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름다움에의 관심
아름다움이란
예술은 쓸모가 없기에 아름답다
아름다운 것은 무용한 것이다
아름다운 것들
무엇이 아름답고 아름답지 않은가
아름다움이란
예술은 쓸모가 없기에 아름답다
아름다운 것은 무용한 것이다
아름다운 것들
무엇이 아름답고 아름답지 않은가
본문내용
을 가득 채우는 감성과 문학이다.
예술이 사회상이나 도덕적 관념을 따라야한다고 여기는 사람들은 예술 속에 포함된 컨텐츠의 도덕성을 중시한다. 그렇지만 나에게 있어서 도덕성이나 선과 악에 대한 관념은 또한 아름답지 않은 것이다. 플라톤은 세상에서 가장 최고의 것으로 선의 이데아를 꼽았고, 진실된 것만이 아름답다는 견해를 펼쳤다. 그러나 선이라는 것은 내게 사회 형성과 생존을 위한 유용한 장치로만 인식된다. 사람들이 사회에서 정한 선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서로를 죽이거나 생존에 방해되는 행위를 막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을 예술이 추구하는 바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예술의 존재가치는 아름다움이며 이러한 점이 부정되고 도구로 사용될 때 예술은 진정으로 아름다워질 수가 없다.
많은 이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보다 중요한 것들이 있겠지만 내게 가장 중요하고 추구할 만한 것은 아름다움이다. 물론 아름다움 또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디자인에서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아름다움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질적인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이유를 따질 필요도 없이 우리에게 다가오고 사실은 그것을 규정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그의 저작 <백치>에서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하리라” <백치>,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김근식 옮김, 열린책들
라고 하였다. 나는 아름다움을 궁극적인 목표로 여기지만 아름다움이 정말 나를 구하고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그런데 또 아름다움을 세상을 구원하는 목적으로 삼는다면 그것은 진정한 아름다움이 아닌 것일까?
예술이 사회상이나 도덕적 관념을 따라야한다고 여기는 사람들은 예술 속에 포함된 컨텐츠의 도덕성을 중시한다. 그렇지만 나에게 있어서 도덕성이나 선과 악에 대한 관념은 또한 아름답지 않은 것이다. 플라톤은 세상에서 가장 최고의 것으로 선의 이데아를 꼽았고, 진실된 것만이 아름답다는 견해를 펼쳤다. 그러나 선이라는 것은 내게 사회 형성과 생존을 위한 유용한 장치로만 인식된다. 사람들이 사회에서 정한 선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서로를 죽이거나 생존에 방해되는 행위를 막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을 예술이 추구하는 바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예술의 존재가치는 아름다움이며 이러한 점이 부정되고 도구로 사용될 때 예술은 진정으로 아름다워질 수가 없다.
많은 이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보다 중요한 것들이 있겠지만 내게 가장 중요하고 추구할 만한 것은 아름다움이다. 물론 아름다움 또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디자인에서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아름다움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질적인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이유를 따질 필요도 없이 우리에게 다가오고 사실은 그것을 규정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그의 저작 <백치>에서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하리라” <백치>,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김근식 옮김, 열린책들
라고 하였다. 나는 아름다움을 궁극적인 목표로 여기지만 아름다움이 정말 나를 구하고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그런데 또 아름다움을 세상을 구원하는 목적으로 삼는다면 그것은 진정한 아름다움이 아닌 것일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