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개인 개인이 가면서 직접 방문을 해서 인구 주택을 총 조사를 하고 있죠. 썼어요 직접?
SS: (웅성거린다)
T: 문 열어줬어요?
SS: (목소리 높인다)
T: 직접 써줬어? 엄마가 썼어요?
SS: (계속 뭐라고 이야기를 한다)
T: 원래 우리나라에서 인구주택 총 조사 몇 년 만에, 몇 년 마다. 예전에 배웠는데 우리
SS: (각자 의견을 얘기한다)
T: 지금 생각해봐. 우리 지금 2005년 이잖아. 그럼 몇 년마다 할 것 같아?
SS: (5년과 7년으로 각자 의견을 이야기 한다)
T: 5년마다 하고 있죠. 5년마다. 5년마다 왜 인구주택 총 조사를 직접 할까, 개개인이 사람이 직접 아파트 벨을 눌러서 이걸 하나 하나를 조사한 거잖아. 당신은 누구랑 사십니까, 나이는 몇 살이고, 학력은 얼마나 되고, 직업은 뭡니까 이런 거
SS: (웅성거린다, 사생활 침해라는 목소리가 여기 저기서 크게 들린다)
T: 왜 사생활 침해하려고 하는 거야? 왜 조사하려고 하지? 왜 조사해요?
SS: (조그맣게 웅성거리기는 하나 직접 말을 하진 않는다)
T: 인구가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어떤 식으로 변화 될 것을 미리 예측을 해야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계획을 세우지. 경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 그리고 인구에 관련된 정책을 세우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조사를 하는 거야. 그러니까 외부인이 왔다고 무작정 문 안 열어주고, 문 쾅 닫고 나오지도 말지 말고, 조사에 참여하세요.
SS: (웅성거린다)
S: 문 잠그면요?
T: 문 잠그면? 다음에 또 다시 동희네 집 찾아가야 해. 두 번 또 걸음 하게 하지 말고
S: 도둑이면 어떻게 해요
T: 그러니까 잘 확인을 하고 문을 열어야지
S: 강도였어
SS: (웃는다)
T: 자 후진국일수록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요. 왜냐면 출산율이 높기 때문에. 우리는 이제 선진국의 대열에 서서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어서 자녀를 많이 출산을 하라고 홍보를 하고 있죠. 자 그리고 인구가 어떻게 도시로 집중 하고 있어요. 지금, 그래서 도시 문제가 심각하다. 이 지역의 또 다른 문제로는 외국 자본이 많이 들어와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대농장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있고, 이 대농장은 없는데 거기서 일만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무슨 차이가 있어요? 대농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부자지? 그런데 대농장을 갖지 않고 일만 하는 사람은?
SS: 거지
T: 거지야? 순수한 노동자가 거지야?
SS: 가난. 불쌍한 사람
T: 불쌍하진 않아. 가난한 게 불쌍한 거야? 빈부격차가 심각하다는 것
S: 얘 맞췄어요
T: 새롬이 잘했네. 빈부격차가 크죠. 자 우리나라도 빈부격차가 크지. 미국도 빈부격차가 크죠. 여기에 라틴아메리카도 빈부격차가 커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빈부격차가 크죠. 이 지역에 가장 큰 문제로는 세계인이 주목하고 있어요. 이 지역의 가장 큰 문제는 뭘까? 동민이 작은 눈도 지금 주목하고 있을 걸? 뭘까?
교사는 인구문제를 얘기하면서 ‘인구주택총조사’라는 국책사업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노동자가 거지라고 대답한 아이들의 관념에 대해 지적해주고 있다. 이 부분도 역시 교사의 관심사나 가치관이 잘 반영되고 있는 설명이다. 지리전공자의 수업을 직접 참관하진 못했지만, 아마도 일반사회전공자의 특성이 더 반영된 부분이 아닐까 한다.
반면 이후 수업에서 열대림 파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는데, 열대림 파괴에 대한 상황을 아이들한테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지는 못하다. 또한 열대림 파괴가 왜 심각한지에 대해서도 설명이 부족하다.
이는 교사의 마인드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우리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표현했던 열대림 파괴에 대하나 구체적인 심각성 (축구장 6개만큼의 넓이)에 대해 교사는 잘 전달하고 있지 못하다.
3)수업종결부
교사는 수업종결을 에듀넷에서 다운받은 게임CD를 활용하여 ‘열대기후’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수업 전개부에서는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는데, 브라질의 열대우림을 설명하다가 열대기후에 대한 게임으로 넘어간다. 이는 보통의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종결부와는 사뭇 다르다. 보통은 수업전개부에서 배운 내용에 대한 간단한 평가나 다음 학습에 대한 예고가 이루어지는데, 본 수업은 정리하는 시간이라서 그런지 수업전개부에서 다루지 않은 열대기후에 대한 퀴즈로 수업을 종결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게임CD없어서 그런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기도 했다.
아무튼 교사는 게임CD를 활용한 퀴즈를 통해 수업을 마무리한다. 수업종결을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SS: (웅성거린다)
T: 문 열어줬어요?
SS: (목소리 높인다)
T: 직접 써줬어? 엄마가 썼어요?
SS: (계속 뭐라고 이야기를 한다)
T: 원래 우리나라에서 인구주택 총 조사 몇 년 만에, 몇 년 마다. 예전에 배웠는데 우리
SS: (각자 의견을 얘기한다)
T: 지금 생각해봐. 우리 지금 2005년 이잖아. 그럼 몇 년마다 할 것 같아?
SS: (5년과 7년으로 각자 의견을 이야기 한다)
T: 5년마다 하고 있죠. 5년마다. 5년마다 왜 인구주택 총 조사를 직접 할까, 개개인이 사람이 직접 아파트 벨을 눌러서 이걸 하나 하나를 조사한 거잖아. 당신은 누구랑 사십니까, 나이는 몇 살이고, 학력은 얼마나 되고, 직업은 뭡니까 이런 거
SS: (웅성거린다, 사생활 침해라는 목소리가 여기 저기서 크게 들린다)
T: 왜 사생활 침해하려고 하는 거야? 왜 조사하려고 하지? 왜 조사해요?
SS: (조그맣게 웅성거리기는 하나 직접 말을 하진 않는다)
T: 인구가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어떤 식으로 변화 될 것을 미리 예측을 해야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계획을 세우지. 경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 그리고 인구에 관련된 정책을 세우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조사를 하는 거야. 그러니까 외부인이 왔다고 무작정 문 안 열어주고, 문 쾅 닫고 나오지도 말지 말고, 조사에 참여하세요.
SS: (웅성거린다)
S: 문 잠그면요?
T: 문 잠그면? 다음에 또 다시 동희네 집 찾아가야 해. 두 번 또 걸음 하게 하지 말고
S: 도둑이면 어떻게 해요
T: 그러니까 잘 확인을 하고 문을 열어야지
S: 강도였어
SS: (웃는다)
T: 자 후진국일수록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요. 왜냐면 출산율이 높기 때문에. 우리는 이제 선진국의 대열에 서서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어서 자녀를 많이 출산을 하라고 홍보를 하고 있죠. 자 그리고 인구가 어떻게 도시로 집중 하고 있어요. 지금, 그래서 도시 문제가 심각하다. 이 지역의 또 다른 문제로는 외국 자본이 많이 들어와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대농장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있고, 이 대농장은 없는데 거기서 일만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무슨 차이가 있어요? 대농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부자지? 그런데 대농장을 갖지 않고 일만 하는 사람은?
SS: 거지
T: 거지야? 순수한 노동자가 거지야?
SS: 가난. 불쌍한 사람
T: 불쌍하진 않아. 가난한 게 불쌍한 거야? 빈부격차가 심각하다는 것
S: 얘 맞췄어요
T: 새롬이 잘했네. 빈부격차가 크죠. 자 우리나라도 빈부격차가 크지. 미국도 빈부격차가 크죠. 여기에 라틴아메리카도 빈부격차가 커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빈부격차가 크죠. 이 지역에 가장 큰 문제로는 세계인이 주목하고 있어요. 이 지역의 가장 큰 문제는 뭘까? 동민이 작은 눈도 지금 주목하고 있을 걸? 뭘까?
교사는 인구문제를 얘기하면서 ‘인구주택총조사’라는 국책사업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노동자가 거지라고 대답한 아이들의 관념에 대해 지적해주고 있다. 이 부분도 역시 교사의 관심사나 가치관이 잘 반영되고 있는 설명이다. 지리전공자의 수업을 직접 참관하진 못했지만, 아마도 일반사회전공자의 특성이 더 반영된 부분이 아닐까 한다.
반면 이후 수업에서 열대림 파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는데, 열대림 파괴에 대한 상황을 아이들한테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지는 못하다. 또한 열대림 파괴가 왜 심각한지에 대해서도 설명이 부족하다.
이는 교사의 마인드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우리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표현했던 열대림 파괴에 대하나 구체적인 심각성 (축구장 6개만큼의 넓이)에 대해 교사는 잘 전달하고 있지 못하다.
3)수업종결부
교사는 수업종결을 에듀넷에서 다운받은 게임CD를 활용하여 ‘열대기후’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수업 전개부에서는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는데, 브라질의 열대우림을 설명하다가 열대기후에 대한 게임으로 넘어간다. 이는 보통의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종결부와는 사뭇 다르다. 보통은 수업전개부에서 배운 내용에 대한 간단한 평가나 다음 학습에 대한 예고가 이루어지는데, 본 수업은 정리하는 시간이라서 그런지 수업전개부에서 다루지 않은 열대기후에 대한 퀴즈로 수업을 종결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게임CD없어서 그런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기도 했다.
아무튼 교사는 게임CD를 활용한 퀴즈를 통해 수업을 마무리한다. 수업종결을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키워드
추천자료
지리학습지도안
공통사회과 교수-학습안
수업지도안
사회과 학습 지도안-중학교 사회 1(금성출판사)-Ⅲ. 남부 지방의 생활
초등사회과 지도안
청주 교도소 참관기
사회과 교수법 총 정리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 정의와 기본가정,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 실제, 구성주의(...
미술감상교육지도(학습지도), 인성교육지도(학습지도), 조소교육지도(학습지도), 독서교육지...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조직방식,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신학습지도요령,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
[ICT활용교육]미국의 국어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사례, 미국의 수학과 ICT(정보통신기...
2학년) <(한국지리)학습 지도안> Ⅱ. 국토의 자연환경 2. 지형과 생활 (1) 한반도의 지형 형성...
수학학습지도안중1집합사이포함관계!
[일본정보, 정보전문직]일본정보와 정보전문직, 정보공개제도, 일본정보와 정보문화, 정보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