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맺음말
모두 인물성동이 논쟁의 새로운 극복으로서 조선 후기 성리학의 한 특징을 이루고 있으나, 역시 호락논쟁을 비판하는 데에서 출발한 점에서 호락논쟁이 후기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호락논쟁은 경전 해석에 따른 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락논쟁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고 난 뒤의 사회혼란을 해결하는 데 이전의 성리학이나 주자학 체계로는 미흡하다는 생각에서 일어난 것으로 단순한 철학적 논쟁만은 아니었다. 이는 유교적 도덕의식의 강조·회복을 통해 당시 사회체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락논쟁의 쟁점은 첫째는 人性物性의 同異問題이고, 둘째는 未發時의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의 관계문제이다. 그런데 人性과 物性의 同異 問題는 湖論과 洛論에서 정의하는 性의 개념 차이를 고려한다면 별로 중요하지 못한 문제이다. 즉 洛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 발전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락논쟁의 쟁점은 두 가지 문제로 압축될 수 있다.하나는 인물성의 동이편전의 여부에 관한 논쟁이고 다른 하나는 미발심체의 선악에 관한 시비이다. 우선 인물성동이편전에 관한 양쪽 이론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하에서 외암이 주리적 입장에서 이통(理通)을 강조하고, 남당이 주기적 입장에서 기국(氣局)을 강조함으로써 재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문헌적 배경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전개
▶호락논쟁의 내용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