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이다.
이러한 막중한 임무를 지닌 교사로서 이러한 교실에서 소외당하거나 적응 하지 못하는 이 책에서 표현한 교실 밖의 아이들을 교실 안으로 우리 사회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앞장서서 해야 할 것이고, 그것이 나의 일임이 더 깊게 다가왔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
초등학생들은 친밀감이 형성되면 마치 한풀이라도 하듯 상담교사에게 모든 이야기를 털어놓는 경향이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교사가 아이의 감정에 같이 휩쓸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기의 감정에 빠져 허우적거리던 학생이 다시 돌아올 수 있는 등대가 되어 올곧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진정한 공감’ 이다.
아이들과 이러한 진정한 공감을 하기 위해 앞으로도 머물러 있는 교사가 아닌 나아가고 도전하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이러한 막중한 임무를 지닌 교사로서 이러한 교실에서 소외당하거나 적응 하지 못하는 이 책에서 표현한 교실 밖의 아이들을 교실 안으로 우리 사회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앞장서서 해야 할 것이고, 그것이 나의 일임이 더 깊게 다가왔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
초등학생들은 친밀감이 형성되면 마치 한풀이라도 하듯 상담교사에게 모든 이야기를 털어놓는 경향이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교사가 아이의 감정에 같이 휩쓸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기의 감정에 빠져 허우적거리던 학생이 다시 돌아올 수 있는 등대가 되어 올곧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진정한 공감’ 이다.
아이들과 이러한 진정한 공감을 하기 위해 앞으로도 머물러 있는 교사가 아닌 나아가고 도전하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