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자를 배우는 것을 의미했으며 서양의 전통에서 공부란 보편적 지식의 습득보다는 각 개인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노력이었으며 곧 대화가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고대 로마는 교육열이 높은 사회인데 아이들은 7살만 되면 교사의 집으로 찾아가 공부를 한다. 이들은 무거운 책가방과 노트필기 대신 자유로운 토론의 방식으로 왕성한 호기심의 욕구를 충족하고 있었다. 이시기 공부의 목적은 대화와 토론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이를 통해 생각하는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서양의 실용적이고 자율적인 공부 방법을 서서히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주입식 공부가 아닌 통합적인 사고의 발전을 위해 경험과 대화를 통한 의사표현과 주장하기의 중시를 초등학교 교과서개정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부문화가 모두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아이들은 과열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너무나도 치열한 방법으로 공부하고 있으며 그 목적이 자신의 발전이 아닌 환경에 의한 선택이 다수라는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현실이다. 성적이 떨어지면 친구가 자길 멍청이로 생각해서 놀아주지 않을 것 같은 불안함에 밤늦게까지 학원가를 돌고 있는 한국의 초등학생 vs 학교에 다녀오면 ‘무엇을 배웠니?’가 아닌 ‘무엇을 질문했니?’ 라고 물어보는 유태인들의 자녀교육. 너무나도 대조적인 공부문화의 현주소이다. 친구를 짓밟고 어떻게든 나만 살아남으면 된다는 과열화된 경쟁문화가 팽배해져가고 있는 대한민국은, 내가 살아남으려면 공동체와 더불어 교감하고 교류하는 문화속에서 나의 능력을 발전시키는 공부를 이제부터 해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서양의 실용적이고 자율적인 공부 방법을 서서히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주입식 공부가 아닌 통합적인 사고의 발전을 위해 경험과 대화를 통한 의사표현과 주장하기의 중시를 초등학교 교과서개정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부문화가 모두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아이들은 과열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너무나도 치열한 방법으로 공부하고 있으며 그 목적이 자신의 발전이 아닌 환경에 의한 선택이 다수라는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현실이다. 성적이 떨어지면 친구가 자길 멍청이로 생각해서 놀아주지 않을 것 같은 불안함에 밤늦게까지 학원가를 돌고 있는 한국의 초등학생 vs 학교에 다녀오면 ‘무엇을 배웠니?’가 아닌 ‘무엇을 질문했니?’ 라고 물어보는 유태인들의 자녀교육. 너무나도 대조적인 공부문화의 현주소이다. 친구를 짓밟고 어떻게든 나만 살아남으면 된다는 과열화된 경쟁문화가 팽배해져가고 있는 대한민국은, 내가 살아남으려면 공동체와 더불어 교감하고 교류하는 문화속에서 나의 능력을 발전시키는 공부를 이제부터 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