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화기억과 과거
2. 중앙청 첨탑해체의 시공간적 문화기억과 정체성
3. 슬픔과 고통의 공유, 문화기억과 기념비, 문화기억의 소통
4. 문화기억과 문화콘텐츠의 미래
2. 중앙청 첨탑해체의 시공간적 문화기억과 정체성
3. 슬픔과 고통의 공유, 문화기억과 기념비, 문화기억의 소통
4. 문화기억과 문화콘텐츠의 미래
본문내용
렵게 바뀌고 있다. 특정집단 혹은 사회전체가 필요에 의해 망각하려고 해도 사회구성원의 누군가는 이를 논점으로 불러낸다. 회피할 수 없는 대면을 통해 갈등이 치유되는 선순환의 구조가 생겨난 것이다. 한국사회는 아직도 많은 경우, 특히 거대담론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사적인 이슈에 대해 마녀사냥에 비견될 만큼 전체주의적 폭력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타자에게 원인을 돌리지 않고 스스로의 여유로움으로 다양한 가치들을 수용하는 힘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분명하다. 역사 속에서, 특정 집단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하지 않았을 때 대중이 만들어 가는 문화의 방향은 대부분 옳았다.
[ 참고문헌 ]
*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 아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4
[ 참고문헌 ]
*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 아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4
추천자료
[현대문화현상]포스트모더니즘과 그 문화에 대해서 조사
[여성문제]여성성에 관한 전통적 신념체계와 여성차별의 문화적 의식적 사례분석
[문화역사지리 답사자료집] 전통과 현대의 조화 - 북촌 한옥마을
한국사회의 문화기억에 대한 철학적 성찰 발제문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 문화적 기억과 전통에 관한 역사 성찰 (문화원형 모색의 문제점...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 6장 나가는 글 - 메를...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몸-주체 - 몸-권력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막스베버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역사사회학 - 제 7장 신체의 합리화 -...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6장 문화적 기억과 전통에 관한 역사 성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