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편성원칙
2. 편성비평의 성립배경
3. 편성비평
1) 자료의 수집과 평가
2) 비평을 위한 분석
4. 교양 프로그램의 편성비평
1) 모니터 취지 및 목적
2) 대상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개요
3) 분석결과
4) 결론
2. 편성비평의 성립배경
3. 편성비평
1) 자료의 수집과 평가
2) 비평을 위한 분석
4. 교양 프로그램의 편성비평
1) 모니터 취지 및 목적
2) 대상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개요
3) 분석결과
4) 결론
본문내용
을 찍는 것을 재연.
- 차안에서 포르노를 틀어놓고 성관계를 요구하는 것을 재연
- 전화방에서 10대들과 데이트하는 것을 아무 거리낌없이 보여줌
- 성관계를 거부하자 여러 차례 구타하고, 장소를 옮겨 다시 성폭행함
⇒여성을 폭력으로 제압하는 모습은 그릇된 성관념을 고착시킴
(사례5) '엘리베이터 안에서의 70시간' - 갇혔던 차량 엘리베이터 안을 보여주고, 아이들이 그 안에서 재미있게 뛰어 노는 장면 등 너무 자세한 상황재연으로 부모지도가 없는 아이들은 호기심으로 한번쯤 들어가 볼 위험이 있음
⇒우리시대가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이야기로 가득 채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등급표시도 되어있지 않다. 아이들이 혼자서 보다간 잘못된 가치관이나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어린아이들에게는 부모지도가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사례6) '늦은 후회' - 택시강도가 운전기사에게 칼을 들이대는 장면에서 칼이 그대로 방영됨
⇒상당히 조그마한 칼 이였지만 재연화면에서 칼이 그대로 보여짐.
<우리시대>에서 다루는 내용은 거의 대부분 범죄사건이기 때문에 성 관련 내용 또한 지나치게 일방적이고 폭력적이다. 범죄에서 여성들은 성적 폭력의 피해자가 되고 이것을 악용해 돈을 뜯어내는 내용들은 어느 정도 가치관이 정착된 성인들이 보더라도 성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우리시대>는 직접적인 성폭행 사건 말고도 혼인을 빙자한 사기사건이나 음란전화 같은 성과 관련된 소재의 사건을 많이 다루고 있어 프로그램의 선정성 수치는 더욱더 문제가 되고 있다. 앞서 얘기했던 것 같이 청소년TV시청시간대에 이런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잘못된 성 관념을 고착시키는 것이다. 우리시대는 폭력적이고 선정적이며, 너무 자세한 재연화면으로 부모의 지도가 꼭 필요한 프로그램인데도 불구하고, 시청시간대나 등급표시등 아무런 장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4) 결론
<우리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 나가야 할 것인가? <우리시대>를 보면 우리는 정말 몹쓸 시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우리시대>에 나오는 모습들도 지금 어딘가에 있을 우리의 모습인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시청률을 의식하지 않고 우리시대를 다시 뒤돌아본다면 우리시대는 결코 살인과 폭력, 선정적인 모습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방송되어지는 것을 믿으며, 매스미디어를 통해서 우리모습을 비추어 본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의 중요성은 누누이 강조되는 것이다. 하지만, 방송이라는 것은 누구 혼자의 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매스미디어를 움직이게 하고 힘을 주는 것은 바로 시청자들이다. 왜냐하면 매스미디어는 정확히 시청률에 의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이 아무런 비판의식 없이 지금의 방송을 무기력하게 받아들이게 된다면 우리는 매스미디어가 이끄는 대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시청자들이 매스미디어를 바로 볼 때 '우리시대'가 좋아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시대>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되짚어 보면서 앞으로 우리가 풀어야할 과제가 무엇인가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 차안에서 포르노를 틀어놓고 성관계를 요구하는 것을 재연
- 전화방에서 10대들과 데이트하는 것을 아무 거리낌없이 보여줌
- 성관계를 거부하자 여러 차례 구타하고, 장소를 옮겨 다시 성폭행함
⇒여성을 폭력으로 제압하는 모습은 그릇된 성관념을 고착시킴
(사례5) '엘리베이터 안에서의 70시간' - 갇혔던 차량 엘리베이터 안을 보여주고, 아이들이 그 안에서 재미있게 뛰어 노는 장면 등 너무 자세한 상황재연으로 부모지도가 없는 아이들은 호기심으로 한번쯤 들어가 볼 위험이 있음
⇒우리시대가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이야기로 가득 채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등급표시도 되어있지 않다. 아이들이 혼자서 보다간 잘못된 가치관이나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어린아이들에게는 부모지도가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사례6) '늦은 후회' - 택시강도가 운전기사에게 칼을 들이대는 장면에서 칼이 그대로 방영됨
⇒상당히 조그마한 칼 이였지만 재연화면에서 칼이 그대로 보여짐.
<우리시대>에서 다루는 내용은 거의 대부분 범죄사건이기 때문에 성 관련 내용 또한 지나치게 일방적이고 폭력적이다. 범죄에서 여성들은 성적 폭력의 피해자가 되고 이것을 악용해 돈을 뜯어내는 내용들은 어느 정도 가치관이 정착된 성인들이 보더라도 성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우리시대>는 직접적인 성폭행 사건 말고도 혼인을 빙자한 사기사건이나 음란전화 같은 성과 관련된 소재의 사건을 많이 다루고 있어 프로그램의 선정성 수치는 더욱더 문제가 되고 있다. 앞서 얘기했던 것 같이 청소년TV시청시간대에 이런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잘못된 성 관념을 고착시키는 것이다. 우리시대는 폭력적이고 선정적이며, 너무 자세한 재연화면으로 부모의 지도가 꼭 필요한 프로그램인데도 불구하고, 시청시간대나 등급표시등 아무런 장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4) 결론
<우리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 나가야 할 것인가? <우리시대>를 보면 우리는 정말 몹쓸 시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우리시대>에 나오는 모습들도 지금 어딘가에 있을 우리의 모습인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시청률을 의식하지 않고 우리시대를 다시 뒤돌아본다면 우리시대는 결코 살인과 폭력, 선정적인 모습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방송되어지는 것을 믿으며, 매스미디어를 통해서 우리모습을 비추어 본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의 중요성은 누누이 강조되는 것이다. 하지만, 방송이라는 것은 누구 혼자의 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매스미디어를 움직이게 하고 힘을 주는 것은 바로 시청자들이다. 왜냐하면 매스미디어는 정확히 시청률에 의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이 아무런 비판의식 없이 지금의 방송을 무기력하게 받아들이게 된다면 우리는 매스미디어가 이끄는 대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시청자들이 매스미디어를 바로 볼 때 '우리시대'가 좋아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시대>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되짚어 보면서 앞으로 우리가 풀어야할 과제가 무엇인가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SBS 개편에 대한 비평
개화기 비평문학의 특성과 의의 - 비평사를 중심으로
tvN- 스캔들 프로그램 비평
“파리의 연인” 비평- 장르, 페미니즘, 산업 중심으로
[미디어저널리즘][미디어정치][TV저널리즘]미디어저널리즘의 기능, 미디어저널리즘의 이론적 ...
[미국 방송광고][미국 정치광고]미국 방송광고의 역사와 미국 방송을 통한 정치광고의 전개, ...
[비평이론, 문학이론, 문학비평이론] 문학비평과 문학비평이론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비평
[방송사]방송사(방송국)의 경영목적, 방송사(방송국)의 규모, 방송사(방송국)의 온라인저널리...
[음악해석][음악][해석][음악해석 사회적 해석][음악해석 문제점][음악해석 역사적 비평][음...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구조주의 비평적 접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제정 과정과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