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3강 ‘미와 예술’
예술은 미를 어떻게 드러내는가?
고대 그리스 조각은 미의 이상을 어떻게 나타냈는가?
레싱의 라오콘론: 문학과 미술의 차이
헤겔: 고전적 형식은 감각적 아름다움의 이상을 보여준다
제4강 ‘플라톤의 예술론’
실천철학자로서의 플라톤
이데아의 철학
예술은 무엇을 모방하는가?
플라톤은 예술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는가?
규범적인 예술관
플라톤은 그의 이상국가에서 어떠한 예술이 추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가?
예술의 자율성보다 더 우위에 있는 삶의 윤리
예술은 미를 어떻게 드러내는가?
고대 그리스 조각은 미의 이상을 어떻게 나타냈는가?
레싱의 라오콘론: 문학과 미술의 차이
헤겔: 고전적 형식은 감각적 아름다움의 이상을 보여준다
제4강 ‘플라톤의 예술론’
실천철학자로서의 플라톤
이데아의 철학
예술은 무엇을 모방하는가?
플라톤은 예술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는가?
규범적인 예술관
플라톤은 그의 이상국가에서 어떠한 예술이 추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가?
예술의 자율성보다 더 우위에 있는 삶의 윤리
본문내용
화로운 정신과 선한 심성 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규범적인 예술관
플라톤에게는 예술이 현실을 모방하는 데는 일정한 규범이 필요하게 된다. 예술은 뭐 든 모방할 수 있지만 이상 국가에서는 인간의 품성 중 좋은 것만 모방하는 모방자를 받 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현실정치와 연관된 윤리관에 입각하여 음악에서 처량한 곡조는 쓸모가 없으며 달콤하고 신나는 곡조는 남겨두어야 한다고 한다. 또한 시에서는 신들에 대한 송시나 훌륭한 사람들에 대한 찬시로 제한하여 인정하였다.
플라톤은 그의 이상국가에서 어떠한 예술이 추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가?
(윤리관의 기준에 따라)
1. 단순한 유희에 불과한 예술
: 일종의 놀이이며 진지한 것이 되지 못한다는 것.
2. 영혼의 하잘 것 없는 부분에 호소하는 예술
.: 화를 잘 내는 성격(단순)은 다채로운 모방을 수용하고 분별 있고 침착한 성격(동일성 유지)은 모방이 어려울 뿐더러 하더라도 이해하기 힘듬.
3. 인간의 심성을 나약하게 하는 예술
: 이러한 예술은 창작하는 사람이나 감상하는 사람이나 불운애 감당할 수 없기 때문.
4. 인간의 감각정 본능을 해방시키는 예술
: 모든 욕구적인 것, 시작을 통한 모방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쉽사리 억제되지 않으며 지배당해선 안 되기 때문.
예술의 자율성보다 더 우위에 있는 삶의 윤리
도덕철학자로서의 입장을 고수하며 예술의 윤리적, 사회적 측면을 강조한 플라톤이지 만 예술적 감수성까지 그 규범 속에 가두지 않았기에 「국가」의 도처에 이율배반이 나 타난다. 즉, 예술은 현실의 미메시스이지만 이를 통해 자율적인 현실을 실현시킬 수 없 다는 것이다.
규범적인 예술관
플라톤에게는 예술이 현실을 모방하는 데는 일정한 규범이 필요하게 된다. 예술은 뭐 든 모방할 수 있지만 이상 국가에서는 인간의 품성 중 좋은 것만 모방하는 모방자를 받 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현실정치와 연관된 윤리관에 입각하여 음악에서 처량한 곡조는 쓸모가 없으며 달콤하고 신나는 곡조는 남겨두어야 한다고 한다. 또한 시에서는 신들에 대한 송시나 훌륭한 사람들에 대한 찬시로 제한하여 인정하였다.
플라톤은 그의 이상국가에서 어떠한 예술이 추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가?
(윤리관의 기준에 따라)
1. 단순한 유희에 불과한 예술
: 일종의 놀이이며 진지한 것이 되지 못한다는 것.
2. 영혼의 하잘 것 없는 부분에 호소하는 예술
.: 화를 잘 내는 성격(단순)은 다채로운 모방을 수용하고 분별 있고 침착한 성격(동일성 유지)은 모방이 어려울 뿐더러 하더라도 이해하기 힘듬.
3. 인간의 심성을 나약하게 하는 예술
: 이러한 예술은 창작하는 사람이나 감상하는 사람이나 불운애 감당할 수 없기 때문.
4. 인간의 감각정 본능을 해방시키는 예술
: 모든 욕구적인 것, 시작을 통한 모방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쉽사리 억제되지 않으며 지배당해선 안 되기 때문.
예술의 자율성보다 더 우위에 있는 삶의 윤리
도덕철학자로서의 입장을 고수하며 예술의 윤리적, 사회적 측면을 강조한 플라톤이지 만 예술적 감수성까지 그 규범 속에 가두지 않았기에 「국가」의 도처에 이율배반이 나 타난다. 즉, 예술은 현실의 미메시스이지만 이를 통해 자율적인 현실을 실현시킬 수 없 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예술(Fine-arts)"이라는 말의 개념과 체제의 성립 과정
예술과 도덕적 이념. 그 불가분의 관계에 관하여.
'한국의 美 특강' 독후감
플라톤의 사상으로 본 미학(美學)과 예술론(藝術論)
[예술론][낭만주의][아도르노][프리드리히쉴러][와이츠][디키][김동인]낭만주의의 예술론, 아...
플라톤의 예술론
[예술][예술의 기능][예술의 심리학][예술과 예술행정][예술과 산업][예술과 리얼리즘][예술...
[대중예술과 가상현실]고대 철학자가 바라본 예술의 허구성
[예술사회학특강] 예술과 재현 그리고 해체 - 제11강 예술과 재현 곰브리치의 재현론 -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