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졌다. 이 가운데 임성주는 낙론과 호론의 견해를 모두 비판하고 독창적인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기정진도 두 학설을 비판하고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원칙을 재확인했다.
호락논쟁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고 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 발전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락논쟁의 쟁점은 두 가지 문제로 압축될 수 있다.하나는 인물성의 동이편전의 여부에 관한 논쟁이고 다른 하나는 미발심체의 선악에 관한 시비이다. 우선 인물성동이편전에 관한 양쪽 이론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념적 당위성을 실현하려는 외암 사이에 인물성동이 문제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 논쟁에는 율곡학파에 속한 대부분의 학자들이 참여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성리학을 다시 정리하게 되었다. 호락논쟁은 조선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익 : 토지소유의 최하선을 보장함(좀 더 진보적, 민중적)
→ 영업전(최소생계유지 토지) 규정 및 매매제한 → 상한선최저선의 기준 논쟁 발생
한계 : 토지소유불균형과 지주전호제 해소문제와는 멀다(사회모순의 근본적 해결 미흡)
↓ 지주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2,600원
- 등록일 2012.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성리학의 사상, 특히 조선조 후기에 있었던 인물성동이 논쟁은 이런 오늘날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 잡기에 손색이 없다. 동론이든 이론이든 성리학 자체가 도덕적 품성을 높이기 위한 학문이었으며, 그 바탕 가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