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황체형성호르몬
(LH ; luteinizing hormone)
- 남성: 사이질세포자극호르몬
: 테스토스테론, 안드로겐 분비
- 여성: 황체형성호르몬 유리호르몬
: 배란, 난포의 형성 촉진
: 황체를 자극하여 progesteron 분비.
⑤ 갑상샘자극호르몬
(TSH ; thyroid stimulating hormone)
- 티록신(thyroxine)을 분비
- 소마토트로핀에 의해 저하.
⑥ 부신겉질자극호르몬
(ACTH ; adenocorticotropic hormone)
- 부신겉질을 자극
- glucocorticooid와 성호르몬 분비.
- 스트레스받을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에
의해 분비가 촉진.
⑦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MSH ;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음.
(2) 뒤엽 호르몬
① 옥시토신
(oxytocin)
- 출산이나 성교시 자궁벽의 민무늬근 수축
- 아기가 젖을 빨 때 젖의 배출을 도움.
- 성교시 자궁벽을 수축시켜 행위를 도움.
- 사정된 정자를 수정장소로 이동.
- 자궁이 임신전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도움.
② 항이뇨호르몬
(ADH ; antidiuretic hormone)
- 바소프레신(vasopressin)이라고 함.
- 콩팥의 집합관과 먼쪽곱슬세관의 수분 재흡
수를 촉진.
- 시상하부의 혈중 삼투압 농도에 의해 조절.
- 손상은 요붕증(diabetes inspidus)을 발생.
2. 갑상샘
1) 갑상샘의 구조
- 목의 앞쪽에 있는 방패연골 부위에 존재
2) 갑상샘 호르몬
(1) 소포세포 호르몬
- 티록신과 삼요오드티로닌을 분비
* 티록신, 삼요오드티로닌
- 인체의 기초대사율을 조절.
(2) 소포곁세포 호르몬
- 칼시토닌(calcitonin)
: 혈중 Ca²+와 인산염 농도를 낮게
3. 부갑상샘
1) 부갑상샘의 구조
- 갑상샘 가쪽엽의 뒤쪽에 위치.
2) 부갑상샘 호르몬
- 부갑상샘호르몬(parathormone)
: 혈중 Ca²+농도를 상승.
: 콩팥에서 Ca²+와 인산염의 분비 조절
: 음식섭취로 인한 Ca²+ 의 재흡수 촉진
4. 부신(adrenal gland)
1) 부신의 구조
- 왼쪽과 오른쪽 콩팥에 얹혀 있는 1쌍의 기관
-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음.
- 겉질과 속질로 구분.
(1) 부신겉질(adrenal cortex)
① 부신겉질의 구조
* 토리구역(zona glomerulosa)
- 가장 바깥층: 알도스테론
* 다발구역(zona fasciculate)
- 중간부위: 코티솔
* 그물구역(zona reticularis)
- 안쪽부위: 안드로겐
② 부신겉질호르몬
- 염류겉질호르몬(mineralocorticoids)
: Na+ 재흡수와 K+분비 촉진
: 전해질 균형, 정상 혈압, 혈액량 유지
- 당류겉질호르몬(glucocorticoid)
: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중간대사 조절
: 지방과 단백질을 당질로 전환.
: 감염반응과 면역반응을 억제
-> 과잉시 Cushing's 증후군
- 생식스테로이드(sex steroid)
: 남성의 성질을 발현시켜주는 이차 남성H
: 중년기의 생식샘이라고 부름.
: 여성에게서 성적 충동을 유발.
(2) 부신속질(adrenal medulla)
① 부신속질의 구조
- 크롬친화성세포로 구성
- 카테콜라민을 분비.
② 부신속질 호르몬
- 75%의 에피네프린, 25%의 노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epinephrine)
- 교감신경계를 흥분
- 부신속질의 크롬친화성 세포에서만 분비.
- 심박동수, 활동, 수축력증가, 동공확대 등
- 심장에선 노에피보다 20배 강함.
* 노에피네프린(norepinephirne)
- 혈당상승과 기관지확장작용은 안함
- 에피네프린보다 혈관수축작용 강함
- 혈압상승과 쇼크방지 위해 사용
5. 이자(pancreas)
1) 이자의 구조
- 배안의 샘창자와 지라사이에 있는 소화샘
- 내분비 기능은 랑거한스섬세포에서 이루어짐
2) 이자의 호르몬
-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
(1) 인슐린(insulin)
- 랑거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
- 세포내로 포도당 수송을 증가
- 혈중 포도당 농도를 감소
- 간, 근육에서 포도당을 당원질로 전환
(2) 글루카곤(glucagon)
- 랑거한스섬의 α세포에서 분비
- 간의 당원질을 포도당으로 전환함
- 혈중 포도당 농도를 상승
- 간과 지방조직이 표적기관
(3)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 랑거한스섬의 δ세포에서 분비
- 글루카곤과 인슐린의 분비 억제
6. 생식샘
-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생산
1) 난소(ovary)
- 난자를 만드는 기관이며 여성호르몬 분비
* 난포자극호르몬 -> 에스트로겐 -> 황체형성
호르몬 -> 프로게스테론
(1) 에스트로겐(estrogen)
- 포상난포, 태반에서 분비
- 난자의 성숙 촉진, 생식조직의 크기, 양증가
- 자궁 상피세포증식 -> 자궁의 크기 증대
- 세뇨관에서 Na+와 물의 재흡수 촉진
- 배란을 촉진하고 성욕을 촉진.
-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유도
- 유방의 발달을 촉진.
(2)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 황체에서 분비
- 자궁점막에서 점액의 분비 촉진
- 자궁 근육의 운동 억제 -> 안정
- 출산까지 배란억제
- 출산 직후 프로락틴 촉진하여 젖분비 도움
2) 고환(testis)
- 정자를 만드는 기관이며 남성 H분비.
- 사이질세포의 테스토스테론
- 버팀세포의 에스트로겐
- 남성의 2차성징 발현
3) 태반(placenta)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 당류코
르티코이드, 황체호르몬 분비
-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HCG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을 분
비하며 임신 처음 3개월간 황체 유지.
7. 기타 내분비 조직과 호르몬
1) 솔방울샘(pineal body)
- 사이뇌 바닥부의 목에 부착
- 멜라토닌(melatonin) 분비
: 뇌하수체생식샘자극호르몬 유리 억제
: 사춘기 조기발현 방지
: 주기적 리듬에 영향을 주는 H 생산
2) 가슴샘(thymus)
- 세로칸의 앞부부넹 있는 림프모양의 기관
- 티모신(thymosin)의 분비
: T-세포라는 림프세포의 발달 촉진.
(LH ; luteinizing hormone)
- 남성: 사이질세포자극호르몬
: 테스토스테론, 안드로겐 분비
- 여성: 황체형성호르몬 유리호르몬
: 배란, 난포의 형성 촉진
: 황체를 자극하여 progesteron 분비.
⑤ 갑상샘자극호르몬
(TSH ; thyroid stimulating hormone)
- 티록신(thyroxine)을 분비
- 소마토트로핀에 의해 저하.
⑥ 부신겉질자극호르몬
(ACTH ; adenocorticotropic hormone)
- 부신겉질을 자극
- glucocorticooid와 성호르몬 분비.
- 스트레스받을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에
의해 분비가 촉진.
⑦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MSH ;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음.
(2) 뒤엽 호르몬
① 옥시토신
(oxytocin)
- 출산이나 성교시 자궁벽의 민무늬근 수축
- 아기가 젖을 빨 때 젖의 배출을 도움.
- 성교시 자궁벽을 수축시켜 행위를 도움.
- 사정된 정자를 수정장소로 이동.
- 자궁이 임신전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도움.
② 항이뇨호르몬
(ADH ; antidiuretic hormone)
- 바소프레신(vasopressin)이라고 함.
- 콩팥의 집합관과 먼쪽곱슬세관의 수분 재흡
수를 촉진.
- 시상하부의 혈중 삼투압 농도에 의해 조절.
- 손상은 요붕증(diabetes inspidus)을 발생.
2. 갑상샘
1) 갑상샘의 구조
- 목의 앞쪽에 있는 방패연골 부위에 존재
2) 갑상샘 호르몬
(1) 소포세포 호르몬
- 티록신과 삼요오드티로닌을 분비
* 티록신, 삼요오드티로닌
- 인체의 기초대사율을 조절.
(2) 소포곁세포 호르몬
- 칼시토닌(calcitonin)
: 혈중 Ca²+와 인산염 농도를 낮게
3. 부갑상샘
1) 부갑상샘의 구조
- 갑상샘 가쪽엽의 뒤쪽에 위치.
2) 부갑상샘 호르몬
- 부갑상샘호르몬(parathormone)
: 혈중 Ca²+농도를 상승.
: 콩팥에서 Ca²+와 인산염의 분비 조절
: 음식섭취로 인한 Ca²+ 의 재흡수 촉진
4. 부신(adrenal gland)
1) 부신의 구조
- 왼쪽과 오른쪽 콩팥에 얹혀 있는 1쌍의 기관
-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음.
- 겉질과 속질로 구분.
(1) 부신겉질(adrenal cortex)
① 부신겉질의 구조
* 토리구역(zona glomerulosa)
- 가장 바깥층: 알도스테론
* 다발구역(zona fasciculate)
- 중간부위: 코티솔
* 그물구역(zona reticularis)
- 안쪽부위: 안드로겐
② 부신겉질호르몬
- 염류겉질호르몬(mineralocorticoids)
: Na+ 재흡수와 K+분비 촉진
: 전해질 균형, 정상 혈압, 혈액량 유지
- 당류겉질호르몬(glucocorticoid)
: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중간대사 조절
: 지방과 단백질을 당질로 전환.
: 감염반응과 면역반응을 억제
-> 과잉시 Cushing's 증후군
- 생식스테로이드(sex steroid)
: 남성의 성질을 발현시켜주는 이차 남성H
: 중년기의 생식샘이라고 부름.
: 여성에게서 성적 충동을 유발.
(2) 부신속질(adrenal medulla)
① 부신속질의 구조
- 크롬친화성세포로 구성
- 카테콜라민을 분비.
② 부신속질 호르몬
- 75%의 에피네프린, 25%의 노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epinephrine)
- 교감신경계를 흥분
- 부신속질의 크롬친화성 세포에서만 분비.
- 심박동수, 활동, 수축력증가, 동공확대 등
- 심장에선 노에피보다 20배 강함.
* 노에피네프린(norepinephirne)
- 혈당상승과 기관지확장작용은 안함
- 에피네프린보다 혈관수축작용 강함
- 혈압상승과 쇼크방지 위해 사용
5. 이자(pancreas)
1) 이자의 구조
- 배안의 샘창자와 지라사이에 있는 소화샘
- 내분비 기능은 랑거한스섬세포에서 이루어짐
2) 이자의 호르몬
-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
(1) 인슐린(insulin)
- 랑거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
- 세포내로 포도당 수송을 증가
- 혈중 포도당 농도를 감소
- 간, 근육에서 포도당을 당원질로 전환
(2) 글루카곤(glucagon)
- 랑거한스섬의 α세포에서 분비
- 간의 당원질을 포도당으로 전환함
- 혈중 포도당 농도를 상승
- 간과 지방조직이 표적기관
(3)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 랑거한스섬의 δ세포에서 분비
- 글루카곤과 인슐린의 분비 억제
6. 생식샘
-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생산
1) 난소(ovary)
- 난자를 만드는 기관이며 여성호르몬 분비
* 난포자극호르몬 -> 에스트로겐 -> 황체형성
호르몬 -> 프로게스테론
(1) 에스트로겐(estrogen)
- 포상난포, 태반에서 분비
- 난자의 성숙 촉진, 생식조직의 크기, 양증가
- 자궁 상피세포증식 -> 자궁의 크기 증대
- 세뇨관에서 Na+와 물의 재흡수 촉진
- 배란을 촉진하고 성욕을 촉진.
-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유도
- 유방의 발달을 촉진.
(2)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 황체에서 분비
- 자궁점막에서 점액의 분비 촉진
- 자궁 근육의 운동 억제 -> 안정
- 출산까지 배란억제
- 출산 직후 프로락틴 촉진하여 젖분비 도움
2) 고환(testis)
- 정자를 만드는 기관이며 남성 H분비.
- 사이질세포의 테스토스테론
- 버팀세포의 에스트로겐
- 남성의 2차성징 발현
3) 태반(placenta)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 당류코
르티코이드, 황체호르몬 분비
-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HCG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을 분
비하며 임신 처음 3개월간 황체 유지.
7. 기타 내분비 조직과 호르몬
1) 솔방울샘(pineal body)
- 사이뇌 바닥부의 목에 부착
- 멜라토닌(melatonin) 분비
: 뇌하수체생식샘자극호르몬 유리 억제
: 사춘기 조기발현 방지
: 주기적 리듬에 영향을 주는 H 생산
2) 가슴샘(thymus)
- 세로칸의 앞부부넹 있는 림프모양의 기관
- 티모신(thymosin)의 분비
: T-세포라는 림프세포의 발달 촉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