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료들은 성동을 주장했으며, 이들의 학맥은 이현익·박필주·김원행·김매순·박성원·송명흠·임성주·오희상·홍직필에게 이어졌다. 이 가운데 임성주는 낙론과 호론의 견해를 모두 비판하고 독창적인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주장하기도 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하에서 외암이 주리적 입장에서 이통(理通)을 강조하고, 남당이 주기적 입장에서 기국(氣局)을 강조함으로써 재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문헌적 배경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전개
▶호락논쟁의 내용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물성동이 논쟁을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 조선성리학의 근본문제를 자신의 과제로 계승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철학적 탐구의 노력을 수행하였다. 녹문에게 주어진 철학적 과제한 존재의 세계와 가치의 세계를 일치시키는 성리학의 논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물성동이논변후를 보내고 인물성동이에 대해서 3, 4년 동안 만나서 토론하기도 하고 편지로 논변하기도 하였는데 서로 합치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에 대한 종합과 인물성동이론의 시작이 된 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 맺음말
모두 인물성동이 논쟁의 새로운 극복으로서 조선 후기 성리학의 한 특징을 이루고 있으나, 역시 호락논쟁을 비판하는 데에서 출발한 점에서 호락논쟁이 후기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호락논쟁은 경전 해석에 따른 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