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맥그리거의 XY이론
1. XY이론의 설명
2. X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인간성에 관한 가설
3. Y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인간성에 관한 가설
4. X이론과 Y이론의 관리적 영향
1) X이론이 관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2) Y이론이 관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II.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III. 리더십의 상황요인
1. 과업특성
2. 리더의 능력
3. 부하의 태도와 욕구
4. 리더의 권력
1. XY이론의 설명
2. X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인간성에 관한 가설
3. Y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인간성에 관한 가설
4. X이론과 Y이론의 관리적 영향
1) X이론이 관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2) Y이론이 관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II.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
III. 리더십의 상황요인
1. 과업특성
2. 리더의 능력
3. 부하의 태도와 욕구
4. 리더의 권력
본문내용
하였다.
이들은 리더와 부하 간의 상호 조화관계를 중시하면서 부하의 성숙도에 따라 이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이 이론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의 유형이 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의해 결정 된다는 것이다.
둘째, 리더십의 두 가지 차원, 즉 관계차원(인간중심)과 과업차원(과업중심)은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별개의 것으로 상호 영향을 주지 않고 두 가지 요소가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관계행동(relationship behavior)과 과업행동(task behavior)에이 어 세 번째 차원인 부하들의 성숙수준(maturity or readiness)은 그들이 얼마만큼 자질과 사기가 있으며 책임의식, 자신감 등을 가지고 있는지의 문제로서 달성 가능한 목표의 설정능력이나 책임의식, 의사소통능력, 교육과 경험 등을 말한다.
<그림>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모형
부하의 성숙수준은 리더십 유형을 결정하는 유일한 독립변수이기 때문에 리더는 부하의 태도나 행동을 보고 성숙수준을 감지하여 적절한 리더십을 선택하여 발휘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부하의 성숙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효한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지시적인 리더(telling)이다. 이들은 과업지향성은 높지만 관계지향성은 낮은 리더로써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매사에 리더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주도적인 리더를 말한다.
두 번째는 설득적인 리더(selling)이다. 이들은 높은 과업지향성과 높은 관계지향성을 지닌 리더로써 부하와 쌍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공동의사결정을 강조하는 후원적인 리더를 말한다.
세 번째는 참여적인 리더(participating)이다. 이들은 관계지향성은 높지만 과업지향성은 낮은 리더로써 부하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의사결정 시에는 부하의 의사를 존중하여 많이 반영시키는 리더를 말한다.
네 번째는 위양적인 리더(delegating)이다. 과업지향성과 관계지향성이 모두 낮은 리더로써 이들은 부하의 자율적 행동과 자기 통제에 의존하는 리더를 말한다.
III. 리더십의 상황요인
이상에서 설명한 몇 가지 리더십의 상황이론과 그 밖의 이론들을 종합하여 보면 리더십의 중요한 상황요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1) 과업특성
어떤 직무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사전에 어렵지 않게 할당 할 수 있는 성질을 지니며 그에 관련된 기술 역시 빠르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긴급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직무는 이와는 반대되는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긴급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그 성질이 전자에 가까운 직무에 대해서는 엄밀한 통제와 공식적이고 표준화된 규칙과 절차를 강조하는 리더십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성질이 후자에 가까운 직무에 대해서는 또 다른 리더십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2) 리더의 능력
어떤 리더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술과 환경에 대하여 부하들보다 많은 지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 하에서 리더는 부하들로부터 의견을 듣거나 그들의 지식을 이용하기 위하여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하들에 대한 일방적 통제(unilateral control)에 치우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여러 방면에 있어서 리더의 능력이 부하들에 미치지 못한다면 리더와 부하들 간에 통제의 분배(sharing control)가 필요해질 것이다.
(3) 부하의 태도와 욕구
부하에 따라서는 비교적 어렵고 도전성이 있는 직무를 좋아하며 비교적 큰 의사결정권을 갖고 자유롭게 행동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 하에서 리더는 부하에게 비교적 큰 자율성과 독립성을 허용할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부하들이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규정이나 절차에 의한 직무수행을 원하는 상황에서는 부하들을 강력히 통제할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4) 리더의 권력
여기서 리더의 권력은 지위의 견고성, 상부계층이나 외부로부터 지지를 받는 정도, 상이나 벌을 줄 수 있는 권한의 정도 등을 말한다. 만일 리더의 지위가 매우 견고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그러한 리더의 리더십 스타일은 비교적 대범하고 모험적이며 공식적인 규칙이나 절차를 잘 따르려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그 지위가 견고하지 못한 리더는 모든 일을 소심하고 신중하게 그리고 공식적 규칙이나 절차에 따라서 처리하려고 할 것이다.
이들은 리더와 부하 간의 상호 조화관계를 중시하면서 부하의 성숙도에 따라 이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이 이론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의 유형이 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의해 결정 된다는 것이다.
둘째, 리더십의 두 가지 차원, 즉 관계차원(인간중심)과 과업차원(과업중심)은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별개의 것으로 상호 영향을 주지 않고 두 가지 요소가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관계행동(relationship behavior)과 과업행동(task behavior)에이 어 세 번째 차원인 부하들의 성숙수준(maturity or readiness)은 그들이 얼마만큼 자질과 사기가 있으며 책임의식, 자신감 등을 가지고 있는지의 문제로서 달성 가능한 목표의 설정능력이나 책임의식, 의사소통능력, 교육과 경험 등을 말한다.
<그림>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모형
부하의 성숙수준은 리더십 유형을 결정하는 유일한 독립변수이기 때문에 리더는 부하의 태도나 행동을 보고 성숙수준을 감지하여 적절한 리더십을 선택하여 발휘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부하의 성숙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효한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지시적인 리더(telling)이다. 이들은 과업지향성은 높지만 관계지향성은 낮은 리더로써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매사에 리더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주도적인 리더를 말한다.
두 번째는 설득적인 리더(selling)이다. 이들은 높은 과업지향성과 높은 관계지향성을 지닌 리더로써 부하와 쌍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공동의사결정을 강조하는 후원적인 리더를 말한다.
세 번째는 참여적인 리더(participating)이다. 이들은 관계지향성은 높지만 과업지향성은 낮은 리더로써 부하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의사결정 시에는 부하의 의사를 존중하여 많이 반영시키는 리더를 말한다.
네 번째는 위양적인 리더(delegating)이다. 과업지향성과 관계지향성이 모두 낮은 리더로써 이들은 부하의 자율적 행동과 자기 통제에 의존하는 리더를 말한다.
III. 리더십의 상황요인
이상에서 설명한 몇 가지 리더십의 상황이론과 그 밖의 이론들을 종합하여 보면 리더십의 중요한 상황요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1) 과업특성
어떤 직무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사전에 어렵지 않게 할당 할 수 있는 성질을 지니며 그에 관련된 기술 역시 빠르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긴급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직무는 이와는 반대되는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긴급한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그 성질이 전자에 가까운 직무에 대해서는 엄밀한 통제와 공식적이고 표준화된 규칙과 절차를 강조하는 리더십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성질이 후자에 가까운 직무에 대해서는 또 다른 리더십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2) 리더의 능력
어떤 리더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술과 환경에 대하여 부하들보다 많은 지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 하에서 리더는 부하들로부터 의견을 듣거나 그들의 지식을 이용하기 위하여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하들에 대한 일방적 통제(unilateral control)에 치우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여러 방면에 있어서 리더의 능력이 부하들에 미치지 못한다면 리더와 부하들 간에 통제의 분배(sharing control)가 필요해질 것이다.
(3) 부하의 태도와 욕구
부하에 따라서는 비교적 어렵고 도전성이 있는 직무를 좋아하며 비교적 큰 의사결정권을 갖고 자유롭게 행동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 하에서 리더는 부하에게 비교적 큰 자율성과 독립성을 허용할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부하들이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규정이나 절차에 의한 직무수행을 원하는 상황에서는 부하들을 강력히 통제할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4) 리더의 권력
여기서 리더의 권력은 지위의 견고성, 상부계층이나 외부로부터 지지를 받는 정도, 상이나 벌을 줄 수 있는 권한의 정도 등을 말한다. 만일 리더의 지위가 매우 견고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그러한 리더의 리더십 스타일은 비교적 대범하고 모험적이며 공식적인 규칙이나 절차를 잘 따르려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그 지위가 견고하지 못한 리더는 모든 일을 소심하고 신중하게 그리고 공식적 규칙이나 절차에 따라서 처리하려고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