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와 최선의 결정(존 스튜어트 밀의 질적 공리주의를 토대로) - 공리주의 이론에 대한 개관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리주의와 최선의 결정(존 스튜어트 밀의 질적 공리주의를 토대로) - 공리주의 이론에 대한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공리주의 이론에 대한 개관

Ⅱ. 나의 사례

Ⅲ. 도덕 교과 지도에 적용한 예

본문내용

별다른 노력 없이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900원이면 창작의 고통도 없다. 창조의 기쁨도 없으며 다툼도, 상처도 없이 쉽게 모든 것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즉, 돈이 있으면 지식과 시간을 벌 수 있고, 그 지식과 시간으로 또다시 돈을 버는 것이다. 무엇인가 모순성이 느껴진다. 이러한 저급한 인터넷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을 많이 받는 것은 아이들이다. 아이들은 흡수하고 적용하는 것이 매우 빠르고, 잘못된 것을 여과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미 많은 아이들이 게임중독과 인터넷 중독에 빠져 있고 미디어의 늪에서 헤어날 줄을 모른다. 이러한 시대에 교사들이 칸트의 보편적인 윤리의 타당성만을 가르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아마도 보편성과 일반성에 유용성을 더한 공리주의 이론이 좀 더 타당할 것이다. 철학이 죽은 시대, 철학을 폄하하는 시대라고들 하지만 아이들이 생각을 그만두게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쾌락을 굳이 도덕으로 인정하지 않고 무시하려 했던 기존 철학은 에 비해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공리주의가 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 3 - 2 단원 1. 약속과 규칙>
[학습 목표] 규칙을 지켜야 하는 까닭을 알아보고, 자신의 사례를 이야기해 봅시다.
은주의 후회
은주는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책상 앞에 앉았습니다.
“은주야! 밖에서 돌아왔으면 손부터 씻어야지!”
하시는 어머니의 말씀은 들리지 않고, 눈앞에는 오늘 학교에서 있었던 일만 떠오르는 것이었습니다.
수업이 끝나고 계단을 내려갈 때였습니다. 군대에 간 삼촌이 오신다는 소식을 듣고 빨리 집으로 돌아가려는 마음에 은주는 계단을 뛰어 내려갔습니다. 그러다가 계단을 올라오던 아이와 부딪치면서 함께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무릎이 몹시 아팠지만, 그것보다 은주는 자기와 함께 넘어진 아이가 더 걱정이 되었습니다. 그 아이는 큰 소리로 울면서 일어서지도 못하고 계단에 쓰러져 있었습니다.
‘큰일났네, 많이 다쳤으면 어떡하지?’
순간, 겁이 덜컥 났습니다. 은주는 미안하다는 말도 못 하고, 너무나 겁이 나서 도망치듯 집으로 뛰어왔습니다.
은주는 저녁 식사를 하면서 음식 맛도 몰랐습니다. 방에 돌아와서 과제를 하려고 책을 펼쳤지만,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머릿속이 온통 넘어진 아이에 대한 걱정으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급히 계단을 뛰어내려오지 말걸. 내가 왜 그랬을까?’하고 후회를 했지만, 이미 때는 늦었습니다.
3학년 2학기 도덕 내용 선택 이유와 지도 계획
3학년인 10살은 발달단계상 구체적 조작기에 속한다. 이 시기에는 외부 세계에 있어서 일반적인 규칙이나 전략을 발달시킨다.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탈 중심적인 사고로 전환하여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사고를 시작하며 또래집단간의 사회적 상호관계성을 중요시 한다. 사물을 여러 특성에 따라 정신적으로 계열화 하며 인과관계를 파악한다.
이와 같은 구체적 조작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3학년 2학기 도덕 과목에서 주로 규칙이나 약속, 관계 등의 주제를 다루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나는 이 시기에 아이들이 공감과 타인에 대한 배려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명확히 할 수 있고 정립할 수 있도록 교사의 영향력이 큰 시기라고 생각한다.
도덕교육의 난점으로 이론과 실천의 불일치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일단, 아이들은 자신의 사례를 발표해 보고 반성하는 시간을 갖게 됨으로써 실천의 동기를 획득한다. 또한 다른 사람의 사례를 들어봄으로써 타인의 판단 기준과 일반적인 사고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에게 닥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다. 규칙 공리주의에서 얘기했듯, 어떤 행위에 전제된 규칙을 일반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산출되는 유용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은주의 고민’을 읽은 후에, ‘규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발표하는 시간을 갖고, 개념을 정의한다. 모둠별로 자신이 ‘규칙’과 관련하여 경험한 사례를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교사 주도하의 반 전체 토론을 하는데, 규칙을 지켰을 때와, 규칙을 어겼을 때의 경험을 이야기 하고, 그 때의 기분을 표현한다. 교사는 아이들의 사례를 객관적으로 판단한 후, 칠판에 판서를 한다.
규칙을
지킨 경험
규칙을 지킨
후의 기분
규칙을 어긴 경험
규칙을 어긴
후의 기분
화장실에서 한 줄 서기를 했다.
뿌듯했다.
횡단보도를 뛰어서 건넜다.
사고가 날 번해서 후회했다
발표를 마치고 표가 완성된 후, 우리가 규칙을 지켜야 하는 까닭에 대해 다 함께 생각해 보도록 한다.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