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원진의 未發心體善惡論 비교
Ⅲ. 人物性同異論의 비교를 통한 현실 긍정의 이론----- 16
1. 巍巖 李柬의 사상에서 보는 현실 긍정의 이론
2. 南塘 韓元震의 사상에서 보는 현실 긍정의 이론
3. 巍巖 李柬과 南塘 韓元震이 주는 현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하에서 외암이 주리적 입장에서 이통(理通)을 강조하고, 남당이 주기적 입장에서 기국(氣局)을 강조함으로써 재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문헌적 배경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전개
▶호락논쟁의 내용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성격
Ⅲ. 주자학(성리학)의 마음관
Ⅳ. 주자학(성리학)의 이기설
Ⅴ. 주자학(성리학)의 내면화
Ⅵ. 주자학(성리학)의 수용과정
Ⅶ. 주자학(성리학)과 사림파
Ⅷ. 주자학(성리학)과 호락논쟁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원진의 이론을 지지했던 사람들은 병계 윤봉구 등 주로 충청도 근방에 살았기 때문에 호론(湖論, 湖西 즉 충청도)라고 한다. 그래서 이 논쟁이 호락논쟁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김교빈 등,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서울: 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원진 단계에 오면 호락논쟁(湖洛論爭)이라고 불려지는 성리학의 이론적 논쟁을 통해 그 내부에서 분화가 일어났다. 권상하의 제자인 한원진과 이간(李柬)을 각각 대표로 하는 호론과 낙론은 모두 주기론의 기발이승일도설을 받아들인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