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최종전략 선택
8. 교수전략에 통합
교수전략 개발
개발
9. 교재 선택 및 개발
교재 선택 및 개발
시험평가
10. 평가 및 수정
형성평가 설계 및 실시
수업개정
총괄평가 설계 및 실시
□ 1단계 : 코스정보 획득(Obtain course information)
○ 코스 기술(course description) : 코스에 대한 개관, 목적, 가르쳐야 할 빈도는?
○ 코스의 정당화(rational for the course) : 교육과정 요구나 요건, 학습자에게 유익한 점은?
○ 맥락(context) : 다른 코스와의 관계 및 전달방법(교실강의, 토의, 실험식, 자기학습)은?
○ 교사정보(instructor information) : 교사의 전문성, 개인적 성향, 지식, 경험은?
□ 2단계 : 대상자 정보 획득(Obtain audience information)
○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관계 : 동질적 집단, 몇몇 특정 소집단 형성 여부?
○ 학교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 긍정적, 부정적?
○ 수업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 선택/필수 과목, 유용성, 흥미/지루함
○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교수전략 : 강의와 연습, 협력학습, 사례연구, 역할연기, 컴퓨터보조학습
□ 3단계 : 대상자 동기 분석(Audience analysis)
○ 동기상태 파악 단위 선정 : 학습자 전체/소집단
○ 학습자 동기상태 기술
: 1단계, 2단계에서 얻은 정보에 근거하여 주의집중 준비도(A), 지각된 관련성(R), 지각된 자신감
(C), 만족감 예상(S)에 대한 학습자의 특징 기술
○ 동기분석결과를 그래프로 표현
○ 동기의 주요 문제와 부수적인 문제 파악
○ 동기문제 해결 방안 마련
: 동기문제의 주요원인이 해소가능한지, 동기향상을 위해 어떤 조건을 변화시켜야 하는가?
○그 밖의 고려사항 기록
□ 4단계 : 기존 교재 분석(Analyze existing materials)
○ A, R, C, S 항목에 대해
▷ 긍정적 특성 분석 : 대상자에게 적합한 동기전략이 포함되어 있는가?
▷ 부정적 특성 분석 : 대상자에게 부적합한 동기전략이 포함되어 있는가?
▷ 부족한 동기전략 파악 : 부족한 동기전략은 무엇인가?
▷ 일반적 코멘트 : 전반적인 수업이나 문서들에 적합한 코멘트 포함
□ 5단계 : 동기목표 설정 및 측정방법 열거(List objectives and assessment)
○ 동기목표진술 : 학습자에게서 관찰하고자 하는 동기유발된 행동 기술
▷ 동기특성에 있어서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 변화를 기술
▷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을 진술하고, 주요한 조건과 기대하는 수준 진술
○ 측정방법 기술 : 동기목표가 달성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
▷ 동기목표자체로부터 측정방법을 대충 확인 가능
▷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 특정한 측정도구 사용여부 및 사용시기
□ 6단계 : 예비전략 열거(List potential tactic)
○ 동기전략의 브레인스토밍 단계
○ 5단계에서 설정한 동기목표에 대한 가능한 모든 동기전략 열거
▷ 시간, 비용면에서 적절해 보이지 않더라도 모든 아이디어를 열거함
▷ A, R, C, S 항목 각각에 대해
수업의 초기 : 주로 동기유발을 위한 모든 동기전략을 나열
중간 단계 : 주로 동기유지를 위한 동기전략들을 나열
마지막 단계 : 주로 수업을 마무리하고 계속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동기전략들을 나열
전체 : 수업시간 내내 동기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기전략도 따로 나열
□ 7단계 : 최종전략 선택(Select and design tactic)
○ 동기목표에 맞는 동기전략을 주어진 준거에 의해 선택하는 단계
○ A, R, C, S 항목에 대해 각각 작성하지 않고 동기전락을 통합하여 표현
(전체, 초기, 중반, 마무리)
○ 동기전략 선택 준거
▷ 전체 수업시간 : 동기전략이 너무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 않도록
▷ 수업목표에 대한 공헌도 : 수업자체보다 재미있지 않도록
▷ 동기전략 개발에 사용되는 합리적 시간 및 비용
▷ 대상자의 학습양식에 맞는 동기전략
▷ 교사의 교수양식에 맞는 동기전략
▷ 동기전략의 현명한 사용 : 대상자 분석에 근거하여 필요한 전략만큼만 사용
□ 8단계 : 교수전략에 통합(Integrate with instruction)
○ 최종 선택한 동기전략을 수업내용과 교수전략, 즉 학습활동에 통합시키는 단계
○ 설계 대상이 되는 수업을 살펴보고, 주요 요소를 직접 나열(전체 개요, 내용구성, 학습활동 등)
○ 7단계에서 선택한 동기전략을 위에 나열된 수업의 주요 요소의 각 부분에 어떻게 필요한지 결정
□ 9단계 : 교재 선택 및 개발(Select and development materials)
○ 동기목표에 맞는 기존의 교재를 선택하거나, 새롭게 개발
▷ 동기목표에 맞는 기존 동기전략 교재나 활동 파악
▷ 동기목표에 맞거나 약간의 수정만 필요한 기존 교수전략이나 학습활동 열거
▷ 새로 개발되어야 하거나 많은 수정이 필요한 동기전략 열거
▷ 개발 계획을 작성(과제, 인원, 기간, 방법 등)
▷ 개발결과로서 기대되는 구체적 동기전략 기술(특징, 소요시간, 특정 조건 등)
□ 10단계 : 평가 및 수정(Evaluation and revision)
○ 학습자가 얼마나 좋아하고 학습효과도 높은지를 검증하는 단계
▷ 평가질문사항 열거
▷ 평가도구와 방법 열거(질문지, 관찰, 체크리스트 등)
▷ 평가계획 기술(대상자, 장소, 시간 등)
▷ 결과 요약
▷ 수정사항 기술
6. ARCS 이론의 장·단점
1) 이론의 장점
① 동기와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도록 도와주는 구체적 변인들을 제공.
② 기존 동기 연구들의 종합작업은 동기에 관한 응용연구들의 개발을 좀 더 용이하게 함.
③ 교수설계자들에게 유용한 처방적 전략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연구들을 통합하는 체계적 개념의 틀을 제공.
2) 이론의 단점
① 인간의 학습동기를 유발유지시키기 위한 동기전략은 구체적처방적 전략으로 제시되기가 매우 어렵다.
② ARCS 이론을 적용하기 전에 학습 상항의 문제가 정확히 분석되어야 하고, 문제가 교수의 동기적 측면에 해당될 때만 ARCS가 사용되어야 한다.
8. 교수전략에 통합
교수전략 개발
개발
9. 교재 선택 및 개발
교재 선택 및 개발
시험평가
10. 평가 및 수정
형성평가 설계 및 실시
수업개정
총괄평가 설계 및 실시
□ 1단계 : 코스정보 획득(Obtain course information)
○ 코스 기술(course description) : 코스에 대한 개관, 목적, 가르쳐야 할 빈도는?
○ 코스의 정당화(rational for the course) : 교육과정 요구나 요건, 학습자에게 유익한 점은?
○ 맥락(context) : 다른 코스와의 관계 및 전달방법(교실강의, 토의, 실험식, 자기학습)은?
○ 교사정보(instructor information) : 교사의 전문성, 개인적 성향, 지식, 경험은?
□ 2단계 : 대상자 정보 획득(Obtain audience information)
○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관계 : 동질적 집단, 몇몇 특정 소집단 형성 여부?
○ 학교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 긍정적, 부정적?
○ 수업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 선택/필수 과목, 유용성, 흥미/지루함
○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교수전략 : 강의와 연습, 협력학습, 사례연구, 역할연기, 컴퓨터보조학습
□ 3단계 : 대상자 동기 분석(Audience analysis)
○ 동기상태 파악 단위 선정 : 학습자 전체/소집단
○ 학습자 동기상태 기술
: 1단계, 2단계에서 얻은 정보에 근거하여 주의집중 준비도(A), 지각된 관련성(R), 지각된 자신감
(C), 만족감 예상(S)에 대한 학습자의 특징 기술
○ 동기분석결과를 그래프로 표현
○ 동기의 주요 문제와 부수적인 문제 파악
○ 동기문제 해결 방안 마련
: 동기문제의 주요원인이 해소가능한지, 동기향상을 위해 어떤 조건을 변화시켜야 하는가?
○그 밖의 고려사항 기록
□ 4단계 : 기존 교재 분석(Analyze existing materials)
○ A, R, C, S 항목에 대해
▷ 긍정적 특성 분석 : 대상자에게 적합한 동기전략이 포함되어 있는가?
▷ 부정적 특성 분석 : 대상자에게 부적합한 동기전략이 포함되어 있는가?
▷ 부족한 동기전략 파악 : 부족한 동기전략은 무엇인가?
▷ 일반적 코멘트 : 전반적인 수업이나 문서들에 적합한 코멘트 포함
□ 5단계 : 동기목표 설정 및 측정방법 열거(List objectives and assessment)
○ 동기목표진술 : 학습자에게서 관찰하고자 하는 동기유발된 행동 기술
▷ 동기특성에 있어서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 변화를 기술
▷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을 진술하고, 주요한 조건과 기대하는 수준 진술
○ 측정방법 기술 : 동기목표가 달성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
▷ 동기목표자체로부터 측정방법을 대충 확인 가능
▷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 특정한 측정도구 사용여부 및 사용시기
□ 6단계 : 예비전략 열거(List potential tactic)
○ 동기전략의 브레인스토밍 단계
○ 5단계에서 설정한 동기목표에 대한 가능한 모든 동기전략 열거
▷ 시간, 비용면에서 적절해 보이지 않더라도 모든 아이디어를 열거함
▷ A, R, C, S 항목 각각에 대해
수업의 초기 : 주로 동기유발을 위한 모든 동기전략을 나열
중간 단계 : 주로 동기유지를 위한 동기전략들을 나열
마지막 단계 : 주로 수업을 마무리하고 계속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동기전략들을 나열
전체 : 수업시간 내내 동기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기전략도 따로 나열
□ 7단계 : 최종전략 선택(Select and design tactic)
○ 동기목표에 맞는 동기전략을 주어진 준거에 의해 선택하는 단계
○ A, R, C, S 항목에 대해 각각 작성하지 않고 동기전락을 통합하여 표현
(전체, 초기, 중반, 마무리)
○ 동기전략 선택 준거
▷ 전체 수업시간 : 동기전략이 너무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 않도록
▷ 수업목표에 대한 공헌도 : 수업자체보다 재미있지 않도록
▷ 동기전략 개발에 사용되는 합리적 시간 및 비용
▷ 대상자의 학습양식에 맞는 동기전략
▷ 교사의 교수양식에 맞는 동기전략
▷ 동기전략의 현명한 사용 : 대상자 분석에 근거하여 필요한 전략만큼만 사용
□ 8단계 : 교수전략에 통합(Integrate with instruction)
○ 최종 선택한 동기전략을 수업내용과 교수전략, 즉 학습활동에 통합시키는 단계
○ 설계 대상이 되는 수업을 살펴보고, 주요 요소를 직접 나열(전체 개요, 내용구성, 학습활동 등)
○ 7단계에서 선택한 동기전략을 위에 나열된 수업의 주요 요소의 각 부분에 어떻게 필요한지 결정
□ 9단계 : 교재 선택 및 개발(Select and development materials)
○ 동기목표에 맞는 기존의 교재를 선택하거나, 새롭게 개발
▷ 동기목표에 맞는 기존 동기전략 교재나 활동 파악
▷ 동기목표에 맞거나 약간의 수정만 필요한 기존 교수전략이나 학습활동 열거
▷ 새로 개발되어야 하거나 많은 수정이 필요한 동기전략 열거
▷ 개발 계획을 작성(과제, 인원, 기간, 방법 등)
▷ 개발결과로서 기대되는 구체적 동기전략 기술(특징, 소요시간, 특정 조건 등)
□ 10단계 : 평가 및 수정(Evaluation and revision)
○ 학습자가 얼마나 좋아하고 학습효과도 높은지를 검증하는 단계
▷ 평가질문사항 열거
▷ 평가도구와 방법 열거(질문지, 관찰, 체크리스트 등)
▷ 평가계획 기술(대상자, 장소, 시간 등)
▷ 결과 요약
▷ 수정사항 기술
6. ARCS 이론의 장·단점
1) 이론의 장점
① 동기와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도록 도와주는 구체적 변인들을 제공.
② 기존 동기 연구들의 종합작업은 동기에 관한 응용연구들의 개발을 좀 더 용이하게 함.
③ 교수설계자들에게 유용한 처방적 전략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연구들을 통합하는 체계적 개념의 틀을 제공.
2) 이론의 단점
① 인간의 학습동기를 유발유지시키기 위한 동기전략은 구체적처방적 전략으로 제시되기가 매우 어렵다.
② ARCS 이론을 적용하기 전에 학습 상항의 문제가 정확히 분석되어야 하고, 문제가 교수의 동기적 측면에 해당될 때만 ARCS가 사용되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심리학) 동기이론과 접근방법에 관한 총체적 이해
교육심리학 '동기이론'에 대하여
조직행동론 동기부여이론
Herzberg(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동기 이론, 업무바탕 동기이론, 인지적 과정 이론 , 동기 이론의 행동 접근, 동기 이론의 실...
조직행동론- 동기부여이론
[동기부여의 이론과 실제] 개인행동과 동기부여, 동기부여의 내용이론과 과정이론, 동기부여...
인지부조화론에 근거하고 있는 동기이론을 설명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적 현상 하나를 선택하여 동기이론으로 설명하시오
자원봉사 동기이론 및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기능
[교육행정] 매슬로우와 허즈버그의 동기이론을 비교
[교육학개론] 교수·학습의 조건(학습동기學習動機, 준비도, 전이, 기억, 학습환경)과 교수·학...
[학습동기]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학습동기 유발방법
[학습동기] 동기의 의미(개념정의)와 유형, 학습동기의 유발(학습동기유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