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개론)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기존 이론이나 교재에서의 자모의 제시 순서를 정리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자모 제시 순서를 제시하고 의도를 설명하세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교육개론)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기존 이론이나 교재에서의 자모의 제시 순서를 정리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자모 제시 순서를 제시하고 의도를 설명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논의의 필요성
Ⅱ. 기존 자모 교육의 규정 및 내용
Ⅲ. 바람직한 자모 제시 순서의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글 자모자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글 맞춤법에서 제시하는 기본 자모자 외의 자모자 역시 현실적으로 발음되고 사용되는 자모자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본 자모자와 별개의 것으로 파악하고 자모 제시에 있어 분리하여 제시하는 것은 오히려 외국인 학습자에게 혼란을 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음과 모음의 제시에 있어서는 ‘음절’로 구분이 가능한 모음을 먼저 제시하고 상형과 합성이라는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기반을 두고 기본자를 먼저 제시한 이후 초출자, 재출자를 제시하여 보다 쉽게 한국어 자모를 습득할 수 있게 제시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자음자의 경우는 아, 설, 순, 치, 후 순으로 비슷한 자형을 가까운 순서대로 배치하여 발음 교육과 병행하여 자모를 학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리의 변별력을 키우는 것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자모 순서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모음자 : ㅗ ㅜ ㅏ ㅓ ㅡ ㅣ // ㅐ ㅔ ㅚ ㅟ
ㅛ ㅠ ㅑ ㅕ ㅒ ㅖ
ㅘ ㅝ // ㅙ ㅞ

(2) 자음자 : ㄱ / ㄴ ㄷ ㄹ / ㅁ ㅂ / ㅅ ㅈ / ㅇ
ㅋ ㅌ ㅍ ㅊ ㅎ
ㄲ ㄸ ㅃ ㅆ ㅉ
(3) 받침자 ㄱ ㅋ ㄲ / ㄴ /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ㄹ / ㅁ/ ㅂ ㅍ / ㅇ
(4) 복합 받침자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ㅂㅅ
Ⅳ. 참고문헌
박지원, 『외국인을 위한 한글 자모 교육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안찬원,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따른 한글 자모 교육』, 2011.
원순옥, 강주영, 『한글 자모 교육의 표준화 방안』, 2013.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7.19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5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