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심리] 기억과 착각에 의한 오류실험에 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와 심리] 기억과 착각에 의한 오류실험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의 이론적 배경

2. 가설 설정

3. 실험설계

4. 실험 방법

5. 동영상

6. 실험결과

7. 논의

8. 결론

9.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실험의 이론적 배경

1) 기억의 구성적 특징

기억은 "스스로의 지식을 적용하여 어떤 스케치를 구성해서 저장고에 넣었다가 인출 시에 다시 재구성하여 꺼내는 능동적 과정이다." 그리고 이 때 재구성 시 기억이 왜곡될 수 있다.

2) Bartlett(1932)의 연구 : 안경그림을 보여주고 난 다음 아령을 그리라고 했는데 앞선 안경그림과 유사하게 그려버림..(기억은 구성된다는 실험)

3) Loftus 등(1975): 자동차사고 필름 실험 /질문에서 제시된 정보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제 기억한 것처럼 왜곡시킴. 차 사고 영상을 보여주고 질문에 사용한 단어가 smashed(박살난), Hited(부딪친)이었냐 에 따라 추정하는 속도 (40마일/34마일)가 달라짐. 유리창이 깨졌었냐는 (실제 안 깨짐) 질문에도 40마일을 답한 사람이 보다 많이 깨졌다고 답함 - 이는 우리의 기억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 기억의구성과 재구성 ]

1. 기억의 재구성
 
기억은 구성과 재구성의 과정

해마, 장기기억 ->해마에 저장

전두엽 -> 단기기억 및 기억의 필터


2. 역할적 차이


해마 - 장기기억

전두엽 - 뇌의 기억을 재구성
 
  • 가격1,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7.07.15
  • 저작시기2017.7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29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