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허(憑虛) 현진건(玄鎭健)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빙허(憑虛) 현진건(玄鎭健)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들어가서
1. 작가의 생애 연구
2. 계층의식과 문학의식
3. 현진건의 작품세계
Ⅲ. 나오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절대적 부정성을 타파하고 극복하고 보다 바람직한 사회를 열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상을 담은 새로운 문학적 형식을 모색한 듯 싶다. 그의 모색과 고민의 형상화로 나타난 작품이 <정조와 약가>, <적도>, <무영탑>이다.
특히 <정조와 약가>는 현진건의 일련의 리얼리즘 적인 작품의 세계가 그의 후기 작품세계로 확대, 발전 되어가는 계기를 마련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20년대 단편 작품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이 작품은 당대의 부정적인 사회적 현실에 대한 극복을 모색하게 되는 시발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단편이라는 소설적 형식의 한계에 부딪힌 현진건의 현실 극복 의지는 1930년대에 발표한 두 편의 장편 <적도>와 <무영탑>을 통하여 본격적으로 구현된다.
<무영탑>과 <적도>는 젊은 남녀의 초월적인 사랑을 표면에 내세우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민족사의 무대를, 민족이 흥성했던 먼 과거로 설정하여 우회적, 간접적인 방식으로 날로 암울해져 가는 식민지 시대 상황을 타개하고 극복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담겨 있다. 이 작품에 이어 이러한 민족사적 문제를 패망한 나라(백제)의 민중과 그 지도자(흑치상지)를 통해 형상화하였던 <흑치상지>가 일제에 의해 강제 중단되어 미완의 작품이 되고 만 사실도 이러한 작가의 의도를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Ⅲ. 나오며
현진건은 전통적인 조선조 관리의 가문에 태어나 개화파의 집안에서 성장하여 외래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집안사람들의 현실에 대응하는 삶의 양식을 통해, 역사와 사회에 대한 자기의식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기자 생활은, 작품을 통해 그 당시 조선의 어둡고 부정적인 현실을 증언하고 고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리얼리즘 문학의 선구자로서, 또 그 공로자로서 우리 소설사의 뚜렷한 작가임이 분명하며 일제에 의한 식민지 시대라는 특수한 환경 안에서 그는 역사적사회적 맥락을 놓치지 않고 민족 최대의 과업이었던 식민지 상황 극복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 모순 구조를 작품화시켰다. 44세란 짧았던 생애를 통하여 그가 내놓은 문학은 민족적 비애로 충만된 민족의 수난과 역사를 성실히 증언하는 사실주의 작가로 일관했음을 잘 알려주고 있다. “차근차근하게 주의를 관조하고 고요하게 제 심장의 고동하는 소리를 들을 제 이것이야말로 우리 문학의 운명인 줄 안다”고 확신했던 작가가 바로 현진건이었다.
■ 참고 문헌
신동욱, <현진건 연구>, (새문사, 1981)
윤병로,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문학>, <한국 근대 작가작품 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8)
최예열,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현실 고찰>, (11, 1994)
현길언, <현진건 ; 식민지 시대와 작가정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박성국, <현진건 소설연구:세계인식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8)
이 순, <현진건론>,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1984)
현길언, <현진건소설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1984)
한상무, <현진건 문학 연구>, (북스힐, 2003)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11.04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8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