중이 염증은 완전히 치유되어야 함)
· 성형술에 쓰이는 재료로는 피부, 정맥, 골막, 연골막, 근막, 지방 등을 이용
· 수술 후 이식편을 지지하기 위하여 자연 흡수될 gelfoam을 생리식염수에 넣었다가 중이강 내에 채워두고 gelfoam이나 이식편위에는 작은 심지로 덮고 외이도에 거즈심지를 박음
· 수술은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며 수술 후 3~4일간 입원하게 됨
· 심지는 수술 1주일 후에 제거하며 gelfoam과 파괴된 조직편은 수술 12일 후에 흡인을 하여 외이도로부터 조심스럽게 제거함
· 가장 큰 목적은 청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나 동시에 고막을 성형해주므로 종이강을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수 있음
4) 등골 절제술, 등골 가동술, 내이 개창술
(1) 등골 절제술
· 국소마취하에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여 실시
· 수술은 등골의 일부나 전부를 제거한 후 보형물을 침골과 난원창 사이에 삽입
· 수술 부위의 부종과 심지 박은 것을 제거한 후 청력회복을 갖게 되므로 환자가 수술을
하였음에도 빨리 회복되지 않는 것에 관하여 걱정하지 않도록 미리 알려주어야 함
· 이도를 소독솜으로 살짝 막아 며칠간 귀를 보호하도록 함
· 입원은 3~4일간 하게 되나 일상 활동은 2주간 금해야 함
· 보형물 이탈을 막기 위해 비행기를 타거나, 다이빙을 하는 활동은 금해야 하고 상기도
감염을 예방해야함
(2) 등골 가동술
· 경화된 등골 발판을 직접 골절시키는 방법
· 진행된 이경화증에는 시술이 불가능 함
· 국소마취하에 실시하여 수술 후 즉시 청력 회복을 볼 수 있음
· 재발이 잘 되어 골절된 발판이 다시 붙으면 청력장애가 재발 됨
(3) 내이 개창술
· 등골 수술이 발달하면서부터 이경화증에서의 사용은 제한되어 등골적출을 할 수 없는 심한 경우에 이용
· 외이도를 통해 침골과 추골두부를 제거하고 수평삼반규관 팽대부 뼈 일부를 제거한 후
외림프강을 드러내고 작은 참을 만들어 줌
· 고막 후편에 연결된 외이도 후벽 골부의 피부 조각을 이용하여 창을 덮음
· 이식한 창을 지지하기 위하여 생리식염수에 담가 두었던 gelform으로 창내를 채움
· 전신마취하에 실시되고 수술 후 2~4일간 심한 현기증이 있으므로 3~4일간 침상안정이
유지 되어야 함
· 턱을 움직이는 동작에서 통증과 오심 유발됨으로 음식 섭취를 도와주기 위하여 진통제를 투여 할 수 있음
· 수술 후 체위는 앙아위나 수술한 쪽으로 눕는 것을 권장
· 환자의 어지러움증이 가라앉음에 따라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술부위는 6~10주
후 완전 치유 됨
6. 귀 수술환자의 간호
· 수술 전에 환자가 수술이나 청력증진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이해하는가를 평가. 수술로
청력증진이 된다 해도 수술 후 몇 주간은 수술부위의 부종, 드레싱, 심지박음 등으로 청력
회복을 느끼기 힘들다는 것도 알려줌
· 수술 전·후 환자가 지켜야 할 몇 가지 내용 재확인
체위나 운동 제한
코를 풀지말고 필요하면 닦아냄
이관을 통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재채기나 심한 기침을 하면 안됨
드레싱이나 귀를 만지지 않도록 지도
· 수술 중·후 감염예방을 위하여 무균술 실시. 귀는 뇌에 인접한 기관이므로 감염은 특히
위험, 체온상승, 귀 분비물, 두통, 등의 감염증상을 잘 관찰하여야함
· 처방에 따른 항생제 투여
· 처방에 따른 적합한 체위 유지
→수술 후 분비물의 우려가 있을 때는 수술한 쪽이 아래로, 조직이식을 한 경우에는 수술
한 쪽이 위로 가도록 한다.
→누운 위치에 따라 어지러움이 경감되기도 하여 어는 때는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누우므
로 오심, 구토가 감소되기도 함 24~48시간 동안은 침상에 누워있어야 함
· 처방에 따른 진통제 투여
· 외부 드레싱은 만질 수 있으나 귀속의 드레싱을 만져서는 안됨
· 조직이식이나 보철물이 떠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에 귀나 드레싱에 압력을 주는 것은
절대 금함
· 오심,구토,현훈이 있는 환자를 돕고 보호
처방된 체위 유지
활동이나 운동 피함
움직일 때는 천천히 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침상 난간을 올려줌
식사를 서서히 먹도록 하고 입을 벌리고 심호흡을 하도록 하는 것이 오심에 도움이 됨
⑤ 오심과 어지러움에 dramamine과 같은 약 투여
· 식사는 미음을 제공하는 것이 오심, 구토, 또는 저작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됨
· 수술 후 합병증을 알리는 증상을 관찰하고 보고
→청력의 변화, 이명, 어지러움증, 보행장애, 출혈, 안면신경에 상해를 입지 않았는지 물어
봄
· 퇴원전 어떻게 귀를 치료하고 보호할 것인지 알려줌
→귀에 물이 들어가면 감염이 일어나므로 샤워, 수영, 머리감을 때 귀를 적시지 않도록
함.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여야 함.
→등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 또는 비행기를 타
는 일 등은 의사가 안전하다고 할 때까지 금해야 함
· 추후 방문을 하도록 함
참고문헌
· 조경숙 외 9명,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3, p.770~778
· 김금순 외 7명,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2
· 수술 후 귀속에 이식편을 지지하기 위하여 심지를 박게 되고 이는 7~14일 후에 제거
· 심지는 의사가 제거하고 일주일 정도 계속 항생제를 투여 해야 함
▣ 보존적 유양돌기 절제술
· 단순 유양돌기 절제술과 근치 유양돌기절제술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수술
· 청력도 유지하며 중이내 병변도 제거하는 것이 목적
· 고막이 조금 손상되고 이소골 파괴가 없거나 극히 적고 청력 장애가 심하지 않을 때 시행
▣ 절제 후 간호
· 젖은 드레싱을 통한 오염 예방
· 간호사는 수술 후 드레싱을 교환하여서는 안 되며 의사가 매일 또는 격일로 실시
· 드레싱에 출혈이 보이거나 합병증 증상( 경부 경직, 드레싱이 조이는 느낌, 안면신경 마비, 구토, 어지러움증, 두통, 방향감각 상실)이 나타나면 기록하고 의사에게 보고
· 합병증으로 안면신경 손상, 뇌막염, 뇌농양, 측드동 혈전, 만성 화농성 중이염, 출혈, 상처 감염 이 올수 있음
3) 고막성형술
· 청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시행
· 내이와 청신경상태가 정상이어야 함(이때 중이 염증은 완전히 치유되어야 함)
· 성형술에 쓰이는 재료로는 피부, 정맥, 골막, 연골막, 근막, 지방 등을 이용
· 수술 후 이식편을 지지하기 위하여 자연 흡수될 gelfoam을 생리식염수에 넣었다가 중이강 내에 채워두고 gelfoam이나 이식편위에는 작은 심지로 덮고 외이도에 거즈심지를 박음
· 수술은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며 수술 후 3~4일간 입원하게 됨
· 심지는 수술 1주일 후에 제거하며 gelfoam과 파괴된 조직편은 수술 12일 후에 흡인을 하여 외이도로부터 조심스럽게 제거함
· 가장 큰 목적은 청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나 동시에 고막을 성형해주므로 종이강을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수 있음
4) 등골 절제술, 등골 가동술, 내이 개창술
(1) 등골 절제술
· 국소마취하에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여 실시
· 수술은 등골의 일부나 전부를 제거한 후 보형물을 침골과 난원창 사이에 삽입
· 수술 부위의 부종과 심지 박은 것을 제거한 후 청력회복을 갖게 되므로 환자가 수술을
하였음에도 빨리 회복되지 않는 것에 관하여 걱정하지 않도록 미리 알려주어야 함
· 이도를 소독솜으로 살짝 막아 며칠간 귀를 보호하도록 함
· 입원은 3~4일간 하게 되나 일상 활동은 2주간 금해야 함
· 보형물 이탈을 막기 위해 비행기를 타거나, 다이빙을 하는 활동은 금해야 하고 상기도
감염을 예방해야함
(2) 등골 가동술
· 경화된 등골 발판을 직접 골절시키는 방법
· 진행된 이경화증에는 시술이 불가능 함
· 국소마취하에 실시하여 수술 후 즉시 청력 회복을 볼 수 있음
· 재발이 잘 되어 골절된 발판이 다시 붙으면 청력장애가 재발 됨
(3) 내이 개창술
· 등골 수술이 발달하면서부터 이경화증에서의 사용은 제한되어 등골적출을 할 수 없는 심한 경우에 이용
· 외이도를 통해 침골과 추골두부를 제거하고 수평삼반규관 팽대부 뼈 일부를 제거한 후
외림프강을 드러내고 작은 참을 만들어 줌
· 고막 후편에 연결된 외이도 후벽 골부의 피부 조각을 이용하여 창을 덮음
· 이식한 창을 지지하기 위하여 생리식염수에 담가 두었던 gelform으로 창내를 채움
· 전신마취하에 실시되고 수술 후 2~4일간 심한 현기증이 있으므로 3~4일간 침상안정이
유지 되어야 함
· 턱을 움직이는 동작에서 통증과 오심 유발됨으로 음식 섭취를 도와주기 위하여 진통제를 투여 할 수 있음
· 수술 후 체위는 앙아위나 수술한 쪽으로 눕는 것을 권장
· 환자의 어지러움증이 가라앉음에 따라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술부위는 6~10주
후 완전 치유 됨
6. 귀 수술환자의 간호
· 수술 전에 환자가 수술이나 청력증진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이해하는가를 평가. 수술로
청력증진이 된다 해도 수술 후 몇 주간은 수술부위의 부종, 드레싱, 심지박음 등으로 청력
회복을 느끼기 힘들다는 것도 알려줌
· 수술 전·후 환자가 지켜야 할 몇 가지 내용 재확인
체위나 운동 제한
코를 풀지말고 필요하면 닦아냄
이관을 통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재채기나 심한 기침을 하면 안됨
드레싱이나 귀를 만지지 않도록 지도
· 수술 중·후 감염예방을 위하여 무균술 실시. 귀는 뇌에 인접한 기관이므로 감염은 특히
위험, 체온상승, 귀 분비물, 두통, 등의 감염증상을 잘 관찰하여야함
· 처방에 따른 항생제 투여
· 처방에 따른 적합한 체위 유지
→수술 후 분비물의 우려가 있을 때는 수술한 쪽이 아래로, 조직이식을 한 경우에는 수술
한 쪽이 위로 가도록 한다.
→누운 위치에 따라 어지러움이 경감되기도 하여 어는 때는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누우므
로 오심, 구토가 감소되기도 함 24~48시간 동안은 침상에 누워있어야 함
· 처방에 따른 진통제 투여
· 외부 드레싱은 만질 수 있으나 귀속의 드레싱을 만져서는 안됨
· 조직이식이나 보철물이 떠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에 귀나 드레싱에 압력을 주는 것은
절대 금함
· 오심,구토,현훈이 있는 환자를 돕고 보호
처방된 체위 유지
활동이나 운동 피함
움직일 때는 천천히 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침상 난간을 올려줌
식사를 서서히 먹도록 하고 입을 벌리고 심호흡을 하도록 하는 것이 오심에 도움이 됨
⑤ 오심과 어지러움에 dramamine과 같은 약 투여
· 식사는 미음을 제공하는 것이 오심, 구토, 또는 저작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됨
· 수술 후 합병증을 알리는 증상을 관찰하고 보고
→청력의 변화, 이명, 어지러움증, 보행장애, 출혈, 안면신경에 상해를 입지 않았는지 물어
봄
· 퇴원전 어떻게 귀를 치료하고 보호할 것인지 알려줌
→귀에 물이 들어가면 감염이 일어나므로 샤워, 수영, 머리감을 때 귀를 적시지 않도록
함.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여야 함.
→등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 또는 비행기를 타
는 일 등은 의사가 안전하다고 할 때까지 금해야 함
· 추후 방문을 하도록 함
참고문헌
· 조경숙 외 9명,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3, p.770~778
· 김금순 외 7명,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2
키워드
추천자료
수술 전・후 대상자 간호
수술실(OR)실습기록지(안전간호,마취,봉합사,소독가운착용법,손소독,수술실 및 기구소독,장갑...
귀수술과 간호
위암대상자치료및간호
[가정간호 논문요약] 기관절개관을 보유하고 있는 가정간호대상자를 위한 기관절개관 자가관...
★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 대퇴 경부 골절 ( 대퇴 경부 골절, 고관절 수술, 대상자 자...
간암대상자 간호(병태생리,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성인간호학) 귀의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간호중재
가정간호(가정간호 개요, 가정간호 발전과정, 가정간호 사업유형, 가정간호 인력 및 조직,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