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주의 연구] 예언자적 종교와 신비주의 종교 비교 Heiler의 『Prayer』의 6장에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비주의 연구] 예언자적 종교와 신비주의 종교 비교 Heiler의 『Prayer』의 6장에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비주의와 예언적 종교에 있어 기본적인 심리적(영적) 경험

2. 신비주의의 神 인식과 예언적 종교의 하나님 인식

3. 역사에 대한 평가

4. 권위에 대한 태도

5. 죄와 구원문제

6. 신비주의와 윤리의 관계

7. 신비주의와 사회적 공동체

8. 세상과 문명과의 관계

9. 영원성의 희망

10. 신비주의의 일원론과 예언적 종교의 이원론

11. 최종적인 특성

12. 나가는 말

본문내용

로도 이루어질 수 없는 우주적, 윤리적, 인격적인 그 무엇이다. 야훼-바알, 하나님-사단, 천사-악마, 선-악, 빛-어둠, 죄-은총, 삶-죽음, 천국-지옥 등, 모든 계시적 사고의 결실은 이원론 속에서 대립하고 있다.
11. 최종적인 특성
결국 신비주의가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형태를 취해왔다 하더라도, 그것은 기독교의 유산도, 독특한 기독교의 자산도 아니다. 유대교와 이슬람교 속으로 침투한 것처럼 외부로부터, 혼합주의적 신비종교로부터, 특히 후대의 신플라톤주의로부터 관통해 들어 온 것이다. 이러한 신비주의는 순수성을 잃어버린 것이다. 그러나 신비주의가 예언적 종교와 결합되면서 깊이와 따스함, 열정과 힘을 보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신비주의의 가치가 새로이 발견되기 위해서는, 신비주의와 성서의 예언적 종교를 분명하고 예리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형태의 종교의 공통적인 심리적 근원과 이상적 개념은,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신앙과 축복, 사랑과 순수한 삶에 대한 분투에서 드러난다. 그리하여 신비주의는 전적으로 무시될 수만은 없는 것이다. 신비주의와 예언적 종교는 역사 속에서 항상 반박하며, 끌어당기는 높은 경건성을 지닌 서로 다른 경향이라 할 수 있다.
12. 나가는 말
본문요약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일체의 종교 안에는 신비적인 요소와 계시적(윤리적)인 요소가 혼재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로부터 양자 간의 연합과 조화가 필요할 것이다. 예언적인 종교의 신비주의로의 경향은 종교 사상가들이 그러한 연합과 조화를 얻기 위한 노력일 것이다.
그렇다면 양자 간의 연합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신비주의의 역할은 무엇일까? 분명한 것은, 예언적 종교에 있어서 어느 정도 비중을 두고 신비주의를 보완적 요소가 결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언적 종교는 인격종교이고 공동체적 종교이며, 역사적 종교이고 세계성화의 종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언적 종교는 신비주의와의 종합에서 근본적으로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신비주의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신비주의는 제례와 도덕성이 천박화되지 않도록, 종교적 생활의 내면적 정신적 에너지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색된 교조적(도그마적) 형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언제든지, 다시금 종교적 생명의 신선한 물을 길러 내어야 할 것이다.
Friedrich Heiler, PRAY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32.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