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건성각결막염
2. 제3안검 탈출증, 돌출증(체리아이)
3. 백내장
4. 아토피성 피부염
2. 제3안검 탈출증, 돌출증(체리아이)
3. 백내장
4. 아토피성 피부염
본문내용
대표적인 예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
아토피의 주 증상은 소양감, 즉 간지러움이다. 소양감이 많이 일어나는 신체부위는 얼굴, 겨드랑이, 귀, 옆구리, 서헤부, 발이다. 주로 굽히고 피는 것을 반복하는 신체부위에 병변이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앞발의 안쪽 또는 뒷다리의 뒤쪽이 피부가 두꺼워지며 건조한 경우도 있다. 보통 소양감으로 인해 개들이 피부를 계속 긁고 핥는데, 이러면 2차적으로 세균성, 곰팡이 복합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만성화된 아토피는 일단 완치하여도 다시 재발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아토피를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전적인 경우도 있고, 환경에 있는 물질들이 신체에 접촉, 흡수되어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들에는 집 먼지, 꽃가루, 진드기, 벼룩, 풀, 단백질 성분의 음식 등이 있다. 이것들을 입으로 섭취함으로써, 호흡 기도를 통해 흡입, 피부로 흡수하면서 병변이 유발된다. 개가 알러젠을 흡입하면 개의 몸속에서 면역글로블린이라는 물질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는데, 이 때문에 피부가 가려워지거나 염증이 생긴다. 스트레스가 생기면 면역력을 떨어트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진단방법
아토피의 주된 증상은 가려움증이나, 가려워한다고 전부 아토피라고 할 수는 없다.
진드기나 세균감염, 짓무름, 피부의 건조, 간장이나 신장의 병에 의해서도 가려워 질 수 있으므로 이것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알러지가 일어나기 쉬운 요인이나 병 등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 들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아토피가 일어나지 않고 일어나더라도 쉽게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아토피와 함께 발병하기 쉬운 병이나 아토피를 일으키기 쉬운 병 즉 농피증, 효모균증, 옴, 벼룩 등의 기생의 유무를 검사한다. 이 중에 아토피에 걸린 개는 농피증에 걸리기 쉬우므로 농피증의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증상이 가벼워지기도 한다.
골든 레트리버, 래브라도 레트리버, 셔틀랜드 쉽도그 등이 이러한 아토피 관련의 농피증에 걸린다. 개에게 있어서의 피부조직의 시험이나 혈청학적 검사 등을 통한 알러지 진단이나 알러젠의 판정과 같은 진단방법은 아직 연구 중으로, 시험약이 입수가 힘들고, 판정이 복작하며 검사기관이 부족한 것이 그 이유다.
치료방법
치료는 약물요법을 중심으로 행해지며 몸을 씻어 알러젠을 제거하거나 보습제등을 발라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
아토피의 주 증상은 소양감, 즉 간지러움이다. 소양감이 많이 일어나는 신체부위는 얼굴, 겨드랑이, 귀, 옆구리, 서헤부, 발이다. 주로 굽히고 피는 것을 반복하는 신체부위에 병변이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앞발의 안쪽 또는 뒷다리의 뒤쪽이 피부가 두꺼워지며 건조한 경우도 있다. 보통 소양감으로 인해 개들이 피부를 계속 긁고 핥는데, 이러면 2차적으로 세균성, 곰팡이 복합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만성화된 아토피는 일단 완치하여도 다시 재발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아토피를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전적인 경우도 있고, 환경에 있는 물질들이 신체에 접촉, 흡수되어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들에는 집 먼지, 꽃가루, 진드기, 벼룩, 풀, 단백질 성분의 음식 등이 있다. 이것들을 입으로 섭취함으로써, 호흡 기도를 통해 흡입, 피부로 흡수하면서 병변이 유발된다. 개가 알러젠을 흡입하면 개의 몸속에서 면역글로블린이라는 물질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는데, 이 때문에 피부가 가려워지거나 염증이 생긴다. 스트레스가 생기면 면역력을 떨어트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진단방법
아토피의 주된 증상은 가려움증이나, 가려워한다고 전부 아토피라고 할 수는 없다.
진드기나 세균감염, 짓무름, 피부의 건조, 간장이나 신장의 병에 의해서도 가려워 질 수 있으므로 이것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알러지가 일어나기 쉬운 요인이나 병 등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 들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아토피가 일어나지 않고 일어나더라도 쉽게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아토피와 함께 발병하기 쉬운 병이나 아토피를 일으키기 쉬운 병 즉 농피증, 효모균증, 옴, 벼룩 등의 기생의 유무를 검사한다. 이 중에 아토피에 걸린 개는 농피증에 걸리기 쉬우므로 농피증의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증상이 가벼워지기도 한다.
골든 레트리버, 래브라도 레트리버, 셔틀랜드 쉽도그 등이 이러한 아토피 관련의 농피증에 걸린다. 개에게 있어서의 피부조직의 시험이나 혈청학적 검사 등을 통한 알러지 진단이나 알러젠의 판정과 같은 진단방법은 아직 연구 중으로, 시험약이 입수가 힘들고, 판정이 복작하며 검사기관이 부족한 것이 그 이유다.
치료방법
치료는 약물요법을 중심으로 행해지며 몸을 씻어 알러젠을 제거하거나 보습제등을 발라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