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다.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독자 이삭을 바칠 수 있게된 것도 그에게 어떤 탁월함이 있어서가 아니다. 성경은 “아브라함을 본받으라”는 것으로 주된 메시지를 삼지 않는다. 성경은 아브라함의 모든 인생을 여과 없이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그를 어떻게 인도하셨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를 인도하신 하나님의 섭리를 보게 하고 신실하신 하나님의 인도를 믿고 의지할 것을 주된 메시지로 던져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아브라함이 독자 이삭을 바친 그 행위 자체만을 실천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그의 인생 속에서 그를 인도하신 하나님을 붙잡아야 한다. 하나님을 온전히 붙잡고 우리에게 베푸신 그 은혜를 입을 때에 우리는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그 분의 백성으로서의 인생을 살아가게 된다. 하나님을 사랑하게 되고 이웃을 사랑하게 되는 심령이 되어 그리스도의 사랑을 세상에 나타내는 삶을 살게 된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위해 나의 삶을 전부 드리는 헌신도 마다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 모든 일을 행한 후에 하나님 앞에 서서 겸손히 낮아져서 여전히 그 분의 긍휼만을 바라는 애통하는 심령이 된다. 결국 행하는 삶의 근원은 나의 삶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스포츠 예술에 관한 연구 (한국 기독교 문화를 중심으로)
경제와 기독교 정신
[기독교 사회봉사론] 마틴 루터의 사회봉사 신학과 실천
한국에서 종교의 의미-기독교의 입장에서 무교와 유교
전인적소그룹을 장으로 하는 청소년기독교교육
20세기 전반에 나타난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의 특징
루돌프슈타이너의 자연에 대한 기독교적인 조명
기독교 조직신학개론
기독교 교육
한국 기독교 음주문제 연구
중세와 기독교 문화
청소년기 집단 따돌림 피해 경험자를 위한 기독교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기독교 리더십]전통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의 이해(서번트 리더십의 배경과 서번트 리더...
태화 기독교 사회복지관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