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해 불만이 있고, 김일성에 대한 우상화도 싫어할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북한에서 처음 김일성 우상화를 시작하는 과정을 접하고 보니, 단순히 북한 주민들에 대한 강압이나 통제, 거짓 선전만으로 우상화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인민들의 심리를 이용하고, 그때 그때, 당시의 정치, 경제적 상황, 외부적인 위협을 적절하게 활용하여서 진행한 것이고, 나름대로 많은 전략이 필요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까지 계속되는 여러 가지 선전이나 우상화에 대해서도 단순히 외부의 시각으로 허황되게 생각해버리고 말면, 그것이 정말 북한 인민들에게는 받아들여지는 내용일지 아닐지 판단할 수 없을텐데, 거짓으로 만들어내는 내용도 어떤 상황에서 어떤 내용을 어떻게 조작하고, 그것이 어떤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 북한 당국도 항상 연구와 고민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IV. 전반에 대한 평가 - 해당 저작의 성과와 한계
선입견일지 모르지만, 저자가 한국에 대해 잘 모르는, 미국인을 상대로 글을 썼다는 사실이 의식되었고, 읽다보면 저절로 그런 느낌을 받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남한이나 북한에 대한 평가적인 서술, 단정적인 표현들에 대해서는 다소 성급한 일반화가 아닐지 의심하면서 책을 읽게 되었고, 이 글을 미국인들이 읽으면 한국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들까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전에 한국공산주의운동사 1권을 읽었기 때문에 그 책을 축약시켜 놓은 것 같아 오히려 내용이 빈약하게 여겨지는 부분들도 있었습니다. 전쟁 이전의 시기를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의미의 책인 것 같습니다.
IV. 전반에 대한 평가 - 해당 저작의 성과와 한계
선입견일지 모르지만, 저자가 한국에 대해 잘 모르는, 미국인을 상대로 글을 썼다는 사실이 의식되었고, 읽다보면 저절로 그런 느낌을 받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남한이나 북한에 대한 평가적인 서술, 단정적인 표현들에 대해서는 다소 성급한 일반화가 아닐지 의심하면서 책을 읽게 되었고, 이 글을 미국인들이 읽으면 한국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들까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전에 한국공산주의운동사 1권을 읽었기 때문에 그 책을 축약시켜 놓은 것 같아 오히려 내용이 빈약하게 여겨지는 부분들도 있었습니다. 전쟁 이전의 시기를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의미의 책인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 독후감
[북한 연구] - 북조선(유격 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 유격대 국가론
[북한 연구]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5 6장) - 독서 감상문
[북한 연구] - 북조선 탄생(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 김일성과 빨치산 활동...
[북한 연구] -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45~1961 - 독서 감상문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 강독 보고서 - 부조선의 군사력 국제관계
북조선 탄생 - 찰스 암스트롱 -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한 초기 국가 형성
북한연구 주요 저작 강독 - 북조선 탄생 (찰스 암스트롱) - 북한의 체제
북한연구 주요 저작 강독 - 북조선 탄생(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 반식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