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조주로서의 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 즉, 그에게 있어서 자연이란 창조주로서의 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 신이 만든 모든 만물과 그 만물 가운데에서 일어나는 한 현상을 지칭한다. 자연은 경험주의적인 자연관과 스토아적 기독교적 자연관이 결합되어 있다. 그는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감각적 인지 단계, 내면적 지각 단계,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말한다. 인간이 어떤 사물을 지각하는 과정, 다시 말하여 사물이 존재하는 것을 아는 과정은 인간이 자신의 감각을 통하여 지식의 자료가 될 수 있는 현존하는 모든 것을 지각하고 지성을 통하여 감각적으로 인지된 사물에 대하여 추론하고, 내면 세계에서 형성된 지식을 언어와 손을 수단으로 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서라고 말할 수 있다.
추천자료
'꽃들에게 희망을, 아낌없이 주는 나무'을 통한 자신의 교육사상(목표, 방법 등)
발달 심리학 이론의 영유아를 보는 아동관, 교육관, 교사관과 한계점에 대해 각각 살펴보고 ...
발달심리학 이론의 영유아를 바라보는 아동관, 교육관, 교사관과 한계점에 대해 각각 살펴보...
어린왕자의 교육사상적 가치
[독서감상문] 어린왕자
[독후감] 「마지막 수업」을 읽고-책 속에서 발견한 교육적 가치와 교육관-
[독후감] 한상복의 ‘배려’를 읽고 - 교육사상적 가치 발견 -
[독후감] 어린 왕자의 세계에서 교육사상적 가치를 발견하다
교육사상적 가치를 발견하고 자신의 교육관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