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A 저자소개
B 책 소 개
C 선택목적
Ⅱ 본론
A 주님과 주님의 계획
B 주님 계획의 8가지 원리
Ⅲ 결론
A 문제점 & 아쉬웠던 점
B 새롭게 알게 된 내용
C 내게 적용할 점
참고문헌
A 저자소개
B 책 소 개
C 선택목적
Ⅱ 본론
A 주님과 주님의 계획
B 주님 계획의 8가지 원리
Ⅲ 결론
A 문제점 & 아쉬웠던 점
B 새롭게 알게 된 내용
C 내게 적용할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의 같은 부분에서 리더로서 섬기고 있는데 조원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이기적인 편애를 보여선 안되고 모두를 사랑으로 품고 기도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2. 결신자 혹은 초신자에게 그가 다른 사람을 지도할 수 있을 때까지 함께하거나 따라다닐 그리스도인 친구를 묶어 주는 체제가 필요하다. 또한 어떤 양육 방법 안에서든 그룹 안에서든 리더는 자기들이 맡은 사람들에 대해 개인적으로 보호자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3. ‘순종이 없이는 우리는 성품이나 목적에 있어 발전할 수 없다.’다고 하였다. 우리는 하나님 말씀과 성경대로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한다. 복음을 전하고 사랑을 나누고 기도하는 삶, 본질적인 프락시스적 삶을 살아야한다.
4. 전도는 인간의 사업이 아니다. 성령의 사역하심이다. 주님의 일을 하고 가르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 안에 주님의 생명을 가져야 한다. 이것 없는 전도는 의미도 생명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깨어있고 기도로 성령님을 내안에 모셔야한다. 기도와 전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5. 우리는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시범을 보이심으로 자연스럽게 교육한 것과 같이 그리스도인으로서 하나님의 자녀로서 구별된 삶과 행실을 보여야할 책임이 있다. 보여주는 일에는 생활에서 성령의 더 깊은 실재를 실제적으로 증험하는 일이 포함된다. 이것 말고는 다른 사람들에게 주님의 일을 하도록 훈련하는 데 충분치 못할 것이다.
6. 전도 사역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혼자서 일을 수행할 만큼 성숙할 때까지는 개인적인 감독과 지도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전도에는 사랑과 성령의 충만함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나님을 전하고 한 사람이라도 더 구원의 길로 인도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 하지만 이를 행하기 위해선 마음만 너무 앞서선 안된다. 우리는 예수님과 같이 인내심이 있으시면서 단호하신 감독아래서 성숙해질 때 까지 전도 훈련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전도폭발을 들 수 있다.
우리의 사명은 무엇일까? 물론 하나님께서 사명을 주시고 각자에게 주시는 비전과 달란트는 다르지만 결국은 ‘복음전파’ 하나님을 알리고 말씀을 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의 일을 영속시키는 데 정말 중요한 것은 단순히 많은 사람을 전도하고 제자 삼음이 아니다. 그들 중에서 얼마나 충실하게 지도자들을 만들어 내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하나님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실천하고 있는가? 스스로에게 다시 물었다. 이렇게 머리와 가슴으로는 알면서 실천하지 못한 내가 부끄럽고 하나님 앞에 죄송하다. 지금이라도 이러한 책을 읽을 기회를 주시고 마음을 뜨겁게 해주심에 감사하고 기쁘다. 그리고 반성하고 훈련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다.
이전에 전도 할 때에 나의 전도는 극단적으로 말해서는 ‘기도와 모범 없는 말’이었다. 또한 행사적이 었으며 제한적이었다. 예를 들어 제한된 공간에서 부활절 같은 날에 여러 사람들에게 “부활절입니다. 예수님 믿으세요.” 이 정도에서 그쳤다. 지금부터 나의 전도는 변화되어야 한다. 주님계획의 8가지 원리 안에서 철저하게 함께 훈련하고 섬겨야한다. 얼마나 많이 전도하느냐는 중요치 않다. 단 한사람이라도 진정으로 주님을 영접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가 또 다른 지도자로 일어서 복음을 전파할 수 있냐가 중요한 것이다. 물론 그러기 위해선 내가 기도로 준비된 기도의 용사여야 하며, 제자훈련을 받고 훈련과 연단으로 준비된 자여야 한다. 즉 먼저 예수님처럼 모범을 보일 수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세상 사람들과 구별된 자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로버트 콜먼. 주님의 전도 계획.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7.
2. 결신자 혹은 초신자에게 그가 다른 사람을 지도할 수 있을 때까지 함께하거나 따라다닐 그리스도인 친구를 묶어 주는 체제가 필요하다. 또한 어떤 양육 방법 안에서든 그룹 안에서든 리더는 자기들이 맡은 사람들에 대해 개인적으로 보호자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3. ‘순종이 없이는 우리는 성품이나 목적에 있어 발전할 수 없다.’다고 하였다. 우리는 하나님 말씀과 성경대로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한다. 복음을 전하고 사랑을 나누고 기도하는 삶, 본질적인 프락시스적 삶을 살아야한다.
4. 전도는 인간의 사업이 아니다. 성령의 사역하심이다. 주님의 일을 하고 가르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 안에 주님의 생명을 가져야 한다. 이것 없는 전도는 의미도 생명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깨어있고 기도로 성령님을 내안에 모셔야한다. 기도와 전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5. 우리는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시범을 보이심으로 자연스럽게 교육한 것과 같이 그리스도인으로서 하나님의 자녀로서 구별된 삶과 행실을 보여야할 책임이 있다. 보여주는 일에는 생활에서 성령의 더 깊은 실재를 실제적으로 증험하는 일이 포함된다. 이것 말고는 다른 사람들에게 주님의 일을 하도록 훈련하는 데 충분치 못할 것이다.
6. 전도 사역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혼자서 일을 수행할 만큼 성숙할 때까지는 개인적인 감독과 지도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전도에는 사랑과 성령의 충만함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나님을 전하고 한 사람이라도 더 구원의 길로 인도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 하지만 이를 행하기 위해선 마음만 너무 앞서선 안된다. 우리는 예수님과 같이 인내심이 있으시면서 단호하신 감독아래서 성숙해질 때 까지 전도 훈련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전도폭발을 들 수 있다.
우리의 사명은 무엇일까? 물론 하나님께서 사명을 주시고 각자에게 주시는 비전과 달란트는 다르지만 결국은 ‘복음전파’ 하나님을 알리고 말씀을 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의 일을 영속시키는 데 정말 중요한 것은 단순히 많은 사람을 전도하고 제자 삼음이 아니다. 그들 중에서 얼마나 충실하게 지도자들을 만들어 내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하나님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실천하고 있는가? 스스로에게 다시 물었다. 이렇게 머리와 가슴으로는 알면서 실천하지 못한 내가 부끄럽고 하나님 앞에 죄송하다. 지금이라도 이러한 책을 읽을 기회를 주시고 마음을 뜨겁게 해주심에 감사하고 기쁘다. 그리고 반성하고 훈련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다.
이전에 전도 할 때에 나의 전도는 극단적으로 말해서는 ‘기도와 모범 없는 말’이었다. 또한 행사적이 었으며 제한적이었다. 예를 들어 제한된 공간에서 부활절 같은 날에 여러 사람들에게 “부활절입니다. 예수님 믿으세요.” 이 정도에서 그쳤다. 지금부터 나의 전도는 변화되어야 한다. 주님계획의 8가지 원리 안에서 철저하게 함께 훈련하고 섬겨야한다. 얼마나 많이 전도하느냐는 중요치 않다. 단 한사람이라도 진정으로 주님을 영접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가 또 다른 지도자로 일어서 복음을 전파할 수 있냐가 중요한 것이다. 물론 그러기 위해선 내가 기도로 준비된 기도의 용사여야 하며, 제자훈련을 받고 훈련과 연단으로 준비된 자여야 한다. 즉 먼저 예수님처럼 모범을 보일 수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세상 사람들과 구별된 자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로버트 콜먼. 주님의 전도 계획.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