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고대 가요란 무엇인가
(2) 고대 가요를 왜 가르쳐야 하는가
(3) 고대 가요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수업 지도안
3. 결론
2. 본론
(1) 고대 가요란 무엇인가
(2) 고대 가요를 왜 가르쳐야 하는가
(3) 고대 가요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수업 지도안
3. 결론
본문내용
도록 한다.
: 토론이 너무 소란해지지 않도록 교사가 순회
하며 각 모둠의 토론을 들어본다.
: 토론 후 발표에 대한 공고를 한다.
15
학생들의 과제물
모둠별 발표
각 모둠별로 학생들이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
는 작품을 발표를 통해 들어보고, 그렇게 생각
하는 이유도 들어본다.
: 토론 후 발표 과정을 통해 교사는 고대 가요
에 대한 학생들의 거리감을 최소한으로 좁힐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교사는 학생들의 발표 내용에 대한 적절한 격
려와 지적을 해 준다.
15
정리
공무도하가를 통해 인간의 보편적 정서 이해하기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의 모습과 ‘한’의 정서에
대한 설명을 한다.
: 전통적 여인상이 바람직하다거나, 현시대에도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 과거 우리의 여인네들이 가졌던 ‘한’의 정서를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 설명하고, 이러한 정
서가 시대와 지역과 성별을 초월한 인간의 보
편적인 것임을 강조한다.
8
3. 결론
지금까지 배경 설화의 중요성과 배경 설화를 통한 고대 가요의 교육 방법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이것은 고대 가요는 물론이거니와 배경 기술이나 창작 동기가 어느 정도 일반화된 향가에 대해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그다지 획기적인 것은 아니다. 한 작품을 다른 장르로 변환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수행평가는 이미 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것이 주로 현대문학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에, 고전문학에도 그러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 것이다.
고전 문학 교육의 가장 큰 의의는 고전의 가치가 현대에도 유효하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깨우쳐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시 교육에 랩의 형식을 이용한다든지, 고려 가요와 현대 대중 가요의 공통점 등을 고찰하는 노력들은 모두 이러한 의의를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일 것이다. 본 논의 역시 그러하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고전 문학, 혹은 고대 가요라는 이름만 들어도 머리를 긁적이며 인상을 찌푸리는 일이 없어지기를 바란다. 고전 문학 교육에 있어 교사의 사명은, 고전 문학, 혹은 고대 가요라는 명칭은 그저 구분을 위한 편의상의 용어일 뿐, 그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지금 유행하는 노래와 소설과 영화와 크게 다를 바가 없는 하나의 노래요, 이야기라는 점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을 것이다.
: 토론이 너무 소란해지지 않도록 교사가 순회
하며 각 모둠의 토론을 들어본다.
: 토론 후 발표에 대한 공고를 한다.
15
학생들의 과제물
모둠별 발표
각 모둠별로 학생들이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
는 작품을 발표를 통해 들어보고, 그렇게 생각
하는 이유도 들어본다.
: 토론 후 발표 과정을 통해 교사는 고대 가요
에 대한 학생들의 거리감을 최소한으로 좁힐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교사는 학생들의 발표 내용에 대한 적절한 격
려와 지적을 해 준다.
15
정리
공무도하가를 통해 인간의 보편적 정서 이해하기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의 모습과 ‘한’의 정서에
대한 설명을 한다.
: 전통적 여인상이 바람직하다거나, 현시대에도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 과거 우리의 여인네들이 가졌던 ‘한’의 정서를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 설명하고, 이러한 정
서가 시대와 지역과 성별을 초월한 인간의 보
편적인 것임을 강조한다.
8
3. 결론
지금까지 배경 설화의 중요성과 배경 설화를 통한 고대 가요의 교육 방법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이것은 고대 가요는 물론이거니와 배경 기술이나 창작 동기가 어느 정도 일반화된 향가에 대해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그다지 획기적인 것은 아니다. 한 작품을 다른 장르로 변환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수행평가는 이미 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것이 주로 현대문학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에, 고전문학에도 그러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 것이다.
고전 문학 교육의 가장 큰 의의는 고전의 가치가 현대에도 유효하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깨우쳐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시 교육에 랩의 형식을 이용한다든지, 고려 가요와 현대 대중 가요의 공통점 등을 고찰하는 노력들은 모두 이러한 의의를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일 것이다. 본 논의 역시 그러하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고전 문학, 혹은 고대 가요라는 이름만 들어도 머리를 긁적이며 인상을 찌푸리는 일이 없어지기를 바란다. 고전 문학 교육에 있어 교사의 사명은, 고전 문학, 혹은 고대 가요라는 명칭은 그저 구분을 위한 편의상의 용어일 뿐, 그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지금 유행하는 노래와 소설과 영화와 크게 다를 바가 없는 하나의 노래요, 이야기라는 점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