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97건

인물성동론은 하나의 自然反省的이론 내지 현실긍정의 이론이라 할 것이다. 유봉학, 「北學思想의 形式과 그 性格」, 『韓國史論』제8집 (서울대 국사학과, 1982), pp. 194~206 참고문헌 崔恨德, 韓國 儒學 思想 硏究 (철학과 현실사) 崔英成, 韓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간과 한원진의 未發心體善惡論 비교 Ⅲ. 人物性同異論의 비교를 통한 현실 긍정의 이론----- 16 1. 巍巖 李柬의 사상에서 보는 현실 긍정의 이론 2. 南塘 韓元震의 사상에서 보는 현실 긍정의 이론 3. 巍巖 李柬과 南塘 韓元震이 주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하에서 외암이 주리적 입장에서 이통(理通)을 강조하고, 남당이 주기적 입장에서 기국(氣局)을 강조함으로써 재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문헌적 배경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전개 ▶호락논쟁의 내용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인물성동이의 이론을 주고받은 다음 미발심체의 선악여부를 논하게 되는데 낙론에서는 기의 정상한 것이 심이라고 전제하고 미발의 경우에 어찌 불선이 있겠는가 단지 이발의 사려가 드러나는데서 선과 불선이 있게 된다는 성리학의 기본전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한원진 단계에 오면 호락논쟁(湖洛論爭)이라고 불려지는 성리학의 이론적 논쟁을 통해 그 내부에서 분화가 일어났다. 권상하의 제자인 한원진과 이간(李柬)을 각각 대표로 하는 호론과 낙론은 모두 주기론의 기발이승일도설을 받아들인다.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