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합적 인격교육론
1. 리코나(T.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2. 콜즈(R. Coles)의 도덕적 지능(Moral Intelligence)
3. 아동발달계획(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CDP) 프로그램
1. 리코나(T.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2. 콜즈(R. Coles)의 도덕적 지능(Moral Intelligence)
3. 아동발달계획(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CDP) 프로그램
본문내용
을 돕고, 공정성, 조력, 책임, 사려 깊음 등과 같은 친사회적 가치들을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는 교과 수업의 접근
- 또래들과의 상호적 관계에서 상호적 존중과 결속에 기초한, 그리고 정의의 원칙에 의해 지배되는 자율적 도덕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민주적 과정 경험, 관점의 교환, 공정성과 같은 개념의 개발)
3) 도움주기
- 아이들에게 교실과 교실 밖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
- 학교차원 : 청소, 환경미화 계획, 공동체 봉사활동 계획(학교를 벗어나 더 큰 공동체에게까지 관심 확장)
-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
4) 타인을 이해하고 친사회적 가치들을 강조하는 것
- 타인 이해 : 문학, 토론, 직접적 경험을 통해 타인의 상황과 경험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
- 친사회적 가치의 강조 : 중요성 설명, 문학과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 제공, 개인적 모범
→ 가치와 행동의 관계
- 문학 ① 친사회적 가치, 도덕적 이상과 가치가 우리 사회에서 실천되고 있는 방식을 가르칠 기회를 제공
② 문학에 나타난 상황들은 생동감 있고 구체적이며 아이들의 일상적 삶과 관련되어 있음
③ 최상의 도덕적 추론을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함.
문학에 나타난 가치 토론
도덕적 딜레마 토론
등장 인물을 통해 명백한 도덕적 가르침을 얻음.
도덕적 함축을 담긴 결론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도덕적 가치나 규범 자체에 관심
작품 속의 주인공들은 생생하게 살아있고, 구체적인 성격을 가진 존재들이고, 구체적인 사회관계 속에 놓여 있는 살아 있는 존재
갈등상황에 빠지게 되는 과정이 실감나게 묘사
작품 속의 주인공이 처한 갈등 상황에 공감
도덕적 경험을 말하고(story telling), 교류하고, 타인의 도 덕적 경험에 대해 숙고하면서 자신의 사고, 감정, 행위에 대한 책임감을 높여가는 데 초점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 발달 이론의 영향
(형식중심의 도덕교육)
도덕적 판단의 기회 제공, 도덕적 사태→도덕적 논의
도덕적 갈등 사태 : 가상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실생활 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 사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 들의 도덕적 판단을 위한 기회를 주기 위한 시도에서 의도 적으로 만들어진 것
양자택일적 상황(인위적, 비현실적)
주인공이 처해 있는 상황의 중시
현실 세계와의 유기적 연결성이 매우 취약
갈등을 일으키는 장면만을 인위적으로 선택한 것이기 에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한계가 있음
- 또래들과의 상호적 관계에서 상호적 존중과 결속에 기초한, 그리고 정의의 원칙에 의해 지배되는 자율적 도덕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민주적 과정 경험, 관점의 교환, 공정성과 같은 개념의 개발)
3) 도움주기
- 아이들에게 교실과 교실 밖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
- 학교차원 : 청소, 환경미화 계획, 공동체 봉사활동 계획(학교를 벗어나 더 큰 공동체에게까지 관심 확장)
-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
4) 타인을 이해하고 친사회적 가치들을 강조하는 것
- 타인 이해 : 문학, 토론, 직접적 경험을 통해 타인의 상황과 경험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
- 친사회적 가치의 강조 : 중요성 설명, 문학과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 제공, 개인적 모범
→ 가치와 행동의 관계
- 문학 ① 친사회적 가치, 도덕적 이상과 가치가 우리 사회에서 실천되고 있는 방식을 가르칠 기회를 제공
② 문학에 나타난 상황들은 생동감 있고 구체적이며 아이들의 일상적 삶과 관련되어 있음
③ 최상의 도덕적 추론을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함.
문학에 나타난 가치 토론
도덕적 딜레마 토론
등장 인물을 통해 명백한 도덕적 가르침을 얻음.
도덕적 함축을 담긴 결론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도덕적 가치나 규범 자체에 관심
작품 속의 주인공들은 생생하게 살아있고, 구체적인 성격을 가진 존재들이고, 구체적인 사회관계 속에 놓여 있는 살아 있는 존재
갈등상황에 빠지게 되는 과정이 실감나게 묘사
작품 속의 주인공이 처한 갈등 상황에 공감
도덕적 경험을 말하고(story telling), 교류하고, 타인의 도 덕적 경험에 대해 숙고하면서 자신의 사고, 감정, 행위에 대한 책임감을 높여가는 데 초점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 발달 이론의 영향
(형식중심의 도덕교육)
도덕적 판단의 기회 제공, 도덕적 사태→도덕적 논의
도덕적 갈등 사태 : 가상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실생활 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 사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 들의 도덕적 판단을 위한 기회를 주기 위한 시도에서 의도 적으로 만들어진 것
양자택일적 상황(인위적, 비현실적)
주인공이 처해 있는 상황의 중시
현실 세계와의 유기적 연결성이 매우 취약
갈등을 일으키는 장면만을 인위적으로 선택한 것이기 에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한계가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