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상 수필의 특징
2. 작품 분석
‘골동벽’
‘공지에서’
‘단지한 처녀’
‘도회의 인심’
‘동심행렬’
‘차생윤회’
3. ‘조춘점묘’의 특징
2. 작품 분석
‘골동벽’
‘공지에서’
‘단지한 처녀’
‘도회의 인심’
‘동심행렬’
‘차생윤회’
3. ‘조춘점묘’의 특징
본문내용
상의 능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보험’을 ‘고마운 하느님’이라고 표현한 것이나 ‘골동벽’에서 ‘위조골동품’이 돌고 돌아 ‘유서 깊은 골동품이 되고’ 말 것이라는 표현이 그렇다. 또한 ‘동심행렬’에서는 작을 활자를 만드는 인쇄업자들을 “추악한 극채색(極彩色)을 덮어서 예의(銳意) 학동(學童)들의 동공을 노리고 총공격의 자세를 일각도 게을리 하지는 않는다.”라는 표현이 그렇다. ‘공지에서’는 연못 안에 있는 물고기들의 안위도 생각한다.
‘차생윤회’, ‘공지에서’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조춘점묘’의 배경은 1930년대 서울이다. 김윤식(1998:54)에서 이 작품에 묘사된 서울의 모습은 생동감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이유를 이상에게 도시는 너무 뻔한 것이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근대 서울에 살았던 작가들이 모두 이와 같지는 않았을 것이기에 이런 분석은 한계가 있다. 생동감 없는 도시의 모습은 이상이 도시에서 느끼는 허무함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이상은 식민지 서울의 가난한 지식인이었다. 그는 남들이 지나치는 일상적인 것들 속에서 당대의 문제점을 꿰뚫은 보는 능력이 있었다. 그는 사소한 것들의 이면에 있는 거대한 모순과 부정적인 면을 독자에게 알려주려고 한다. 그럼 점에서 이상의 수필은 일상적인 삶을 통해 작가가 직접 독자에게 이야기하는 수필의 특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조춘점묘’의 각 작품을 통해서 이상의 삶을 엿볼 수도 있다. ‘보험 없는 화재’, ‘단지한 처녀’를 볼 때 가족들과 살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도회의 인심’에서는 ‘아버지’가 등장한다.
‘차생윤회’, ‘공지에서’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조춘점묘’의 배경은 1930년대 서울이다. 김윤식(1998:54)에서 이 작품에 묘사된 서울의 모습은 생동감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이유를 이상에게 도시는 너무 뻔한 것이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근대 서울에 살았던 작가들이 모두 이와 같지는 않았을 것이기에 이런 분석은 한계가 있다. 생동감 없는 도시의 모습은 이상이 도시에서 느끼는 허무함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이상은 식민지 서울의 가난한 지식인이었다. 그는 남들이 지나치는 일상적인 것들 속에서 당대의 문제점을 꿰뚫은 보는 능력이 있었다. 그는 사소한 것들의 이면에 있는 거대한 모순과 부정적인 면을 독자에게 알려주려고 한다. 그럼 점에서 이상의 수필은 일상적인 삶을 통해 작가가 직접 독자에게 이야기하는 수필의 특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조춘점묘’의 각 작품을 통해서 이상의 삶을 엿볼 수도 있다. ‘보험 없는 화재’, ‘단지한 처녀’를 볼 때 가족들과 살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도회의 인심’에서는 ‘아버지’가 등장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