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평생교육의 정의와 특징
2. 학습자가 생각하는 한국 평생교육기관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2. 학습자가 생각하는 한국 평생교육기관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본문내용
학교교육 시대라고 한다면 21세기는 평생학습 시대가 될 것이다. 평생학습 시대에는 성인들을 위한 교육기관이 증가하는 동시에 학교와 대학들도 학생 이외의 주민과 일반 시민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확대하게 될 것이다.
즉, 일반 학교와 대학들이 경직적인 제도적 틀에서 벗어나 유연해지고, 전통적인 교육과정 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성인들의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 시행되고 있는 평생교육에도 문제점이 속속히 발견되고 있다. 학교교육이라는 제도를 벗어나고자 했던 노력들은 그저 학교에서 배우는 정규교과과정 이외의 과정들이라고 표현하지만 그저 취미활동에 지나지 않는 프로그램들과 어학자격증과 같은 자격증취득 목적을 가진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어린 청소년부터 노년기까지의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이 다양하게 배울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그저 또 다른 사교육의 장을 열어주는 것과 같은 상황이 연출된다고 볼 수 있다. 어린 학생들과 부모는 좋은 대학, 성공적인 입시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고자 할 것이며, 그런 계속적인 수요는 모든 평생교육의 틀을 다시금 바꾸어 놓으며 또 다른 문제점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평생교육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 있다면, 초심을 잃지 않고 본연의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분위기와 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연유로 평생제도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필자의 생각을 적어본다면, 연령층에 맞는 교육과 다양한 학문과 분야의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 정규 교육기관(필자는 국어, 영어, 수학 등만을 가르치는 일반학교를 말한다)에서 배우지 못하는 학문들, 가령 철학, 심리학 등 고등 교육기관(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학문들을 쉽게 사회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이 된다면, 나이와는 상관없는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 우리 사회가 좀 더 발전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평생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생교육법. 사회과학 > 법 > 행정법 > 교육 및 과학기술법. 두산백과.
평생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장진호. 정신문화연구 20(\'84.3) pp.123-137 1225-4576 폴 랑그랑[ Paul Lengrand ] 인물 > 교육 > 외국교육 두산백과
평생교육의 이해 - 배장오
즉, 일반 학교와 대학들이 경직적인 제도적 틀에서 벗어나 유연해지고, 전통적인 교육과정 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성인들의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 시행되고 있는 평생교육에도 문제점이 속속히 발견되고 있다. 학교교육이라는 제도를 벗어나고자 했던 노력들은 그저 학교에서 배우는 정규교과과정 이외의 과정들이라고 표현하지만 그저 취미활동에 지나지 않는 프로그램들과 어학자격증과 같은 자격증취득 목적을 가진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어린 청소년부터 노년기까지의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이 다양하게 배울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그저 또 다른 사교육의 장을 열어주는 것과 같은 상황이 연출된다고 볼 수 있다. 어린 학생들과 부모는 좋은 대학, 성공적인 입시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고자 할 것이며, 그런 계속적인 수요는 모든 평생교육의 틀을 다시금 바꾸어 놓으며 또 다른 문제점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평생교육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 있다면, 초심을 잃지 않고 본연의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분위기와 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연유로 평생제도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필자의 생각을 적어본다면, 연령층에 맞는 교육과 다양한 학문과 분야의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 정규 교육기관(필자는 국어, 영어, 수학 등만을 가르치는 일반학교를 말한다)에서 배우지 못하는 학문들, 가령 철학, 심리학 등 고등 교육기관(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학문들을 쉽게 사회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이 된다면, 나이와는 상관없는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 우리 사회가 좀 더 발전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평생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생교육법. 사회과학 > 법 > 행정법 > 교육 및 과학기술법. 두산백과.
평생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장진호. 정신문화연구 20(\'84.3) pp.123-137 1225-4576 폴 랑그랑[ Paul Lengrand ] 인물 > 교육 > 외국교육 두산백과
평생교육의 이해 - 배장오
추천자료
평생교육기관의 성인대상 프로그램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잘...
[사회복지법제론]공공기관 사회복지사와 민간기관 사회 복지사의 법적 권한의 차이를 설명하...
본인이 생각하는 영유아 보육기관에서의 수학지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논하고, 앞으로의 개...
평생교육기관 경영자의 능력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 중 학습자 본인이 생각하는 평생교육 경...
평생교육기관의 정의, 특성, 성격을 기술하고 학습자가 생각하는 한국평생교육기관의 문제...
평생교육경영론_평생교육기관 경영의 기본과정으로서 5단계 과정의 요소는 무엇인지 각각의 ...
[인문과학] 평생교육경영론 ) 본인 주변에 있는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전략 및 대표 프로그램을...
평생교육경영론3공통)평생교육기관 하나를 선정하여(개인선택) 다음 중 한 영역에 대하여 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