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ntro. Are you HAPPY?

Track 1. Aristotle says

Track 2. 있었던 이야기.

Track 3.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본문내용

어나라. 무슨 꿈을 꾸기에 그렇게 소리를 지르니?”
소년은 어머니가 깨우는 소리에 눈을 떴습니다. 모든 것이 꿈이었습니다. 빨리 학교에 가고 싶었습니다. 친구들의 얼굴이 떠올랐고, 열심히 공부도 하고 싶었습니다.
Step 1. 교사의 발문과 보충 설명.
○소년은 왜 은공을 사용했을까요?
의욕이 없고 욕심이 많은 소년은 어렵고 힘든 일을 그냥 지나치고 싶어 했습니다. 그는 이성적으로 욕심과 쾌락을 절제하지 못하고 순간의 고통을 피하려고만 했지요. 그래서 힘든 순간이 다가오면 은공을 사용했던 것입니다. 은공의 실을 조금만 당기면 자신이 바라는 행복한 미래가 현실이 될 테니까요.
○소년은 은공을 사용하고 행복해졌나요?
욕심을 참지 못하고 행동한 소년의 미래는 어떻게 되었나요? 힘든 순간을 피한 결과 소년은 행복해졌나요? 소년은 스스로 말합니다. “당신이 준 선물을 결국 행복한 삶을 주지 못했어요.” 어렵거나 곤란한 일을 당했을 때 비겁하게 뒤로 물러선 소년은 결코 행복해지지 못했어요.
○행복한 일만 계속 되는 삶을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냥 단순히 생각해보면 행복한 일이 계속 되는데 행복하지가 않다니! 굉장히 모순적으로 들릴 것이에요. 하지만 잘 생각해보세요. 모든 행동에는 쾌락과 고통이 따르기 마련이에요. 언제나 행복하기만 한 삶은 오히려 지루하고 허망할 것입니다. 올바르게 기쁨을 느끼고 고통을 느끼면서 우리는 덕스러운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Step 2.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학생들 역시 본문 속의 소년처럼 무절제한 생활을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야기를 읽고 생활 속의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과식하는 습관, 친구들과 밤늦도록 노는 습관, 쉽게 화를 내는 경향 등 다양한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절제하는 생활의 중요성을 생각해본다.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올바르게 도덕적 판단을 하고 있는 지 깨닫게 되는 단계이다. 자신 스스로 절제하는 생활을 반성한 이후에는 친구나 선생님 등 주변 친구들의 조언을 듣는다. 이를 통해 자신이 미처 깨닫지 못한 자신의 무절제한 부분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실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천 강령을 5가지 정도 세워서 직접 써 보도록 한다. 그 후에는 책상 앞이나 눈에 띄는 곳에 붙여놓고 한 달 간격으로 체크한다. 주기적으로 절제하는 삶을 실천함으로써 아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절제를 내면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