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목차
Ⅰ. 조직의 정의
제 1 장 조직의 개념 /
Ⅱ. 조직이론의 계보
제 1 장 고전적 조직이론 /
제 2 장 신고전적 조직이론 /
Ⅲ. 조직의 구조
제 1 장 Max Weber의 관료제론과 이념형 /
제 2 장 상황이론 /
Ⅳ. 조직의 관리
제 1 장 Henry Fayol의 일반관리론 /
제 2 장 상황적응이론 /
제 3 장 시장이론(Market Theory) /
Ⅴ. 조직과 인간
제 1 장 McGregor의 X-Y이론과 Ouchi의 Z이론 /
제 2 장 리더십, 권력과 갈등관리 /
Ⅵ. 조직과 환경
제 1 장 조직과 환경 /
제 2 장 자원의존이론 /
Ⅶ. 조직의 미래
제 1 장 조직발전 /
제 2 장 조직혁신 /
제 3 장 가상조직 /
제 1 장 조직의 개념 /
Ⅱ. 조직이론의 계보
제 1 장 고전적 조직이론 /
제 2 장 신고전적 조직이론 /
Ⅲ. 조직의 구조
제 1 장 Max Weber의 관료제론과 이념형 /
제 2 장 상황이론 /
Ⅳ. 조직의 관리
제 1 장 Henry Fayol의 일반관리론 /
제 2 장 상황적응이론 /
제 3 장 시장이론(Market Theory) /
Ⅴ. 조직과 인간
제 1 장 McGregor의 X-Y이론과 Ouchi의 Z이론 /
제 2 장 리더십, 권력과 갈등관리 /
Ⅵ. 조직과 환경
제 1 장 조직과 환경 /
제 2 장 자원의존이론 /
Ⅶ. 조직의 미래
제 1 장 조직발전 /
제 2 장 조직혁신 /
제 3 장 가상조직 /
본문내용
l reality)’이 아니라 ‘가상 기억(virtual memory)'을 의미한다. Luthans, F, 「Organizational Behavior」(New York: McGraw-Hill, 1995) p.487
가상기억은 컴퓨터의 기억능력을 실제보다 크게 보이도록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가상조직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회를 신속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직들이 임시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조직구조이다. 박우순, 「현대조직론」(서울: 법문사, 1996) p.123
가상조직이란 가상공간(cyber-space) 즉, 컴퓨터 연결망상에 존재하는 조직을 말한다. 전통적 조직이론에서 말하는 조직의 구성요소인 인간적 요소, 공동의 목표, 합리성의 지배를 받는 공식적 구조와 과정, 경계확정 및 환경과의 교호작용 등의 요소를 吳錫泓, 「組織理論」(서울: 博英社, 1990) pp.84-88
모두 가지고 있지만 조직의 물리적 측면, 즉 공동의 물리적 공간의 공유, 대면적(face to face) 접촉과 대면적 의사소통 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상조직은 기존의 조직과 개념적으로 구별된다. 달리 말하면, 기존의 조직개념에서 조직의 물리적 차원(physical domain)들을 사상(捨象)해 낸 것이 가상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직에는 물리적 차원(physical domain)과 인지적 차원(perceptual dimension)이 존재한다. 조직의 물리적 차원은 조직이 가지고 있는 가시적이고 물리적인 요소 즉, 조직이 공유하는 공간과 집기, 구체적 생산물, 회의나 결재와 같은 관찰가능한 많은행위 등 우리가 일상의 조직에서 외견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물건, 활동, 과정들을 말한다.
반면에 인지적 차원은 그러한 물리적 차원이나 개인의 역할과 조직의 목표에 대한 인식의 행태로 존재하는 상징과 의미부여를 말한다. 따라서 조직의 물리적 차원과 인지적 차원은 마치 동전의 양면과 같이 조직을 이루는 핵심적 측면의 하나이다.
이러한 두 측면 중에서 조직의 물리적 측면은 추상화되고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 가상조직의 대표적 특성이다. 따라서 가상조직에서는 조직의 주체성(identy)에 대한 인식이 조직구성원이 공유하는 주관적 의미의 연결망(Network)으로 구성되는 지식체계의 형태를 띠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가상조직에서의 조직 개념은 종래 소위 조직의 행동주체들의 인지적 설정(enactment)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 메타포를 통한 조직연구, 조직문화의 인지적 접근 등에서 파악하듯이 조직의 논리적인식적관계적 측면이 강조된다.
조직을 구성하는 인간의 역할 또한 기존의 조직에서 보이는 대면적 접촉에 의한 것이 아니라, 컴퓨터 통신망을 통한 전자우편, 전자회의 등의 방법에 의한 커뮤티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된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에는 조직을 구성하는 ‘인간’은 단말기 저편에 존재하고 있고, 조직에는 오직 그 인간들의 ‘인식부호(ID)'만이 존재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조직구성원은 공식적 역할의 수행자들로만 인식되며 따라서 호손실험에서 말하는 소위 인간관계나 비공식적 집단의 중요성은 더 이상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이처럼 가상조직에서는 조직내 인간의 의미가 현저하게 다른 형태로 인식되는 것이다. Roethlisberger, F. J, 「Management and the Worker」(New York: Wiley, 1939) p.172
가상조직에서는 조직의 경계(boundary)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또한 대단히 불명확해 진다. 조직을 경계짓는(demarcate) 물리적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직의 경계를 확인하기 어렵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또한 기존의 조직과는 달리 소수의 거래자들(boundary spanners)의 역할이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2. 가상조직의 특성
가상조직은 전통적인 조직구조와는 달리 가상조직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조직들은 비용, 기술, 세계시장에의 접근 등의 모든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게 된다. 가상조직에 참여하는 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자원과 능력을 가상조직에 최대로 공급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가상조직의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정보네트워크가 원거리에 있는 조직과 조직, 혹은 기업과 기업가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호연계를 할 수 있는 것은 전자접촉(electronic contacts)에 기초한다.
둘째, 참여자간의 동업관계는 비영구적이고 비공식적이며, 보다 기회주의적이다. 참여조직들은 모든 구체적인 시장기회에 공동으로 대응하며, 필요가 없으면 조직은 해체된다.
셋째, 가상조직은 전통적인 조직의 경계를 재정의하게 되어 조직의 경계를 설정하기가 어렵다. 경쟁자, 공급자, 고객간의 협력이 어디에서부터 조직에 참여하게 되고 탈퇴하게 되는가를 정하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조직의 무경계(無境界)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넷째, 가상조직에서 참여자들의 관계는 상호간의 신뢰를 요구하게 된다.
다섯째, 가상조직의 우수성(優秀性, excellence)이다. 가상조직에 참여하는 사람은 자신의 최고능력(core competence)을 가상조직에 가져오기 때문에 모든 것이 최고 (best-of-everything)인 조직을 창조할 수 있다. 모든 기능과 과정이 어느 한 조직으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수 있다.
3. 가상조직과 관련한 실천적 논의
현재 가상조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조직들이 있다. 아주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각 사설 정보 서비스 망 내에서 존재하는 여러 동호회나, 현재 인터넷에 개설되고 있는 소외 가상정당(假想政堂, virtual party), 가상정부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동호회의 경우는 공동의 관심사와 정보를 공유하고 친목을 도모한다는 취미생활의 향유의 느슨한 목표와 이완되고 미분화된 조직구성원의 역할분담 등을 이유로, 가상정당과 같은 경우는 아직 인간은 존재하지 않고 몇몇의 홈페이지만이 존재할 뿐이라는 이유로, 아직은 가상「조직」이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교통과 환경문제의 악화와 조직의 물리적 유지비용의 급격한 증가를 생각할 때 매우 진지한 의미의 가상조직이 등장할 근거는 많다.
가상기억은 컴퓨터의 기억능력을 실제보다 크게 보이도록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가상조직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회를 신속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직들이 임시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조직구조이다. 박우순, 「현대조직론」(서울: 법문사, 1996) p.123
가상조직이란 가상공간(cyber-space) 즉, 컴퓨터 연결망상에 존재하는 조직을 말한다. 전통적 조직이론에서 말하는 조직의 구성요소인 인간적 요소, 공동의 목표, 합리성의 지배를 받는 공식적 구조와 과정, 경계확정 및 환경과의 교호작용 등의 요소를 吳錫泓, 「組織理論」(서울: 博英社, 1990) pp.84-88
모두 가지고 있지만 조직의 물리적 측면, 즉 공동의 물리적 공간의 공유, 대면적(face to face) 접촉과 대면적 의사소통 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상조직은 기존의 조직과 개념적으로 구별된다. 달리 말하면, 기존의 조직개념에서 조직의 물리적 차원(physical domain)들을 사상(捨象)해 낸 것이 가상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직에는 물리적 차원(physical domain)과 인지적 차원(perceptual dimension)이 존재한다. 조직의 물리적 차원은 조직이 가지고 있는 가시적이고 물리적인 요소 즉, 조직이 공유하는 공간과 집기, 구체적 생산물, 회의나 결재와 같은 관찰가능한 많은행위 등 우리가 일상의 조직에서 외견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물건, 활동, 과정들을 말한다.
반면에 인지적 차원은 그러한 물리적 차원이나 개인의 역할과 조직의 목표에 대한 인식의 행태로 존재하는 상징과 의미부여를 말한다. 따라서 조직의 물리적 차원과 인지적 차원은 마치 동전의 양면과 같이 조직을 이루는 핵심적 측면의 하나이다.
이러한 두 측면 중에서 조직의 물리적 측면은 추상화되고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 가상조직의 대표적 특성이다. 따라서 가상조직에서는 조직의 주체성(identy)에 대한 인식이 조직구성원이 공유하는 주관적 의미의 연결망(Network)으로 구성되는 지식체계의 형태를 띠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가상조직에서의 조직 개념은 종래 소위 조직의 행동주체들의 인지적 설정(enactment)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 메타포를 통한 조직연구, 조직문화의 인지적 접근 등에서 파악하듯이 조직의 논리적인식적관계적 측면이 강조된다.
조직을 구성하는 인간의 역할 또한 기존의 조직에서 보이는 대면적 접촉에 의한 것이 아니라, 컴퓨터 통신망을 통한 전자우편, 전자회의 등의 방법에 의한 커뮤티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된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에는 조직을 구성하는 ‘인간’은 단말기 저편에 존재하고 있고, 조직에는 오직 그 인간들의 ‘인식부호(ID)'만이 존재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조직구성원은 공식적 역할의 수행자들로만 인식되며 따라서 호손실험에서 말하는 소위 인간관계나 비공식적 집단의 중요성은 더 이상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이처럼 가상조직에서는 조직내 인간의 의미가 현저하게 다른 형태로 인식되는 것이다. Roethlisberger, F. J, 「Management and the Worker」(New York: Wiley, 1939) p.172
가상조직에서는 조직의 경계(boundary)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또한 대단히 불명확해 진다. 조직을 경계짓는(demarcate) 물리적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직의 경계를 확인하기 어렵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또한 기존의 조직과는 달리 소수의 거래자들(boundary spanners)의 역할이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2. 가상조직의 특성
가상조직은 전통적인 조직구조와는 달리 가상조직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조직들은 비용, 기술, 세계시장에의 접근 등의 모든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게 된다. 가상조직에 참여하는 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자원과 능력을 가상조직에 최대로 공급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가상조직의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정보네트워크가 원거리에 있는 조직과 조직, 혹은 기업과 기업가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호연계를 할 수 있는 것은 전자접촉(electronic contacts)에 기초한다.
둘째, 참여자간의 동업관계는 비영구적이고 비공식적이며, 보다 기회주의적이다. 참여조직들은 모든 구체적인 시장기회에 공동으로 대응하며, 필요가 없으면 조직은 해체된다.
셋째, 가상조직은 전통적인 조직의 경계를 재정의하게 되어 조직의 경계를 설정하기가 어렵다. 경쟁자, 공급자, 고객간의 협력이 어디에서부터 조직에 참여하게 되고 탈퇴하게 되는가를 정하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조직의 무경계(無境界)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넷째, 가상조직에서 참여자들의 관계는 상호간의 신뢰를 요구하게 된다.
다섯째, 가상조직의 우수성(優秀性, excellence)이다. 가상조직에 참여하는 사람은 자신의 최고능력(core competence)을 가상조직에 가져오기 때문에 모든 것이 최고 (best-of-everything)인 조직을 창조할 수 있다. 모든 기능과 과정이 어느 한 조직으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수 있다.
3. 가상조직과 관련한 실천적 논의
현재 가상조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조직들이 있다. 아주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각 사설 정보 서비스 망 내에서 존재하는 여러 동호회나, 현재 인터넷에 개설되고 있는 소외 가상정당(假想政堂, virtual party), 가상정부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동호회의 경우는 공동의 관심사와 정보를 공유하고 친목을 도모한다는 취미생활의 향유의 느슨한 목표와 이완되고 미분화된 조직구성원의 역할분담 등을 이유로, 가상정당과 같은 경우는 아직 인간은 존재하지 않고 몇몇의 홈페이지만이 존재할 뿐이라는 이유로, 아직은 가상「조직」이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교통과 환경문제의 악화와 조직의 물리적 유지비용의 급격한 증가를 생각할 때 매우 진지한 의미의 가상조직이 등장할 근거는 많다.
추천자료
(사회조직론) 대안학교 조직에 대한 고찰 및 의미 - 조직권력과 기술을 중심으로
조직발전이론 조직행태론 - 행태적 기법, 감수성훈련, 작업집단발전, 관리유형도에 의한 조직...
[조직행동론]조직의 환경변화에 따른 조직개발기법에 관한 고찰
[조직관리론] 조직관리론 핵심정리 노트
[조직개발][조직개발 개념][조직개발 특성][조직개발 목적][조직개발 실태][조직문화][조직이...
조직행동론- 발생사적 관점을 토대로한 조직행동론의 발전
[사회복지행정]사회복지조직의 다양한 이론 정리(특징과 장단점 및 긍정적, 부정적 기능), 사...
[조직론A+]비영리조직 NGO 아름다운재단 경영적 조직구조 특징분석
[조직관리][조직학습이론][직무스트레스][조직관리 기법]조직관리의 특징, 조직관리의 내용, ...
[리더쉽] 리더쉽 이론 (리더와 리더십,특성이론(리더의 자질론),리더의 행태론(행동이론),상...
조직행동론_ 인간성을 강조한 조직행동연구(메이요의 호손실험과 인간관계론, 초기인간관계론...
관심 있는 사회복지분야 중 한 기관을 선택하고 그 기관의 조직의 분류 및 조직관리 방법 등...
현대조직 이론 중 학습조직이론이 있는데, 학습조직이론의 개념에 대해 생각해보고, 사회복지...
[현대조직 이론 중 학습조직이론이 있는데, 학습조직이론의 개념에 대해 생각해보고, 사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