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건강한 가족을 위한 생활기능 강화
II.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방안
1. 가족의 기능강화를 위한 사회적 지원 - 가족복지서비스의 확충
1) 가정생활교육
가) 부부체계 강화
나) 부모역할 준비와 부모역할 강화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 건강가정사업의 확대 및 정착
* 참고문헌
II.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방안
1. 가족의 기능강화를 위한 사회적 지원 - 가족복지서비스의 확충
1) 가정생활교육
가) 부부체계 강화
나) 부모역할 준비와 부모역할 강화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2. 건강가정사업의 확대 및 정착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며, 관계와 상황을 중시함으로써 다양한 접근법이 가능하다. 정신과 의사나 임상심리가의 치료를 요하는 정신병리 소유자보다는 이른바 문제가족원이나 가족위기를 다룸으로써 다른 가족원과 원찰한 관계를 추구하고 가족해체 상황이나 가족스트레스 처리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가족의 현재 문제, 가족원이 바라는 목표, 가족의 욕구체계와 역동성, 가족자원의 정도 및 위기 이전에 가족이 어떻게 생활해 봤는지를 파악하여 가족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가족상담을 통하여 가족의 역기능을 건전한 적응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가족의 역할관계 면에서 평형을 이루고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가족생활에 매우 필요한 제도이다.
2. 건강가정사업의 확대 및 정착
건강가정기본법에 의한 건강가정사업이 확대되고 정착되어야 한다. 2003년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어 국회를 통과하여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본 법안은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가족문제를 예방 및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건강한 가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정 중심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005년도부터 여성가족부(현 보건복지부) 전담부처로서 지방자치단체별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있고 계속 설치지역을 확대시켜 가고 있다. 각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건강가정사가 가족교육사업, 가족상담사업, 가족문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시설의 확충과 건강가정사의 전문성 향상, 유관단체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의 정착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정부에서 가족상담기관과 가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민간단체, 그리고 가족친화적인 기업체를 적극 지원하여 센터와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가족을 위한 ONE-STOP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2. 건강가정사업의 확대 및 정착
건강가정기본법에 의한 건강가정사업이 확대되고 정착되어야 한다. 2003년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어 국회를 통과하여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본 법안은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가족문제를 예방 및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건강한 가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정 중심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005년도부터 여성가족부(현 보건복지부) 전담부처로서 지방자치단체별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있고 계속 설치지역을 확대시켜 가고 있다. 각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건강가정사가 가족교육사업, 가족상담사업, 가족문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시설의 확충과 건강가정사의 전문성 향상, 유관단체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의 정착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정부에서 가족상담기관과 가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민간단체, 그리고 가족친화적인 기업체를 적극 지원하여 센터와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가족을 위한 ONE-STOP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사회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
[가족생활교육] 가정생활의 역사 (원시사회부터 고대사회, 자본주의 및 현대가족의 특성까지)...
[가족생활교육] <이혼교육> 이혼교육의 필요성 및 중재교육(조정과 중재, 이혼 관련법 교육, ...
[가족생활교육] 관계향상교육(건강한 결혼의 8가지)과 결혼준비교육(결혼준비교육의 필요성과...
[가족생활교육] 이혼(離婚)의 법률적 지원 및 이혼 후 적응교육(이혼의 결과, 이혼 후 적응 ...
가족생활교육에서 가치교육 접근방법 중 가치 교화접근과 가치 무시접근을 취할 때 장점과 단...
가족생활 주기-단계별 부부 관계의 특성,부부의 결혼만족도,젤겐센,글라써,가족생활교육,신혼...
가족생활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기관을 찾아서 예비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세요 [가족생...
[가족생활교육] 현대가족 가족구조와 관련하여 가족생활교육의 역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을 분석하고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시...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사나 가족생활교육 관련 전문가는 어떤 능력과 자질이 필요하다...
[가족생활교육] 노년기 혹은 이혼가정 혹은 재혼가족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세요 ...
가족생활교육으로서 밥상머리교육에 대해 기술하고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생활교...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으로서 밥상머리교육에 대해 기술하시고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