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조산 (preterm labo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조산 (preterm labo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조산
1) 원인
2) 예측
3) 간호관리
4) 간호계획
5) 진통억제제 투여
6) 태아 폐 성숙 증진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erbutaline
- Ritodrine과 Terbutaline은 자궁근육 이완을 위한 -아드레날린성 작용제로 평활근 이완작용을 함
- Ritodrine은 사용시 대게 조기분만 억제의 제1단계 처치의 하나로 정맥으로 투여
- Terbutaline의 가장 흔한 투여방법은 0.25mg을 피하주사나 피하펌프로 투여
- -아드레날린성 작용제는 임부와 태아에게 부작용이 많아 고도의 주의와 성실한 간호관리 하에서 사용되어야 함
황산마그네슘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자궁근육이완제이지만 자궁근육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음
- 중추신경제 억제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간전증으로 인한 경련을 억제하는 용도로 수십년간 사용되어 오고 있음
- 조기분만 시점에서 정맥으로 황산마그네슘이 투여됨
Indomethacin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로 일부 실험연구에서 prostaglandin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자궁 수축 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
- 자궁근육이완 목적으로 Indomethacin이 사용되었을 때에 태아 부작용의 심각성 때문에 다른 종류의 자궁근육이완제에 비해서 적게 사용됨
Nifedipine
- 칼슘통로 차단제로 자궁근육수축을 억제하는 또 하나의 자궁근육이완제
- 평활근 세포 내로 투입되어 칼슘흡수를 방해함으로써 자궁수축을 감소시킴
- 미약한 모체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태아 부작용의 우려 때문에 다른 자궁근육이완제보다 덜 사용되고 있음
- 자궁근육이완제 효과와 Nifedipine과 Ritodrine의 모체 내성을 비교하였을 때 분만 지연시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Nifedipine 사용의 경우 모체 부작용이 훨씬 더 적었음
6) 태아 폐 성숙 증진
- 호흡부전증(RDS)이나 초자양막질환(HMD) 등은 조산아에게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문제로, 태아 폐성숙을 촉진시키기 위해 산부에게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음
- 약물투여는 임신 33주 이전에 하며, 최소한 분만 24시간전에 투여하고 7일이내에 분만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조산 우려가 있을 때는 다시 투여함
- 다태임신, 감염, 결핵 및 고혈압 환자인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여할 수 없음
Ⅲ. 결 론
우리는 간호학 322 package part2 과제를 통해 고윤희씨와 남편이 걱정하고 있는 조산의 명확한 정의가 임신 20주 이후에서 37주 전에 분만이 발생한다는 것과 조기 분만의 전구 증상인 자궁활동의 양상, 설사를 동반한 하복부의 경련성 통증, 빈뇨, 묵지근하고 간헐적인 하부요통, 질분비물의 양과 변화(점액성인지 물인지 혈액이 섞여 나오는 지 등) 등이 있음을 산모 및 보호자인 남편에게 산전간호에 대한 내용적인 교육을 통해 염려하고 있는 조산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며 산전간호에 대한 내용을 알려준다.
Ⅳ. 참고 문헌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 수문사, p.575~579
- 정문숙 외(2006), 여성건강간호학Ⅱ, 정담미디어, p.634~644
- 이영숙 외(2002),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p.975~986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