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화
2. 복음과 문화
3. 타문화권 선교
4. 신학적 상황화
2. 복음과 문화
3. 타문화권 선교
4. 신학적 상황화
본문내용
tion) 사건에 대한 통전적 해석이다. 통전적 모델의 주창자들은 사도요한의 성육신 사건의 해석(요 1:14)을 이 모델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베네 새뮤엘(Vinay Samuel)은 성육신 사건을 ‘하나님의 인간 역사와 함께 계심의 최후의 확정’이라고 이해하였다. 성육신 사건에 대한 강조는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와 연관되어 있다. 즉 통전적 모델에서는 성육신 사건을 하나님의 인간 역사에 대한 최초의 행동으로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그 완성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통전적 모델은 ‘인간 역사를 향한 종말론적 견해’라고도 불릴 수 있겠다. 공동체의 변혁이라는 통전적 모델의 궁극적 목표를 당성하기 위해 이 모델은 또 하나의 전제인 성령의 기능에 대하여 큰 강조를 둔다.
하지만 우리는 통전적 모델에서 복음의 우주성에 관한 하나의 문제점을 볼 수 있다. 통전적 모델은 신학적 상황화 과정에서의 문화 수용을 강조하고 타종교와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여기에 문제가 있다. 즉, 어떻게 우리는 다양한 문화 환경에서 우주적 복음을 갖질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각 문화에 맞는 지역 신학을 만드는 것이 복음의 우주성을 형성하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성령에 대한 이해, 특히 성령이 역사하시는 범위에 대한 것이다. 통전적 모델은 성령께서 타종교에서도 역사하신다고 하였는데 어느 정도 깊게 역사하시는가 하는 점이다.
통전적 모델은 앞에서 언습한 세 개의 모델들을 비판한다. 번역적 모델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수용적 모델은 사회경제적, 정치적 상황을 고려치 않았고, 실천적 모델은 전통에 대한 고려부족 그리고 사회분석에 마르크스주의의 분석 도구를 사용한 점 등을 비판한다. 이에 비해 통전적 모델은 복음과 인간 상황 모두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균형 잡힌 모델이라 하겠다. 즉 통전적 모델은 성육신과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강조점을 두는 동시에 문화적 상황과 사회 경제적, 정치적 사회를 같이 고려한다.
또한 통전적 모델은 성서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에서 시작하여 하나님의 나라 사상을 추구하기에 그렇다. 동시에 이 모델은 인간 사회 구성의 제 요소에 충실한 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의미에서 통전적 모델은 약간의 더 연구해야 할 미진한 면이 있다 할지라고 현존하고 있는 상황화의 여러 모델 중에 가장 적절한 모델이라 말할 수 있겠다.
하지만 우리는 통전적 모델에서 복음의 우주성에 관한 하나의 문제점을 볼 수 있다. 통전적 모델은 신학적 상황화 과정에서의 문화 수용을 강조하고 타종교와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여기에 문제가 있다. 즉, 어떻게 우리는 다양한 문화 환경에서 우주적 복음을 갖질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각 문화에 맞는 지역 신학을 만드는 것이 복음의 우주성을 형성하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성령에 대한 이해, 특히 성령이 역사하시는 범위에 대한 것이다. 통전적 모델은 성령께서 타종교에서도 역사하신다고 하였는데 어느 정도 깊게 역사하시는가 하는 점이다.
통전적 모델은 앞에서 언습한 세 개의 모델들을 비판한다. 번역적 모델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수용적 모델은 사회경제적, 정치적 상황을 고려치 않았고, 실천적 모델은 전통에 대한 고려부족 그리고 사회분석에 마르크스주의의 분석 도구를 사용한 점 등을 비판한다. 이에 비해 통전적 모델은 복음과 인간 상황 모두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균형 잡힌 모델이라 하겠다. 즉 통전적 모델은 성육신과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강조점을 두는 동시에 문화적 상황과 사회 경제적, 정치적 사회를 같이 고려한다.
또한 통전적 모델은 성서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에서 시작하여 하나님의 나라 사상을 추구하기에 그렇다. 동시에 이 모델은 인간 사회 구성의 제 요소에 충실한 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의미에서 통전적 모델은 약간의 더 연구해야 할 미진한 면이 있다 할지라고 현존하고 있는 상황화의 여러 모델 중에 가장 적절한 모델이라 말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기독교와성윤리,성문화,현대 기독교 성문화의 유형
삼위일체론(종교개혁으로부터 현대까지) -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집단들,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바울Paul신학] 바울의 칭의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도구로서 행하는 기능, 칭의의 ...
[구약신학] 창세기 3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과 에서의 재회와 화해
[구약신학] 창세기 3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요셉의 꿈과 애굽으로 팔려간 ...
[구약신학] 창세기 3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자녀와 그의 번성
[구약신학] 창세기 4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요셉
[구약신학] 창세기 5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장례식과 요셉의 죽음
[구약신학] 창세기 4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열 두 아들에 대한 야곱의 예언
[구약신학] 출애굽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유월절 예식과 출애굽
[구약신학] 출애굽기 2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종 · 살인 · 폭력 · 배상 등...
[구약신학] 레위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사형에 해당되는 여러 범죄들
[구약신학] 레위기 1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피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 제사에 대한 제사장의 직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