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안 교육의 등장 배경
2.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구체적 모습
① 학교 형태
② 교육 목표 및 학교 이념
③ 교육 과정
④ 교육 방법 및 교육 내용상 특징
⑤ 생활방식상 특징
⑥ 잘 되고 있는 점과 보완이 필요한 점
3. 결론
참고문헌
2.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구체적 모습
① 학교 형태
② 교육 목표 및 학교 이념
③ 교육 과정
④ 교육 방법 및 교육 내용상 특징
⑤ 생활방식상 특징
⑥ 잘 되고 있는 점과 보완이 필요한 점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원치 않는 것은 물론 아니다.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해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우려하는 것은 대안학교에서조차 대입을 위해 학생들이 꿈을 포기하거나 사교육의 도움을 받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ㆍ 받는 데 익숙한 아이들
양희규 교장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학생들에게 오늘은 대안교육에 대해서 토론하러 간다고 얘기하니까 한 학생이 “선생님, 가서 거짓말하지 마세요. 우리 안 행복해요.”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학생의 이런 표현에서 대안학교나 교사들의 문제를 짚어낼 수도 있지만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찾으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반학교에서보다 교사들이 학생들을 잘 받아주고 자유롭게 풀어주기 때문에 학생들이 그 사랑과 편안함 안에서 안주하려는 경향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ㆍ교사의 문제
사실 대안 학교 교사들도 대부분 기존의 교육을 받아 온 사람들이다. 공교육을 받아온 사람들이 대안 교육을 실천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대안 학교 교사 양성 프로그램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대안 학교 교사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아도 제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은 적은 문제가 생긴다. 간디 학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디 대학원’을 만들어 1년 과정의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교사와 관련된 또 하나의 문제는, 언제까지나 교사의 ‘봉사’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사실 대안 학교는 간디 학교처럼 산 속에 묻혀 있거나, 미인가 대안학교처럼 충분한 보수를 줄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교사들은 생활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인가를 받아 안정적인 보수를 받게 된 교사들이 약간 안이해지는 경향도 있다고 하니 교사의 처우 문제는 참으로 큰 딜레마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4.결론
학생의 행복을 고려하지 않는 입시 위주의 교육 때문에 대안 학교가 등장했다. 대안 학교들 대부분이 참교육을 위해 어려운 길로 뛰어들었지만, 처음의 그러한 이념과 열정이 지금 제대로 실천되고 있는지 궁금하여 위와 같이 대안 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학교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실제 대안학교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어떤 점을 보완해야 더 좋은 교육을 할 수 있을지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지는 충분히 생각해 내지 못해 아쉽지만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 두기로 했다.
참고자료
대안교육 심포지엄 자료집, 대안교육 10년의 성과와 과제, 2005.
민들레 편집실, 대안학교 길라잡이, 민들레, 2005.
양희규, 꿈꾸는 간디학교 아이들, 가야넷, 2005.
양희규, 사랑과 자발성의 교육, 내일을 여는 책, 1997.
여태전, 간디학교의 행복 찾기, 우리교육, 2004.
www. sungmisan.net, 민들레(대안 잡지)사이트
www.gandhischool.net, 간디학교 포탈 사이트
ㆍ 받는 데 익숙한 아이들
양희규 교장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학생들에게 오늘은 대안교육에 대해서 토론하러 간다고 얘기하니까 한 학생이 “선생님, 가서 거짓말하지 마세요. 우리 안 행복해요.”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학생의 이런 표현에서 대안학교나 교사들의 문제를 짚어낼 수도 있지만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찾으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반학교에서보다 교사들이 학생들을 잘 받아주고 자유롭게 풀어주기 때문에 학생들이 그 사랑과 편안함 안에서 안주하려는 경향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ㆍ교사의 문제
사실 대안 학교 교사들도 대부분 기존의 교육을 받아 온 사람들이다. 공교육을 받아온 사람들이 대안 교육을 실천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대안 학교 교사 양성 프로그램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대안 학교 교사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아도 제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은 적은 문제가 생긴다. 간디 학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디 대학원’을 만들어 1년 과정의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교사와 관련된 또 하나의 문제는, 언제까지나 교사의 ‘봉사’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사실 대안 학교는 간디 학교처럼 산 속에 묻혀 있거나, 미인가 대안학교처럼 충분한 보수를 줄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교사들은 생활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인가를 받아 안정적인 보수를 받게 된 교사들이 약간 안이해지는 경향도 있다고 하니 교사의 처우 문제는 참으로 큰 딜레마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4.결론
학생의 행복을 고려하지 않는 입시 위주의 교육 때문에 대안 학교가 등장했다. 대안 학교들 대부분이 참교육을 위해 어려운 길로 뛰어들었지만, 처음의 그러한 이념과 열정이 지금 제대로 실천되고 있는지 궁금하여 위와 같이 대안 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학교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실제 대안학교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어떤 점을 보완해야 더 좋은 교육을 할 수 있을지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지는 충분히 생각해 내지 못해 아쉽지만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 두기로 했다.
참고자료
대안교육 심포지엄 자료집, 대안교육 10년의 성과와 과제, 2005.
민들레 편집실, 대안학교 길라잡이, 민들레, 2005.
양희규, 꿈꾸는 간디학교 아이들, 가야넷, 2005.
양희규, 사랑과 자발성의 교육, 내일을 여는 책, 1997.
여태전, 간디학교의 행복 찾기, 우리교육, 2004.
www. sungmisan.net, 민들레(대안 잡지)사이트
www.gandhischool.net, 간디학교 포탈 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