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일전쟁과 갑오개혁청일전쟁의 배경청일전쟁의 원인모노세키조약갑오개혁이란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갑오개혁의 종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일전쟁과 갑오개혁청일전쟁의 배경청일전쟁의 원인모노세키조약갑오개혁이란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갑오개혁의 종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일전쟁
Ⅰ. 청일전쟁의 배경과 원인.
1. 청일전쟁의 배경
2. 청일전쟁의 원인
(1)일본의 주권선과 이익선론.
(2)조선정부의 이기적 태도, 외교력 부재
Ⅱ. 청일전쟁의 전개.
1. 전쟁상황
2. 청일 전쟁 중, 조선정부의 태도 변화.
Ⅲ. 청일전쟁의 결과.
1. 시모노세키조약 체결
(1) 일본의 이익.
(2) 국제정세의 변화.
(3)조선의 변화.
Ⅳ. 청일전쟁으로 인한 피해.
1. 조선의 피해.
(1) 인적 피해
(2) 경제적 피해

갑오개혁
1. 개요
1.1. 갑오개혁이란?
2. 배경
2.1.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
3. 갑오개혁의 내용
3.1. 1차 갑오개혁
3.2. 2차 갑오개혁
3.3. 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3.4. 요약
4. 갑오개혁의 종결
5. 갑오개혁의 의미
5.1. 의의
5.2. 한계

본문내용


- 군무아문 체제로 개편 단행: 신설대, 시위대, 훈련대 신설
- 3도 통제군과 각 도의 병영, 수영, 각 진영과 진보 폐지
홍범 14조: 1894년 음력 12월 13일(1895년 1월 8일) 제정·반포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헌법이다.
제1 청국에 의존하는 생각을 끊고 자주독립의 기초를 세운다.
제2 왕실 전범(王室典範)을 작성하여 대통(大統)의 계승과 종실(宗室)·척신(戚臣)의 구별을 밝힌다.
제3 국왕(大君主)이 정전에 나아가 정사를 친히 각 대신에게 물어 처리하되, 왕후·비빈·종실 및 척신이 간여함을 용납치 아니한다.
제4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분리하여 서로 혼동하지 않는다.
제5 의정부와 각 아문(衙門)의 직무 권한의 한계를 명백히 규정한다.
제6 부세(賦稅, 세금의 부과)는 모두 법령으로 정하고 명목을 더하여 거두지 못한다.
제7 조세 부과와 징수 및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度支衙門)에서 관장한다.
제8 왕실은 솔선하여 경비를 절약해서 각 아문과 지방관의 모범이 되게 한다.
제9 왕실과 각 관부(官府)에서 사용하는 경비는 1년간의 예산을 세워 재정의 기초를 확립한다.
제10 지방관 제도를 속히 개정하여 지방관의 직권을 한정한다.
제11 널리 자질이 있는 젊은이를 외국에 파견하여 학술과 기예(技藝)를 익히도록 한다.
제12 장교(將校)를 교육하고 징병제도를 정하여 군제(軍制)의 기초를 확립한다.
제13 민법 및 형법을 엄정히 정하여 함부로 가두거나 벌하지 말며, 백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
제14 사람을 쓰는 데 문벌(門閥)을 가리지 않고 널리 인재를 등용한다.
3.3. 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1895년 5월부터 1896년 2월 김홍집이 살해될 때까지 이루어진 개혁이다. 친일세력들이 내각을 구성하여 주도한 개혁으로 가장 친일적 성향이 짙은 점이 특징이다.
을미개혁 때는 연호를 ‘건양’으로 고치고, 단발령을 단행하였다. 처음으로 태양력을 도입하여 태양력을 기준으로 정삭(正朔: 정월 초하루, 지금의 신정)을 정하였고, 정부주도의 종두를 시행하였다.(그러나 사설 한의원에 의한 인두 및 우두 접종은 그 이전에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근대적 우편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우체사가 설립되었다. 을미개혁의 단행때문에, 을미사변으로 격앙되어있던 민중의 반정부감정이 끝내 폭발하였고, 이것이 초기의 대규모 항일의병전쟁으로까지 번지게 되었다
- 태양력 사용
- 종두법 시행
- 우체사 설치(근대적 우편제도)
- ‘건양’ 연호 사용
- 단발령
- 근대식 각종 학교 설치
- 훈련대와 시위대를 합병하여 서울에 친위대, 지방에는 진위대를 설치
3.4. 요약
4. 갑오개혁의 종결
개혁 방향에 불만을 품은 일본 측과 고종·명성황후 등의 공격으로 박영효가 일본으로 망명함에 따라 개혁 내용은 약화되었고 김홍집 내각에 의해서 개혁이 이어졌다고 하지만 사실상 명성황후 시해와 아관파천 후 내각 요인들이 살해당하는 등의 문제로 개혁은 종결된다.
5. 갑오개혁의 의미
5.1. 의의
갑오개혁은 정부 주도의 근대적 개혁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유교적 사회 질서를 근대적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이 많이 보인다. 먼저 계급제도타파, 문벌을 초월한 인재의 등용, 노비매매 금지 등 전통적 조선의 신분제도를 바꾼다. 이 시기 이후 신분 차별은 급속하게 사라졌다. 다음으로 죄인의 고문과 연좌제(連坐制) 등 비합리적인 형벌의 폐지. 마지막으로 조혼금지, 자유의사에 의한 과부의 재혼, 양자제도의 개정, 의복제도의 간소화 등 불합리한 전근대적 제도들을 개혁하게 되었다.
갑오경장은 외세에 의한 피동적인 제도상의 개혁이기는 했으나 이것이 한국의 근대화를 촉진시키는 획기적인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다. 첫째 정치적 면에서는 귀족정치에서 평민정치에의 전환을 밝혔고, 외국에의 종속적인 위치로부터 주권의 독립을 분명히 했고, 둘째 사회적인 면에서는 개국 기원의 사용, 문벌과 신분계급의 타파, 문무 존비제(文武尊卑制)의 폐지, 연좌법(緣坐法) 및 노비제의 폐지, 조혼(早婚)의 금지, 부녀 재가(再嫁)의 자유가 보장되었고, 셋째 경제적인 면에서는 은본위의 통화제, 국세 금납제(金納制)의 실시, 도량형의 개정, 은행 회사의 설립 등 이 밖에 2백여 조항의 개혁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한말 정부로서는 이를 주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자주 역량이 부족하고, 외세에만 의존하는 한편, 이 새로운 개혁을 저지하는 기존 봉건세력의 힘이 컸기 때문에, 불행히도 실질상의 큰 성과를 얻었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이 때부터 한말 사회에서는 인습과 전통의 구속을 벗어나 자유로운 지식을 보급하고, 일반 민중으로 하여금 무지의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개화·계몽사상이 싹트기 시작했다. 이것은 당시의 유교적인 인습과 전통에 사로잡힌 재래의 누습을 타파하고, 그 굴레에서 벗어나 자아를 각성하고 과학문명에 입각한 새로운 지식을 체득하게 하려는 시대의식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개화 계몽기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겠다는 의욕보다는 낡은 것에서 벗어나겠다는 욕구가 더 선행했으며, 모든 것은 신(新)과 구(舊)로 대립되었고, 낡은 것은 일차 부정의 단계를 겪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김홍집, 박영효 연립내각이 고종을 강제하여 발표하게 한 홍범 14조는 한국 최초의 헌법적 성격을 띤 법령으로 볼 수 있다.
5.2. 한계
일본이 개혁을 종용하였지만, 조선을 위한 개혁이 아니었다. 당시 외무대신 무쯔(陸宗光)가 갑오개혁에 대해서 “우리 나라(일본)의 이익을 주안으로 삼는 정도에 그치고, 감히 우리의 이익을 희생시킬 필요는 없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한반도 침략 의도가 직접적으로 반영된 타율적 개혁이라는 것은 분명히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군사적 제도의 개혁은 일본 제국의 군사적 침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내용이 적용되었고 보수세력의 반대도 극심하였다. 또한 경제체제의 개혁도 일본 제국과 서구열강의 경제침략에 유리한 측면이 많았다. 이런 일련의 개혁 정책에 따라 일본에 대한 반감이 높았던 조선 내에서는 민중들의 지지를 받지 못해 개혁의 내용에 크게 반발하고 이러한 반감이 을미사변 후의 을미개혁 때 항일 의병 활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 가격2,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11.22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