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무리 큰 사회적 성공과 부를 이루었다 하더라도 그 방법이 도덕적이지 않았다면 인생의 마지막 즈음에 자신이 살아온 인생에 만족감을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이 세상의 살아가는 의미와 가치를 느끼기 위해 가장 필수적인 것은 내가 얼마나 도덕적인 삶을 살았느냐가 아닐까? 그리고 그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게 해줄 도덕적 가치에 대해 처음으로 접하고 배우는 곳이 학교이고 그 학교 안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만한 기회를 이 책을 통해 얻게 되어 기쁘고 다시한번 예비교사의 한사람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좋은 역할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나 스스로 도덕적 성찰을 통해 여러 도덕적 문제에 관해 생각해 볼 시간을 갖고 주위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며 성숙한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추천자료
리코나의 인격교육론
도덕교육의 중요성과 인격교육의 현황 및 대안모색
21세기도덕교육론의내용방법제형태과제
인격교육의 개념, 인격교육의 형성, 청소년 인격교육의 목표,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
[도덕교육][덕목][인격교육][도덕경험][포스트모더니즘][도덕교육 과제]도덕교육의 배경, 도...
[인격교육][인격교육 필요성][인격교육 배경][인격교육 목표][미국 인격교육 사례][인격교육 ...
[인격교육론]리코나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중심으로 한 인격교육
[칸트 도덕교육]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 칸트의 생애와 교육사상(교육관,교육론), ...
초등교육에서 뒤르껭, 콜버그, 가치명료화, 배려윤리, 인격교육론의 의미와 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