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다른 종교 간의 대화가 가능한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와 다른 종교 간의 대화가 가능한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다.
왜냐하면 ‘노선’이란 자신의 삶과 방향과 목적을 지향하는 바이므로, 의미와 뜻이 전환되면, 거기에 맞게 자신의 의견도 함께 수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때, 우리는 그동안 내가 알고 있었던 종교와 새롭게 이해할 종교 사이의 갭을 줄어나가야 할 것이다. 이 말은 다시 말해서, 극단적인 배타주의의 시각에서 바라봤기 때문에 우월한 기독교에 상대가 안되는 것으로 보아왔던 타종교를 새롭게 인식하고 새롭게 알아가야 할 필요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더 이상 우리의 적이 아니라, 함께 이웃하고 있는 하나의 종교로 인식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좀 더 냉정한 자세로, 타종교를 연구하고 관찰해야만 한다.
따라서 ‘대화’라는 이면에 깔고 있는 언어적인 뉘앙스는 ‘개종’을 위한 앎이라기 보다는 그것자체(Da-sein)에 대한 호기심과 관찰에서부터 시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럴 때에, 나와 만나는 타종교를 생각하는 각도(바)에 따라, 그것이 되기도 하고, 니들이 되기도 하고, 너희들이 되기도 하고, 우리 모두가 되기도 할 것이다.
대화를 위한 이해가 기반이 되면, 그 다음에는 좀 더 심오한 지구위의 궁극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인류의 공동 복지를 위해 서로 돕는 동반자적 관계로 점차 방향이 전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황필호 교수가 말하는 타종교로의 개종을 위한 마음까지는 내 마음이 아직 열어있지 못하다. 내가 믿고 있는 종교에 대한 이해도 부족한데, 타종교에 개종까지, 나는 아직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일고를 통해서 기존의 고정관념의 흐른 구름이 좀 가시는 것 같아 참 좋은 시간이라 생각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3.2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