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복합운송의 의의
복합운송인
복합운송인의 정의
복합운송인의 기능과 요건
복합운송인의 유형
복합운송시스템
복합운송 서비스의 경로
해륙복합운송
해 공 복합운송
기타 복합운송 경로
국제복합운송증권
복합운송증권의 의의
복합운송증권의 형태
복합운송증권의 종류
복합운송인
복합운송인의 정의
복합운송인의 기능과 요건
복합운송인의 유형
복합운송시스템
복합운송 서비스의 경로
해륙복합운송
해 공 복합운송
기타 복합운송 경로
국제복합운송증권
복합운송증권의 의의
복합운송증권의 형태
복합운송증권의 종류
본문내용
복합운송의 의의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다른 운송수단을 이용 하여 한명의 복합운송인이 복합운송증권
(Multimodal Transport Bill Lading)을 발행하여, 물품을 인수한 때로부터 인도할 때까지 단일의 일괄 운송책임을 지면서 단일의 복합운송 운임률에 의해 운송되는 형태.
1) 복합운송인의 정의
자기 또는 자신의 대리인을 통하여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송하인이나 복합운송업무에 관하여는 운송인의 대리인 또는 그러한 사람에 같음하는 것이 아닌 주체로서 행동하고 계약의 이행에 관한 책무를 부담 하는자
복합운송인은 실제운송인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복합운송을 수행하기 위해 이종 운송수단을 조달, 통합하고 화주에 대해 복합운송의 이행책임을 질 수 있는 한 누구나 복합운송인이 될 수 있다.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다른 운송수단을 이용 하여 한명의 복합운송인이 복합운송증권
(Multimodal Transport Bill Lading)을 발행하여, 물품을 인수한 때로부터 인도할 때까지 단일의 일괄 운송책임을 지면서 단일의 복합운송 운임률에 의해 운송되는 형태.
1) 복합운송인의 정의
자기 또는 자신의 대리인을 통하여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송하인이나 복합운송업무에 관하여는 운송인의 대리인 또는 그러한 사람에 같음하는 것이 아닌 주체로서 행동하고 계약의 이행에 관한 책무를 부담 하는자
복합운송인은 실제운송인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복합운송을 수행하기 위해 이종 운송수단을 조달, 통합하고 화주에 대해 복합운송의 이행책임을 질 수 있는 한 누구나 복합운송인이 될 수 있다.
추천자료
연안운송과 수로운송의 비교(장점과 단점)
[물류] 운송-배송활동의 장단점과 운송방식의 선택
[항공운송] 항공운송의 의의와 형태, 특성 및 항공운송업무
[해상운송]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 해상운송업무
[외항운송] 컨테이너화물의 운송과 운송형태
(운송관리시스템) 단위적재운송시스템 -단위적재시스템의 의의와 형태, 선택방안, 일관컨테이...
[정기선운송과 부정기선운송] 정기선 및 부정기선 운송의 의의와 특성, 형태
항공운송에 관한 기구, 법규, 정책(국제민간항공기구, 국제항공운송협회, 우리나라 항공법)
글로벌무역 운송 및 해상운송계약형태
[컨테이너container 내륙운송] 수출 및 수입시의 컨테이너 내륙 운송
[국제 운송론] 보세운송
★ 무역 - 운송증권, Air Waybill와 BL 차이, 운임의종류, 용선계약, 개품운송계약
국제도로운송 및 철도운송
국제운송론-Chapter 01 운송의 기초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