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선정이유
2. 작품 소개와 감상
① 면죄부 이충희
② 내세 - 오늘의 명화 정채원
③ 북어는 김삼환
④ 스무 살 고은
전쟁 3 신협
슬픈 기도(1) 이해인
3. 마무리 하며
4. 참고문헌
2. 작품 소개와 감상
① 면죄부 이충희
② 내세 - 오늘의 명화 정채원
③ 북어는 김삼환
④ 스무 살 고은
전쟁 3 신협
슬픈 기도(1) 이해인
3. 마무리 하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다른 나라에서는
아기가 태어난지
1년 뒤에야
한 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기가 태어나기 전
어머니 몸 안에 계실 때부터
이 세상을 온전히 시작하고 계십니다
몇 살이냐구요?
내 나이 스무 살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아직 열아홉입니다
서해 낙조였습니다
동해 총석정 해가 떠올랐습니다
내 나이 열아홉
우리나라에서는 스무 살입니다
지금 이라크 바스라에서는
열화 우라늄탄이 퍼붓고 있습니다
눈썹 진한
스무 살 처녀가 될
두 살짜리 아이가 죽었습니다
열아홉 총각일
한 살짜리 갓난이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나는 분노의 스무 살입니다
이 작품은 전쟁의 무자비함을 ‘스무 살’이라는 나이로 나타내고 있다. 작품의 초반 (1~6연)에서는 단순한 나이(우리나라는 스무 살, 외국은 열 아홉)의 이야기를 열거하고 있지만, 작품의 후반부(7~8연)에서 그 숨겨진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시인은 ‘미군이 퍼붓는 열화 우라늄탄’에 의한 ‘스무 살 처녀가 될 두 살짜리 아이의 죽음’과 ‘열아홉 총각일 한 살짜리 갓난이의 죽음’에 분노의 감정을 느끼고 있다. 이것은 ‘이라크 전쟁’에 대한 시인의 감정 표출이며, 더 나아가 우리 국민의 감정을 대변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작품은 신협 시인의 「전쟁3」이다.
전쟁 3
신협
까마귀 떼가 날아가다가
전깃줄에 걸려
땅바닥에 떨어졌다
집단 감전사.
‘충격’과 ‘공포’라는
이 불행한 파멸행진곡
지구는 깜깜한 밤에만
포성이 울렸다. 융단폭격.
아침이 밝아오자
평화로운 마을처럼
장바닥에는
엄마의 손을 잡고 따라나온 아이들
아이들의 눈동자가 겁에 질렸다.
지하 벙커 깊은 곳엔
적의가 가득한 고양이의 눈빛
까마귀 떼가 집단 자살을 했다.
이 작품은 한국전쟁을 몸소 경험한 시인이 이라크전쟁을 접하고 다시 느끼는 감정을 토대로 쓴 시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에서는 전쟁의 아픔을 나타내는 ‘파멸 행진곡’. ‘융단폭격’, ‘적의가 가득한 고양이’, ‘집단 자살’ 등의 많은 표현들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전쟁의 참상을 그대로 우리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우리에게 각성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마지막 작품은 이해인 시인의 「슬픈 기도(1)」이다.
슬픈 기도(1)
이해인
미움과 전쟁으로 얼룩진
슬픈 세상을 봅니다
무서운 태풍이 할퀴고 간
슬픈 들판을 봅니다
꿈과 기대가 무너져
폐허가된 마음들을 봅니다
사는 게 힘들수록 원망이 앞서고
한숨만 늘어가는 우리에게 요즘은
오히려 눈물만이 기도입니다
끊이지 않는 근심 속에 할말을 잊은
우리에게 조금의 희망을 주십시오
서로 먼저 위로하고 받쳐주는
사랑이 있어야만 슬픔이 줄어들고
기도 또한 살아 있는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십시오
이 작품은 평화에 대한 갈망과 반전에 대한 신념이 강하게 담겨 있는 시이다. 이 작품은 앞에서 다루었던 작품들과는 달리 기도문의 형식으로 쓰여 있는데, 이러한 점이 더욱 시인의 바람을 더욱 간절하게 하고 있다. 시인은 작품에서 ‘무서운 태풍이 할퀴고 간 슬픔 들판’과 ‘꿈과 기대가 무너져 폐허가 된 마음들’이라는 표현을 통해 ‘이라크 전쟁’에서 고통받는 이라크 국민들의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고통의 상황 속에서 주체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핍박만 받는 국민을 보며 ‘눈물만이 기도’라고 안타까워한다. 하지만, 시인은 이러한 힘든 상황에도 '희망과 위로‘를 받을 수 있게 기도하고 있다. 이렇듯, 시인은 하루 빨리 이 지역에 평화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 아닐까?
3. 마무리 하며
이번 과제를 위해 선정한 테마는 ‘이라크 전쟁’이었다. 언제나 그렇듯 ‘전쟁’에 관한 주제는 어떻게 보면 다소 무거운 문제일수도 있지만, 그 ‘무거운’ 주제 속에서 그 이면에 감춰진 쉽게 깨달을 수 있는 ‘가벼운’ 진실을 얻을 때,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놓치고 싶지 않았다. 그리고 어렵게 작품 하나하나를 찾고 알아가며, 작품 속에서 비춰진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보고, 느낄 수 있었다.
과제를 통해 얻을 것 한 가지는 시 작품 속에서 현재의 사회적 이슈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지금껏 현대시 과목을 들어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더군다나 내가 태어나기 이전 시대가 아닌 내가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한 ‘이라크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체험할 수 있어서 너무 뜻 깊었다. 앞으로도 현실을 비추는 거울인 시 문학에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을 기울어야겠다.
4. 참고문헌
이승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10대 명제』, 새미, 2004
다른 나라에서는
아기가 태어난지
1년 뒤에야
한 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기가 태어나기 전
어머니 몸 안에 계실 때부터
이 세상을 온전히 시작하고 계십니다
몇 살이냐구요?
내 나이 스무 살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아직 열아홉입니다
서해 낙조였습니다
동해 총석정 해가 떠올랐습니다
내 나이 열아홉
우리나라에서는 스무 살입니다
지금 이라크 바스라에서는
열화 우라늄탄이 퍼붓고 있습니다
눈썹 진한
스무 살 처녀가 될
두 살짜리 아이가 죽었습니다
열아홉 총각일
한 살짜리 갓난이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나는 분노의 스무 살입니다
이 작품은 전쟁의 무자비함을 ‘스무 살’이라는 나이로 나타내고 있다. 작품의 초반 (1~6연)에서는 단순한 나이(우리나라는 스무 살, 외국은 열 아홉)의 이야기를 열거하고 있지만, 작품의 후반부(7~8연)에서 그 숨겨진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시인은 ‘미군이 퍼붓는 열화 우라늄탄’에 의한 ‘스무 살 처녀가 될 두 살짜리 아이의 죽음’과 ‘열아홉 총각일 한 살짜리 갓난이의 죽음’에 분노의 감정을 느끼고 있다. 이것은 ‘이라크 전쟁’에 대한 시인의 감정 표출이며, 더 나아가 우리 국민의 감정을 대변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작품은 신협 시인의 「전쟁3」이다.
전쟁 3
신협
까마귀 떼가 날아가다가
전깃줄에 걸려
땅바닥에 떨어졌다
집단 감전사.
‘충격’과 ‘공포’라는
이 불행한 파멸행진곡
지구는 깜깜한 밤에만
포성이 울렸다. 융단폭격.
아침이 밝아오자
평화로운 마을처럼
장바닥에는
엄마의 손을 잡고 따라나온 아이들
아이들의 눈동자가 겁에 질렸다.
지하 벙커 깊은 곳엔
적의가 가득한 고양이의 눈빛
까마귀 떼가 집단 자살을 했다.
이 작품은 한국전쟁을 몸소 경험한 시인이 이라크전쟁을 접하고 다시 느끼는 감정을 토대로 쓴 시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에서는 전쟁의 아픔을 나타내는 ‘파멸 행진곡’. ‘융단폭격’, ‘적의가 가득한 고양이’, ‘집단 자살’ 등의 많은 표현들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전쟁의 참상을 그대로 우리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우리에게 각성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마지막 작품은 이해인 시인의 「슬픈 기도(1)」이다.
슬픈 기도(1)
이해인
미움과 전쟁으로 얼룩진
슬픈 세상을 봅니다
무서운 태풍이 할퀴고 간
슬픈 들판을 봅니다
꿈과 기대가 무너져
폐허가된 마음들을 봅니다
사는 게 힘들수록 원망이 앞서고
한숨만 늘어가는 우리에게 요즘은
오히려 눈물만이 기도입니다
끊이지 않는 근심 속에 할말을 잊은
우리에게 조금의 희망을 주십시오
서로 먼저 위로하고 받쳐주는
사랑이 있어야만 슬픔이 줄어들고
기도 또한 살아 있는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십시오
이 작품은 평화에 대한 갈망과 반전에 대한 신념이 강하게 담겨 있는 시이다. 이 작품은 앞에서 다루었던 작품들과는 달리 기도문의 형식으로 쓰여 있는데, 이러한 점이 더욱 시인의 바람을 더욱 간절하게 하고 있다. 시인은 작품에서 ‘무서운 태풍이 할퀴고 간 슬픔 들판’과 ‘꿈과 기대가 무너져 폐허가 된 마음들’이라는 표현을 통해 ‘이라크 전쟁’에서 고통받는 이라크 국민들의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고통의 상황 속에서 주체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핍박만 받는 국민을 보며 ‘눈물만이 기도’라고 안타까워한다. 하지만, 시인은 이러한 힘든 상황에도 '희망과 위로‘를 받을 수 있게 기도하고 있다. 이렇듯, 시인은 하루 빨리 이 지역에 평화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 아닐까?
3. 마무리 하며
이번 과제를 위해 선정한 테마는 ‘이라크 전쟁’이었다. 언제나 그렇듯 ‘전쟁’에 관한 주제는 어떻게 보면 다소 무거운 문제일수도 있지만, 그 ‘무거운’ 주제 속에서 그 이면에 감춰진 쉽게 깨달을 수 있는 ‘가벼운’ 진실을 얻을 때,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놓치고 싶지 않았다. 그리고 어렵게 작품 하나하나를 찾고 알아가며, 작품 속에서 비춰진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보고, 느낄 수 있었다.
과제를 통해 얻을 것 한 가지는 시 작품 속에서 현재의 사회적 이슈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지금껏 현대시 과목을 들어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더군다나 내가 태어나기 이전 시대가 아닌 내가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한 ‘이라크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체험할 수 있어서 너무 뜻 깊었다. 앞으로도 현실을 비추는 거울인 시 문학에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을 기울어야겠다.
4. 참고문헌
이승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10대 명제』, 새미, 2004
추천자료
와사등-시
상징의 속성과 그에 대한 시 분석☆
사물시 Dinggedicht
시인 황지우, 그의 시세계를 만나다. - 시적 형식파괴와 초월에의 욕망을 중심으로
선어말어미‘-시’를중심으로본높임법의오용
윤동주 <쉽게 쓰여진 시>, <또 다른 고향> - 작품 해석과 지도 방안에 대하여 -
김춘수, [꽃]과 그의 시생애
1980년대 노동시와 백무산
생명파의 시 - 서정주,유치환
존재론적 서정시 - 김종삼
[남북한현대문학사A+] 한국전쟁과 박정희시대 총력전(總力戰) 체제분석 및 해외사례 통한 비...
서정주 시 연구 - 《화사집》을 중심으로
박노해, 김남주 - 혁명의 이름으로 (시, 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