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功利主義)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리주의(功利主義)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에서 공리주의는 오히려 쉽게 교육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에 제시한 단원 같은 경우에, 목표자체가 공리주의와 연관되어있기 때문이다. 교실, 복도, 계단 등 공공장소인 학교에서 아이들은 학생 전체의 행복을 존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규칙을 배우게 될 것이며, 그것은 또 다시 학교라는 범위에서 확대되어 사회, 국가적으로 공리주의적인 시각이 키워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자신이 교실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 또는 복도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 다른 많은 친구들에게 어떠한 결과를 안겨줄 것인지를 고려해 보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급 규칙을 스스로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수를 배려하는 학생으로 교육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6-2학기 사회
단원: 1.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학습목표: ♠ 정치의 의미와 민주 정치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지역 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공리주의는 사회과 과목에서도 교육될 수 있다.
학생들에게 민주정치의 과정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지도하면서, 다수가 동의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민주정치의 가장 대표적 원리가 다수결의 원리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업과정을 통하여 아이들은 다수가 행복한 방향으로 결론지을 수 있게 될 것이며, 그것이 곧 (직접적으로 공리주의 이론을 가르치는 것은 아니나) 공리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 질 때에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공리주의의 문제점을 주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최대한 많은 행복을 보장하기 위해서 다수결의 원리를 사용하긴 하나, 소수의 의견을 무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을 확실히 해 둘 필요성이 있다. 때론 무지한 다수에 의해 유능한 소수가 무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현명한 판단을 하도록 이끌어야 될 것이다.
민주 정치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것이 왜 필요할까요?
-더 좋은 의견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서로에게 이로운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민주 정치의 과정에서 대화와 타협이 왜 필요할까요?
-일인이나 소수에 의해 결정되면 민주 정치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위에 제시한 단원의 교수학습과정안의 일부이다. 학생들에게, 타협과 대화를 통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졌을 때 다수의 행복이 보장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 진다면, 올바른 방안을 내세우는 소수가 희생될 가능성이 높다. 공리주의의 입장에서 벗어나는 의견이긴 하나, 다수소수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보충자료 정도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수, 소수와 상관없이 어떠한 의견이 더 합리적인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의견에 좀 더 귀를 기울여도 되는 이유는 일단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는 의견이기 때문에, 소수가 주장하는 의견보다 옳을 가능성이 더 많기 때문이라는 점을 교육해야 될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2.05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