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논쟁의 발단
2. 논쟁의 내용과 전개
2. 논쟁의 내용과 전개
본문내용
동료들은 성동을 주장했으며, 이들의 학맥은 이현익·박필주·김원행·김매순·박성원·송명흠·임성주·오희상·홍직필에게 이어졌다. 이 가운데 임성주는 낙론과 호론의 견해를 모두 비판하고 독창적인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기정진도 두 학설을 비판하고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원칙을 재확인했다.
호락논쟁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고 난 뒤의 사회혼란을 해결하는 데 이전의 성리학이나 주자학 체계로는 미흡하다는 생각에서 일어난 것으로 단순한 철학적 논쟁만은 아니었다. 이는 유교적 도덕의식의 강조·회복을 통해 당시 사회체제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양반지배층의 계급적 이해를 반영한 것이었다.
두산대백과사전 참고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한국철학 사상연구회, 예문서원, 1995, pp. 205∼223. 참고
호락논쟁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고 난 뒤의 사회혼란을 해결하는 데 이전의 성리학이나 주자학 체계로는 미흡하다는 생각에서 일어난 것으로 단순한 철학적 논쟁만은 아니었다. 이는 유교적 도덕의식의 강조·회복을 통해 당시 사회체제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양반지배층의 계급적 이해를 반영한 것이었다.
두산대백과사전 참고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한국철학 사상연구회, 예문서원, 1995, pp. 205∼223. 참고
추천자료
신약신학: 현대 논쟁의 기본 이슈들
한국과 일본의 역사논쟁-그 해결 가능성에 대하여
현대 낙태문제의 찬반논쟁과 불교적입장
‘교육학 논쟁’을 읽고
안락사에 대한 논쟁과 대안의 고찰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비판
칼바르트의 계시론이해: 자연신학논쟁을 중심으로
HRD 패러다임 논쟁사에 나타난 평생교육과 HRD의 관계 -경쟁자인가, 협력자인가
안락사에 대한 논쟁 - 반대의 의견
NLL관련 정상회담 기록공개논쟁의 본질과 해소방안
광복절 건국절 논쟁 (뉴라이트, 역사왜곡, 조선일보, 이승만, 독립운동, 김구, 임시정부)
영어 공용어화 논쟁,영어 공용어화의 정의,세계화 국제적 경쟁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