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의정의목적역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교의정의목적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설교의 정의
1. 설교의 신학적 근거
2. 설교의 정의
3. 설교의 정의들에 대한 분석
Ⅲ. 설교의 목적
1. 예배 속에서의 설교
2. 설교의 목적
Ⅳ. 설교의 역사
1. 설교 역사 연구
2. 설교의 기원
3. 성경에서 본 설교
4. 고대 교회와 호밀리아(Homilia)
5. 중세설교와 세르모(Sermo)
6. 종교개혁과 콘치오(Contio)
7. 종교개혁 이후의 설교 변천
8.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설교와 미래 설교의 전망
9. 한국교회 설교의 역사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
④ 주제설교, 본문설교, 강해설교의 형태로 나타났다.
(2) 주요 설교가
① 대각성 시대 : 죠나단 에드워드(Jonathan Edward, 1703-1758), 죠지 휫필드(George Whitfield, 1714-1770)
② 미국 건국 초기(독립전쟁 이후) : 제임스 맥그레디(James McGready, 1758-1817), 챨스 피 니(Charles Grandislon Finney, 1792-1875)
③ 개혁시대(남북전쟁 이후) : 필립 브룩스(Phillips Brooks, 1835-1893), 무디(Dwight L. Mooddy, 1837-1899), 윌리엄 A. 선데이(William A. Sunday, 1863-1935)
8.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설교와 미래 설교의 전망
1) 설교의 특징
(1) 성경에 대한 새로운 조명 : 하나님과 성경에로 돌아갈 것을 주창하면서 계시 종교인 기독 교의 정체성을 회복할 것을 강조하였다.
(2) 예배적 측면의 발전
① 로마 카톨릭교회 : 회중이 응답하는 형식인 ‘대화 미사(Dialogue Mass)를 채택하였고, 성 경에 대한 역사-비평적인 연구 결과를 설교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② 기독교 : 교회력의 빈번한 이용과 성경일과의 사용, 주일 예배 시 성만찬의 강화 시도하 였다.
(3) 목회의 강화 : 회중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점차 심리학과 목회 상담학을 연결하여 회중의 삶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흘렀다.
(4) 복음전도자들의 설교 왕성
① 주요 인물 : 빌리 그래함(Billy Graham)
② 방법 : 대중 매체룰 통해 예배를 전도의 한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5) 설교 내용 : 사회적 문제들이 점증적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경향을 가진다.
(6) 흑인 설교가들 등장 :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가드너 테일러(Gardner Taylor), 제 임스 포브스(James Forbes), 헨리 미첼(Henry Mitchell), 존 스펜서(John Spenscer), 에반스 크래포드(Evans Craford)
(7) 여성 설교자들의 등장 : 안 허친슨(Anne Hutchinson)
(8) 설교 형식 : 1960년대부터 귀납적 방식 등장하였다.
(9) 스토리텔링 방식 확산 : 이야기의 중요성 인식으로부터 비롯되었다.
(10) 실험적 설교 등장 : 다양한 도구 및 연극, 음악 등을 설교와 접맥을 시도하였다.
(11) 평신도 설교자의 확산도 예상되는 변화이다.
2) 미래 설교에 대한 요구
(1) 복음의 본질 왜곡 시키지 않는 한 설교는 시대와 회중의 변화에 개방적이어야 한다.
(2) 어느 한 패턴이 설교전달의 가능성 극대화 시킬 수 있다면 회중의 이해와 동의 아래 시도 되어야 한다.
9. 한국교회 설교의 역사
1) 한국 초대교회의 설교 유형(제1기, 1884-1944)
(1) 교회와 담임목사 : 황해도 ‘송천교회(서경조)’, 서울 ‘신문내교회(차재명)’, 정동 ‘정동제일감리 교회(최병헌)’, 평양 ‘장대현교회(길대현)’
(2) 유형
① 유대윤리를 기독교적으로 설명 : 조상숭배의 제사 반대-부모 공경
② 독립사상 고취, 민족의 개화사상 강조하였다.
③ 순수한 복음전파 : 기독교가 무엇인가를 설교하고 가르쳤다.
2) 해방 이후의 설교(제2기, 1945-1959)
(1) 설교형식에 소제목으로 분류하지 않고 한 제목 아래 그대로 논리 전개하였다.
(2) 새로운 신학과 보수주의 신학으로 인한 장로교의 분열 되었다.
(3) 급격히 변천해가는 민족사의 흐름 표현하였다(6·25 이후의 미족의 고통 해석하고 위로, 4·19를 전후해 사회의 부패상).
3) 현대의 설교(제3기, 1960-1980년대)
(1) 사회의 부패상이 다뤄지고 인권과 사회정의에 대한 주제가 부각되었다.
(2) 사회적인 구조가 도시화되면서 그 부작용으로 정신적인 타락과 부조리 현상이 나타났다.
(3) 도시 교회에서 교회의 신성, 신자의 경건생활에 대한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인식되었다.
(4) 설교자의 견해가 많이 드러났으며 제목설교 위주였다.
(5) 1970년 이후 로버트 슐러의 성공 철학적 설교의 무비판적 수용하였다.
Ⅴ.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 설교에 대한 정의를 신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이 성육신하신 예수님과 성경으로 인간에게 주어졌으며, 지칭하는 용어와 신학자, 신학적 경향에 의해 나뉘어지는 것을 보았다. 또한 설교가 예배 안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며, 목적에 있어서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선포하고 교육과 유지의 기능을 하며, 하나님에 대한 현존 의식을 통해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교의 기원이 회당예배에서 시작되었지만, 구약에서부터 발원되었으며 시대상황의 필요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졌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로 인한 말씀 내용의 변화의 위험이 있을 때마다 그것은 지켜져 왔고, 방식의 변화는 있을 수 있지만 복음의 본질은 계속해서 선포되어야 한다. 서론에서 언급한 말씀의 기갈의 시대를 해결하기 위해 성경 말씀을 연구하고 해석하며 적용함에 있어서 성령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제는 설교자로서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의 참 뜻을 살피며 하나님께서 쓰시는 설교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늘 주위를 살피며 하나님 앞과 성도들 앞에서 바른 설교자로서 자질을 갖추고 날마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말씀의 통로로 섰을 때 우리들을 통해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해 개인과 가정 그리고 나라와 세계를 변화시키는 설교자들로 예수님께서 선포하셨던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희망해 보자!
Ⅵ. 참고문헌
1. 도서
이홍찬, 2007.「개혁주의 설교학」. 파주 : 한국학술정보(주)
정인교, 2003. 「설교학 총론」.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주성호, 2001. 「21세기를 위한 설교학」.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한국복음주의 실천학회, 2003. 「복음주의 설교학」. 서울 : CLC
한국복음주의 실천학회, 2006. 「21세기 실천신학 개론」. 서울 : CLC
2. 논문
김용훈, “설교 역사를 통해 본 현대적 설교 방법론” 신학과 실천신학전공 석사. 안양대 대학원. 1998.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2.02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9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